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Ⅰ.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대학생의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유능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Ⅱ.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는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Ⅲ.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자는 제주도에 소재한 J대학교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한 신뢰도를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히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했고,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통계적 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동아리 활동을 하지 않는 대학생'이 '동아리 활동을 하는 대학생'보다 마음챙김의 수준이 높았다. 사회적 지지에서 가족지지는 출신 고교 지역에 따라 도외의 경우 도내 출신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1학년에서 3학년으로 갈수록 낮아졌다가 4학년 때 다시 높아졌다. 사회적 지
지에서 또래지지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적 지지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1학년에서 3학년으로 갈수록 낮아졌다가 4학년 때 다시 높아졌다. 종교에서는 무교보다 천주교 학생이 또래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유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마음챙김, 사회적지지, 대인관계 유능성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 중 또래지지가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또래지지가 마음챙김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현재자각과 주의집중이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학생의 가족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정보적 지지가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래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또래지지의 하위 영역 모두 대인관계 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마음챙김과 또래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래지지가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대학생 시기에 또래지지는 대인관계 유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적 변인인 마음챙김과 외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국내 처음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에서 주의집중과 현재자각이, 가족지지의 하위요인에서는 정보적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중요한 변인임을 밝혀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한 이해와 향상에 도움이 되는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that will be answered to achiev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
Question 1.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ollege students' mindfulness,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Question 2. How do college students'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affect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 3. How do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s'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affect interpersonal competence?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92 college students attending J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Jeju, South Korea.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was estimated using Cronbach's alpha, while conducting a frequency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to determine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tudy also used a one-way analysis and t-test of varianc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an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features. Then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as conducted, exhibiting a meaningful difference when p < .05. Furthermore,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rvey responses to ascertain the correlation between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final stage, all the tests were analyzed and verifi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18.0.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outline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club activities had a higher level of mindfulness than college students who did club activities. With regards to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was higher for students who attended high school outside the province than within the province, and it was lower from grade 1 to grade 3 before increasing again in grade 4. With regards to social support, peer suppor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self-reported higher social support than male students. According to grade, it was lowest from grade 1 to grade 3, but increased again in grade 4. In terms of religion, Catholic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support from their peers than non-religious studen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mindfulness, social support, an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indfulness,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effects of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peer support)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mindfulness and peer support, and it suggests that peer support had a higher effect than mindfulness.
Third, college students' mindfulnes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wareness and attention. Family support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support. The effect of peer suppor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lthough the influ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and peer support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eer support has a higher effect. This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into the influence of mindfulness, internal affection,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internal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Of particular importance are the sub-factors of mindfulness, attention and current awareness and their strong influenc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counseling programs which help understand and improv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uthor(s)
조혜정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318
Alternative Author(s)
Cho, Hye J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김민호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IV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1) 마음챙김 5
2) 사회적 지지 5
3) 대인관계 유능성 5
Ⅱ. 이론적 배경 6
1. 마음챙김 6
1) 마음챙김의 개념 6
2)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치료 7
3) 마음챙김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8
2. 사회적 지지 10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10
2) 사회적 지지원 11
3)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12
3. 대인관계 유능성 13
1) 대인관계 유능성의 개념 13
2)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15
Ⅲ. 연구방법 16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16
2. 측정도구 17
1) 마음챙김 척도 17
2) 사회적 지지 척도 18
3)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19
4) 통계적 분석 20
Ⅳ. 연구결과 21
1.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유능성의 차이 21
1)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의 차이 21
2)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 22
3)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 유능성의 차이 24
2. 대학생의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상관관계 25
3.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27
4.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28
1) 대학생의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28
2)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31
Ⅴ. 논의 및 결론 36
1. 논의 36
2. 결론 40
참고문헌 42
ABSTRACT 49
부 록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조혜정. (2017).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