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어음책마을 조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orytelling strategy for the AOUM book town development.
Abstract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에 근거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어음 1리를 책마을로 조성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책마을이란 책과 문화·예술이 접목되어 책의 판매, 전시, 책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프로그램의 운영 등을 주로 하는 '책으로 특화된 마을'을 말한다.
이러한 책마을은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자원을 기반으로 마을의 활력과 매력을 높이고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다른 마을만들기 사업과 비슷하지만 책이라는 문화·인문적 자원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다른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어음 1리는 인구의 공동화와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마을이다. 따라서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젊은 사람들을 유입할 수 있는 매력을 가진 마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마을을 문화·인문적인 공간으로 만드는 것이 최선이라는 판단 아래 '어음책마을 만들기'의 방안을 고민하였다.
어음책마을 조성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국내·외의 책마을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현재 우리나라에 조성되어 운영하고 있는 책마을 두 곳을 선정해서 그 운영자들과 책마을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인터뷰의 진행과 함께 그 분석을 통한 어음책마을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어음마을사람들의 책마을 만들기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어음책마을 조성을 위해 마을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부각시킬 수 있고, 무형의 가치창출을 이룰 수 있는 마을의 설촌 이야기를 기반으로 스토리텔링을 하였다. 이에 책마을의 테마를 로 정하고 그에 따른 3개의 콘셉트 즉 올레, 밭담, 폭낭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 주제를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안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어느 분야에서든 감성을 움직이는 스토리와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감성의 시대, 이야기의 시대를 살고 있다. 모든 것에 스토리를 입힘으로서 그 무엇보다 강력한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책마을 스토리텔링 전략을 세우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기획하였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향후 이를 통해 어음 1리에 대한 브랜드 가치를 한층 업그레이드시켜 마을의 지명도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적 여가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어음책마을 만들기는 수많은 곳에서 다양한 방안과 프로젝트를 통한 마을 만들기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제주에는 책마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관광하면 주로 자연(自然)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관광지 제주에 관광 테마의 다양성에의 기여는 물론 품격 있는 '인문의 공'으로서 책마을이라는 자산을 추가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way of making a AoumBook Town that combines storytelling with one step further making book town as 'town development' which ignores the power of existing storytelling.
As a culture and human spac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 cultural and attractive village mediated by books through the use of the Aoum that has been hollowed out because of young people's leaving town and aging with the decline of the elderly population, I first conside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own development for the idea of "town development".
In order to find out how to create a Aoum Book Town, I looked at and analyzed the cases of the book tow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 selected two book towns which are currently being operated in Korea and interviewed them about the general aspects of the book town.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pres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and, first of all, analyzed the perceptions of the book towns by the people who are important.
In the book collection, the story of village passed down to the villagers as a book town through storytelling, which is a powerful force that can create intangible value that can highlight the identity and symbolism of the village. Based on the theme of the village (reunion) was determined and three concepts (olle, battam, pongnang) were derived from the storytelling. The book town development through storytelling can be said to be differentiation in the draft book town development, and a concrete program proposal is suggested.
Recently, interest in quality of life has been gathered due to the new value change of 'well-being'. Quality of life is not improved by high level of income, welfare, and safety. If the opportunity to enjoy human leisure and abundant culture is not guaranteed, the quality of life can not be expected to improve.
Today, We have an age of emotions and stories, so that the importance of story and design that move emotion in any field is emphasized. I set up a book town storytelling strategy and planned various programs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I can have strong persuasiveness than anything else by putting everything into a stor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pgrade the brand value of the Aoum of loyalty so as to raise the brand recognition and to establish the intellectual leisure spac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re are many ways and towns that have been developed through various projects and programs, but it is meaningful that there is no book town in Jeju yet. Especially, tourism will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tourist themes in Jeju, a tourist destination that reminds us of the natural image, and will add the asset of Book Town as a quality of 'humanity place'.
Author(s)
김해숙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326
Alternative Author(s)
Kim, Hae-S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Advisor
양진건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범위와 방법 2
1) 연구범위 2
2) 연구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1. 마을만들기의 개념 5
1) 마을만들기의 정의 5
2) 마을만들기의 원칙 7
3) 마을만들기의 현황 및 본질 8
2. 책마을 만들기의 의미 12
Ⅲ. 국내.외 책마을 사례 및 국내 책마을 탐방 14
1. 국내.외 책마을 사례 14
1) 국내 사례 14
2) 국외 사례 18
3) 사례분석을 통한 어음책마을의 방향성 고찰 22
2. 국내 책마을 탐방 및 분석 23
1) 책마을 탐방 23
2) 탐방 책마을 분석 29
Ⅳ. 어음책마을 만들기 기본 구상 31
1. 어음 1리 현황 및 특성 31
1) 마을 현황 31
2) 마을 특성 33
2. 어음책마을 인식 조사 및 분석 36
1) 설문지 조사 36
2) 설문조사 결과 분석 43
3. 어음책마을 만들기 방안 46
1) 어음책마을 스토리텔링 전략 46
2) 어음책마을 스토리텔링 50
Ⅴ. 요약 및 결론 68
참고문헌 70
부록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김해숙. (2017). 어음책마을 조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Storytell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