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스마트폰 정보사용과 개인특성 간의 관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martphone Information Us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bstract
스마트폰 보급이 보편화되고 일반화 되면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필요한 정보를 언제 어디에서나 이동성에 구애받지 않고 스마트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여건은 우리 일상생활의 환경에 많은 변화와 이슈를 만들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지금까지는 정보시스템 품질에 대한 개인성과, 접근성 및 정보격차 등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정보사용과 개인특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제주공항에서 관광을 경험하고 돌아가는 관광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이 중 성실하게 응답한 289개의 표본을 가지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3가지 요인을 가지고 분석을 하였는데, 첫 번째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행동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정의하는 "자기효능감", 두 번째는 자기효능감과 상반되는 의사결정이 짧고 자발적이며 통제 불능으로 느껴질 수 있는 충동성의 변수를 가지고 분석하였으며, 세 번째는 개인적 특성을 가지는 스마트폰의 인구 통계적 변수(연령, 성별, 교육수준 등)를 통해 분석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보면, 자기효능감과 충동성이 스마트폰 사용에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생활환경이 만들어져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시장이 3G/4G에서 LTE 및 5G로 급속히 전환되고 다양한 스마트폰 App보급이 일반화 되면서 신중한 정보탐색과 즉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이 스마트폰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없어지고 항상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바일 네이티브(Mobile native)의 환경과 40~50대의 디지털리터러시(digital literacy)의 환경은 차이가 있다고 보인다. 이러한 점은 기존 연구와 다른 추가적 분석 결과라고 볼 수 있다.
As the spread of smartphone becomes more common and generalized, the area is expanding. The necessary conditions to obt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phone regardless of the mobility at anytime and anywhere are making many changes and issues in the environment of our lifetime. Previous studies on such smart phones have so far focused on personal performance, accessibility, and information gaps in information system quality.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martphone informa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00 tourists who had experienced sightseeing at Jeju Airport and conducted a survey with 289 respondents who responded positively. The first is the self-efficacy, which defines self-efficacy in order to produce the desired result. The second is the short and spontaneous decision-making that is contrary to the self-efficacy. Third, we analyzed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gender, education level, etc.) of smartphone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self-efficacy and impulsiveness seem to be positive for smartphone use because it seems that the living environment that can acquire the desired information at the desired time is made. In other words, as the mobile communication market has rapidly shifted from 3G / 4G to LTE and 5G and the spread of various smartphone applications has become common, I would say. In addition, there seems to be a difference between a mobile native environment in which online and offline boundaries are permanently connected and an environment of 40 to 50 digital literacy environments.
Author(s)
지근성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58
Alternative Author(s)
Jee, Geun S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경영정보학과
Advisor
김민철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논문의 구성 2
제2장 이론적 고찰 4
제1절 스마트폰 개념과 각종 이용현황 4
1.1 스마트폰의 정의 4
1.2 스마트폰의 특징 6
1.3 스마트폰의 기능적 특징 7
1.4 스마트폰 이용현황 7
1.5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현황 8
1.6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유지 현황 9
1.7 디지털 미디어의 이용형태 10
제2절 스마트폰 정보사용 관련 선행 연구 11
2.1 스마트폰 정보사용 기반의 선행 연구 사례 11
2.2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정보이용 패러다임 변화 12
2.3 스마트폰 정보 활용한 선순환 생태계 플랫폼 모델 13
2.4 스마트폰 확산으로 개인화된 정보이용 서비스 제공 13
제3장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15
제1절 연구모형 15
제2절 변수의 정의 및 가설설정 15
2.1 자기효능감 15
2.2 충동성 16
2.3 인구통계적 변수 16
제3절 자료의 수집 16
3.1 설문지의 구성 16
3.2 조사대상 및 자료 분석 방법 17
제4장 자료 분석 및 가설 검증 18
제1절 표본의 구성 18
제2절 타당성 분석 및 신뢰성 분석 19
2.1 자기효능감 요인 검증 19
2.2 충동성 요인 검증 20
2.3 스마트폰 사용 요인 검증 21
제3절 가설 검증 22
3.1 자기효능감과 충동 요인 가설 검증 22
3.2 인구 통계적 변수 관련 가설 검증 23
3.3 분석결과 24
제5장 결론 25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및 논의 25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26
참고문헌 27
설문지 3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지근성. (2017). 스마트폰 정보사용과 개인특성 간의 관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