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공무원의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 of Jeju Local Government Officers' Culture and Arts Club Activities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With Emphasis on Music Club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내 공무원들의 문화예술동호회 활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제주지역 공무원 조직 내에는 여러 문화예술 동호회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동호회 중 음악동호회를 중심으로 동호회활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동호회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예술의 한 분야로서의 음악은 인간의 창의적 스킬과 상상력을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므로, 이러한 음악동호회 활동을 통해 개인적인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음악을 통한 지역주민과 소통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양적 연구에 있어서, 제주지역내 문화예술동호회 회원으로 가입이 되어 있는 공무원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공무원 중 문화예술동호회 활동 성비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 이는 음악동호회의 특성상 여성공무원이 악기 등을 접할 기회가 더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둘째, 제주지역 공무원의 직무만족도는 직급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근무경력이 5년 증가할수록 직무만족도는 22%씩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동호회 활동정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는 동호회활동을 적극적으로 할수록 직무만족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호회 활동의 적극성을 이끌어내는 요인으로는 기관장과 부서장의 관심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동호회의 금전적 지원이나, 동호회원들이 부담하는 동호회비 등은 동호회 활동의 활성화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동호회활동이 기관장의 직무평가나 상급기관에 보고되고 관리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동호회활동을 통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관장, 부서장의 직무평가에 동호회활성화 요소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비공식조직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ubstantially clarified the influence of Jeju local government officers' culture and arts club activities on their occupational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re are various culture and arts club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of Jeju, bu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usic clubs on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attempted to seek the ways to activate the club activities. As a field of art, music is used as a tool to express people's creative skills and imagination, so music club activities can enhance personal satisfaction and create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people through music. In the quantitative study, the survey forms collected from the government officers who are registered as members of culture and arts clubs in Jeju were used and analyzed and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s: First, more female officers are active in the culture and arts club activities compared to the male officers of Jeju. This is because female officers have had more opportunities to learn and play musical instruments. Second,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government officers of Jeju was higher with higher class and longer service experience. Occupational satisfaction increased by 22% with every 5 years of service experience. Third, occupational satisfaction increased with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ub activities and the attention of head of institution or department was a factor with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tive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On the contrary, the clubs' financial support or membership fe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fficers' active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or occupational satisfaction. Finally, club activities were not reported to or managed by the heads' occupational evaluation or higher organizations, but the club activation factors need to be included in the heads' occupational evaluation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 of unofficial organiz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government officers' occupational satisfaction through club activities.
Author(s)
고계명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89
Alternative Author(s)
Go, Gye My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황경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흐름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1. 개념적 정의 4
2. 이론적 배경 9
3. 선행연구의 검토 14
4. 제주지역 공무원 문화예술동호회 및 활동현황 17
5. 사례를 통해 본 동호회활동 19
Ⅲ. 연구설계 및 방법 21
1. 연구대상 21
2. 연구모형 22
3. 연구가설의 설정 23
4. 측정도구 24
5. 분석방법 24
Ⅳ. 연구결과 40
Ⅴ. 결론 44
Ⅵ. 연구의 한계 및 발전방향 48
Abstract
참고문헌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고계명. (2017). 제주지역 공무원의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