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골목공간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건축협정제도 적용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Planning and Program for Building Agreement of Inner Roads in Jeju [:Focus on a "Mu-geun-sung" area in Jeju]
Abstract
제주구도심지역에 전통골목 공간특성을 지니고 있는 올래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반면, 무근성 내의 노후 주거재정비와 골목공간의 보존이 4m미만 접도필지 때문에 어려운 상황을 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근성지역 내 골목공간의 현황을 밝히고 건축협정제도의 적용방안 모색을 통한 골목공간 재생의 가능성과 한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우선, 제주의 독특한 공간구조를 지닌 골목공간에 대한 정의와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골목공간의 유형별 특성을 도출해 무근성내 골목공간의 현황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건축협정제도를 이용해 제주 무근성지역의 골목공간을 보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건축협정제도의 정의, 내용 및 발전과정을 고찰하였고 사례를 통해 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무근성지역 내의 골목공간에 대해 체계적 분석과 설계 시뮬레이션 및 조망점 분석을 통해 건축협정제도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현재 무근성은 전통올래 공간이 많이 사라지고 훼손되었으나, 제주 읍성 서쪽 성벽과 둘레길 구역에서는 제주 전통 올래가 다수 발견되고 있었다. 무근성지역내 건축협정제도의 적용 가능성과 과제를 파악하기 위해 건축협정 제도를 이용한 설계 시뮬레이션을 실시 기존방식에 의한 변화와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건축협정제도는 소유와 이용을 동일시하는 기존 토지 활용방안에서 소유와 이용을 별개로 고려해 다양한 토지활용 방안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임을 밝힐 수 있었다. 법률 상 해당 필지에 존재할 수 있는 최대한 규모를 유닛 모듈로 설계 하였으며 경관 시뮬레이션 관련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보건성, 쾌적성, 안전성의 관점에서 설계 시뮬레이션에 대한 조망점 분석을 실시 평가를 실시 하였다. 그 결과는 현재의 건축협정제도에 의한 개발방식은 올래의 가치와 경관을 유지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일정부분 한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용 경계의 유연화 개념을 통한 건축협정제도를 제안해 개발방식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건물층수 높아져 대 도로변의 경관이 악화되지만 용적률의 최대화를 유지하는 동시에 신축건물에 인한 주변 환경에 대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가옥의 일조와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해 효율적으로 완화가 가능하였고, 골목공간에서 고층건물에 의해 압박감을 축소되었다. 골목공간 결절점에서의 경관도 완화되었으며 골목공간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uthor(s)
정립원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54
Alternative Author(s)
Jing, Li-Yu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이용규
Table Of Contents
Table Contents ⅳ
Figure Contents ⅴ
국문초록 ⅵ
제1장.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4
1-3. 용어정의 7
제2장. 이론고찰 8
2-1. 제주골목공간(올래)의 이론고찰 8
2-1-1 제주골목공간의 정의 8
2-1-2 제주골목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9
2-2. 건축협정의 이론고찰 9
2-2-1 건축협정의 정의 10
2-2-2 한국, 일본의 건축협정 도입배경 10
2-2-3 건축협정제도의 주요내용 및 특성 11
2-2-4 건축협정에 관한 선행연구 14
2-2-5 맹지와 도로에 관한 선행연구 16
2-3 소결 16
제3장. 골목공간의 특성 17
3-1. 골목공간의 유형화 및 유형별 특성 17
3-1-1 단위골목의 유형화 17
3-1-2 단위 골목 유형별 위계의 심도 19
3-2. 무근성 지역 골목공간 현황 분석 20
3-2-1 유형별 골목공간 현황 20
3-2-2 무근성 지역 골목공간의 특성 25
3-3. 소결 26
제4장. 건축협정제도의 실천적 적용 27
4-1. 적용대상 올래 27
4-1-1 선정골목공간(올래)의 선정배경 27
4-1-2 선정골목공간(올래)의 현황 29
4-1-3 선정필지의 현황 30
4-1-4 주요 조망점에서의 경관 30
4-2. 건축협정제도의 유형학적 검토 34
4-2-1 건축협정제도의 특성 34
4-2-2 토지의 소유와 이용에 의한 개발방식 분석 34
4-3. 설계 시뮬레이션 36
4-3-1 설계 시뮬레이션의 조건검토 36
4-3-2 대상지의 건축법규 검토 36
4-3-3 개발방식에 따른 토지이용 검토 39
4-3-4 기본모듈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규모 검토 40
4-4. 걸계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조망점 분석 44
4-4-1 조망점 분석 44
4-4-2 개발방식에 따른 조망점 별 평가 45
4-4-3 개발방식에 따라 평가결과의 종합분석 49
4-5. 소결 52
제5장. 건축협정제도 개선방안의 제언 53
5-1. 건축협정제도의 한계 및 제언 53
5-2. 이용의 유연화를 활용한 건축협정제도 55
5-3. 소결 57
제6장. 결론 58
6-1. 각 장의 정리 58
6-2. 종합 정리 59
참고 문헌 61
Abstract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정립원. (2017). 제주 골목공간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건축협정제도 적용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Architectural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