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in Jeju
Abstract
병원조직이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그들의 건강관련 욕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해 최일선에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간호 인력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이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 요인인 일반적 특성요인과 근무환경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조직운영에의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제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종합병원과 서귀포시에 소재하고 있는 1개의 종합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접 방문하여 간호부의 협조를 얻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5월 26부터 6월 2일까지 실시하였고, 배부된 총 200부의 설문지 중 설문내용이 불성실하고 일관성 없는 응답이라고 판단된 자료 7부를 제외하고 19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을 살펴 볼 경우, 성별로는 여성이 95.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연령은 29세 이하(47.2%), 결혼유무로는 미혼(52.3%), 교육정도는 4년제 및 학사학위(69.4%)로 가장 높았다. 둘째, 간호사의 업무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총 근무경력으로는 10년 이하 55.4%, 현 병원 부서 10년 이상이 29.0%, 직위는 일반간호사 79.2%, 근무부서는 일반병동61.7%로 가장 많았고, 평균 급여수준은 201만원-300만원 이하가 60.6%로 가장 많았다. 셋째, 병원간호사의 만족도를 보면 대인관계 항목의 '업무가 매우 바쁠 때는 다른 간호사들과 서로 도우며 일한다.'가 3.93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며, 전문성 항목(3.81)과 인정과 신뢰 항목이 각각 3.40,3.31로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또한, 영역별 간호사의 만족도를 보면 전문성이 3.51점, 인정과 신뢰3.35점, 대인관계3.25점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병원간호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F=3.316, p=0.021), 총 근무경력(F=11.746, p=0.000), 월 평균 급여수준(F=2.364, p=0.07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이 많고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았다. 다섯째, 병원간호사들의 연령에 따른 만족도 관련 요인의 만족도 평균을 비교해 본 결과, 보수 및 승진 요인, 전문성 요인, 조직운영 요인, 인정과 신뢰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장 만족도가 높은 요인은 전문성 요인이었고, 보수 및 승진 요인과 근무형태 요인은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병원간호사들의 총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관련 요인의 만족도 평균을 비교해 본 결과, 보수 및 승진 요인, 전문성 요인, 대인관계 요인, 조직운영 요인, 인정과 신뢰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근무형태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곱째, 병원간호사들의 월평균 급여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 관련 요인의 만족도 평균을 비교해 본 결과, 보수 및 승진 요인, 전문성 요인, 조직운영 요인, 인정과 신뢰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인관계 요인과 근무형태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덟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환경 요인 개별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기여도와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모든 독립변수가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병원간호사들이 근무환경 요인인 보수 및 승진, 전문성 수준, 대인관계, 조직운영, 근무형태, 인정과 신뢰 요인 모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와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근무형태에 대한 부담감을 최대한 줄이고 대인관계를 높이기 위한 조직적 차원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방안을 마련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병원을 대상으로, 더 많은 수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환자와 지속적으로 대면하며 직접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환자의 만족에 기여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간호사의 자기만족과 직무만족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병원차원의 동기부여 방안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hospital organizations are becoming consumer-centered, it has been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nursing staff who provide nursing services directly to patients to satisfy their health-related desir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o improve the nurses'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occup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for general hospitals in Jeju an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al factors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to seek th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organizations to reduce the transfer rate of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nurses working for three general hospitals in Jeju City and one general hospital in Seogwipo City. We visited them to seek their cooperation for a survey. The survey took place from May 26, 2017 through June 2 and among the 200 copies of survey forms distributed, 193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seven copies that were considered incomplete and inconsist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program.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considering the demographics of the subjects, women took 95.9% in terms of sex and the largest groups were under 29 years of age (47.2%), unmarried (52.3%), and holding a 4-year degree or a bachelor's degree (69.4%). Second,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55.4% had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29.0% had served in the current hospital for more than 10 years, 79.2% were ordinary nurses, and 61.7% were working in ordinary hospital units. The average salary was 2,010,000-3,000,000 KRW for 60.6%. Third,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I cooperate with other nurses when I am busy' earned the highest points of 3.93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tion, while specialization (3.81) and recognition and trust earned high points of 3.40 and 3.31, respectively. Also,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of nurses in each area, specialization earned 3.51 points, recognition and trust earned 3.35 poi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earned 3.25 points. Fourth, as a result of discuss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hospital nurses' demograph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3.316, p=0.021), total length of experience (F=11.746, p=0.000), and average monthly salary (F=2.364, p=0.073). In other words,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er with older age, longer experience, and higher salary. Fif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of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age of hospital nur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ompensation and promotion factors, specialization factors, operation of organization factors, and recognition and trust factors. The most satisfactory factors were specialization factors, while the least satisfactory factors were compensation and promotion factors and service type factors. Six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of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total length of experience of hospital nur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ompensation and promotion factors, specialization factors, interpersonal relation factors, operation of organization factors, and recognition and trust factor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ervice type factors. Seven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of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average salaries of hospital nur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ompensation and promotion factors, specialization factors, operation of organization factors, and recognition and trust factor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 factors and service type factors. Eigh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ribu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s of work environment factors that affect occupational satisfaction to the dependent variables, it was found that all independent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0.01. In other words, all of the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factors had an influence on their occupational satisfaction, including compensation and promotion, specializ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operation of organization, service type, and recognition and trus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nurses' occupational satisfac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nurses' occupational satisfaction suggested in this study and clarify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the nurses' occupational satisfac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o reduce the burden of service type and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within each organization and the specific strategies to apply them. Third, it is necessary for each hospital to develop ways to motivate the nurses for their self-complacency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as they provide direct services to patients and contribute to the patients' satisfaction.
Author(s)
김진심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88
Alternative Author(s)
Kim, Jin Shi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오승은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1. 병원의료서비스 4
2. 직무만족의 개념 8
3. 직무만족의 제이론 8
4.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12
Ⅲ. 연구의 방법 18
1. 연구대상 18
2. 연구모형 19
3. 연구가설 20
4. 측정도구 21
Ⅳ. 연구 결과 24
1.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24
2.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26
3. 병원간호사의 응답자 특성별 직무만족도의 차이 비교 28
4. 전체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5.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35
Ⅴ. 결론 39
참고문헌 43
ABSTRACT 47
설문지 5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김진심. (2017). 제주지역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