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의 공간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pace Useage Utilization of Jeju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Abstract
급격하게 변화하는 산업화에 따라 여성들이 산업화에 동참하면서 가사노동까지 분담하는 사회에서 늦은 결혼과 저출산 및 영유아의 보육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다. 이 법을 바탕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여성의 사회진출, 저출산문제,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조성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2016년도에 수눌음육아나눔터 10곳을 개소하게 되어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눌음육아나눔터의 정의를 '자녀 돌봄이 필요한 이웃들이 언제나 모일 수 있는 공용공간으로 부모들이 함께 모여 수눌음육아 활동을 하는 장소'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품앗이육아를 지향하는 제주지역 수눌음육아나눔터 10곳의 공간사용실태 및 실내환경 분석을 통해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의 공간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수눌음육아나눔터의 사업 확장과 이용공간 및 환경개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를 연구하게 된 배경과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되었고, 구체적인 연구목적과 연구범위가 설정되었다.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아동발달 특성과 보육시설의 공간구성 및 보육시설의 실내공간구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가 검토되었고 공동육아나눔터 및 가족품앗이 정의, 가족품앗이 운영실태와 공동육아나눔터의 실내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구의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연구내용에 따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필요성, 연구범위, 연구방향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제3장 연구방법에서는 현장조사와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조사를 채택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공간실측을 하였으며 진입로 접근성, 건물 내 수눌음육아나눔터의 위치, 실내공간의 구성, 각 공간 면적, 공간배치 관계, 조명시설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영유아를 동반한 부모를 상대로 자녀수, 최종학력, 연령, 이주여부 주거형태, 육아경험, 육아기간, 취업형태, 참여자녀수, 참여경로, 참여동기, 이동수단, 공간구성만족도, 물품만족도, 물품활용만족도, 프로그램필요도를 조사했으며, 심층면담 조사는 비치물품현황, 비치물품의 활용도, 운영중인 프로그램과 참석인원을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한 평가자료의 분석방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연구흐름도가 제시되어 논문의 전체적인 구성이 파악될 수 있으며 각 장의 주요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제4장 연구결과에서 현장조사와 설문조사, 담당자와의 심층면담 및 부모님과의 면담을 통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현장조사에서는 수눌음육아나눔터가 제주시 8곳, 서귀포시 2곳에 2016년 11-12월에 개소하여 운영되고 있었다. 운영주체는 종합사회복지관이5곳, 사회단체 3곳, 아파트관리시설이용 1곳, 작은도서관 1곳에서 운영되고 있었다. 평균 면적은 57㎡로 수눌음육아나눔터 권장 최소면적 33㎡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공간현황으로는 놀이실은 10곳 모두 설치되어 있었고 그 외에 도서실, 수유실, 사무공간, 어린이 화장실 순으로 나타났다. 손을 씻거나 분유를 탈 수 있는 정도로 간단한 공간으로 설치된 탕비실은 5곳, 어린이 화장실은 2곳만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있었다.
둘째, 담당자와의 심층면담에서는 수눌음육아나눔터의 비치물품 목록현황과 비치물품 활용도를 조사함으로 장난감, 책상, 도서, 놀이매트, 음용수기, 냉난방기, 청소기, 수납시설의 활용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수눌음육아나눔터에서 소화기와 의약품은 안전과 관련된 물품으로 상시 사용할 수 있도록 반드시 비치되어져 있어야 하는 물품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 원인은 건강한 아이가 오는 것뿐 아니라 머무는 시간이 짧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눌음육아나눔터 이용실태 및 프로그램현황을 보면 전체 36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으며 부(모)-자녀 대상 프로그램이 21개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 품앗이는 21개 팀이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부모님의 설문조사에서 이용자의 현황은 2명의 자녀가 있고 대학교를 졸업한 30대로 아파트에 거주하며 1~5년의 육아경험이 있으며 제주로 이주(52%)해 온 전업주부가 많았다. 프로그램에 참여동기는 자녀 교육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와 또래의 아이를 만나게 해주기 위해서가 많았으며 대부분 자가용으로 이동하였다. 수눌음육아나눔터는 또래의 아이들과 엄마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집 가까운 곳에 있는 안전한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제5장 결론 및 제언에서는 건축용도는 복지시설 6곳, 아동시설, 보육시설, 사무실, 단독주택이 각 1곳이었다. 건축적특성으로는 실내공간구성으로 놀이방 10곳, 도서실 9곳, 탕비실 5곳, 수유·수면실 2곳 전용화장실 2곳이었다. 관리형태로는 자체 관리와 무급봉사자가 각 1곳, 전담직원 2곳, 관리담당자 있는 곳이 6곳 있었다. 비치물품현황과 활용도에서 안전관련 물품은 반드시 비치되어 있어야 하는 물품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활용도가 낮게 나타난 것을 볼 때 건강한 아이가 올뿐만 아니라 머무는 시간이 짧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눌음육아나눔터의 공간은 부모와 아이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이었으나 너무 다양해서 공간활용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실내공간에서 흥미 영역간의 통합공간 구성과 놀이 장소는 자연 친화적인 것으로 계획해야 하며 벽의 마감재로는 안전을 위하여 부드러운 색채의 매트로 마감하고 전체적으로는 자연채광이 잘 들도록 구성해야 하며, 한 공간 안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이 사용하므로 다양한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커튼, 파티션, 이동용가구 등으로 용도에 맞는 공간의 변화로 융통성 있는 공간 사용이 필요하며, 어린이 화장실과 씽크대가 있는 탕비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운영되고 있는 수눌음육아나눔터의 포괄적인 조사와 우수사례 분석을 통해 공간 및 이용환경 모델 제안과 가이드라인 매뉴얼 작성 제시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향후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는 육지의 품앗이육아와 공동육아를 접목해서 제주에 새롭게 정착시키려고 하는 제주만의 이름으로 처음 시행되는 수눌음육아나눔터에 대한 연구자료의 축척으로 수눌음육아나눔터 공간계획의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세부항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rastic changes that accompanied industrialization led to women's participation in the workforce, in addition to their traditional responsibility of housework. Therefore, late marriages, low fertility, and childcare have become important social interests and laws were introduced to promote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In response to these law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stablished 10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in 2016, all of which are still in operation, as one of the methods to establish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to encourage women's entry to the workforce and overcome the low fertility issue. In this study,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are defined as "a communal place where parents in need of childcare can come at any time and a place where parents gather together for conducting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In this study, space utilization and indoor environment analyses on 10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in Jeju region, where communal cooperative childcare is desired,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space usage, to suggest expansion of the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project, and to recommend improvements to its space and environment. Accordingly, the study was conducted as described below.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it also defines the research purposes and scope.
The second chapter inclu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child development dur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s well as the space composition and indoor space organization in cooperative childcare facilities. Further, previous studies on definitions of communal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and cooperative childcare provided by family members, as well as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cooperative childcare provided by family members and indoor spaces of communal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ere described. This led to the theoretical base of the study and validated the concept of this study. Further,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research contents suggested the need, the scope,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y in detail.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research methods: field investigation,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For field investigation, measurement on each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space was conducted, which includes accessibility of approach path, the location of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in the building, the composition of indoor space, the area of each spac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rrangement, and the lighting. In the survey, parents with infants or young children were interview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hey have, level of education, age, migration status, residence, cooperative childcare experience, childcare period, employment,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motivation and procedure for participation, transportation, satisfactory levels of space composition, products and product usage in the centers, and their need for the program. In the in-depth interview, status and usage of equipped items, operating program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 analysis method for evaluation material using SPSS ver. 18.0 program is suggested.
Further, the study flow drawing is presented to describ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tudy, and the main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described in detail.
The fourth chapter includes research findings from field investigation, a survey on par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aff, which are as follows.
First, field investigation revealed that 8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ere established in Jeju-si and 2 centers in Seogwipo-si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6. Five centers were operated b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s, three by social organizations, one by apartment management facilities, and one by a small library. The average area was 57㎡, which is larger than the recommended minimum for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of 33㎡. In terms of physical space status, a playroom was established in all 10 centers and the most frequently established spaces were the library, nursing room, office, and lavatory for children, in that order. Five centers had a pantry and a simple space to wash hands and to prepare formula, while only two centers had independent toilet facilities for children.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aff allowed investigation of equipped item lists and the use of these items in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hich revealed high usage of toys, desks, books, play mats, water dispensers, air conditioners, vacuum cleaners, and storage facilities. Fire extinguishers and medicine were recognized as essential safety items to be equipped for use at any time, but were not frequently used. The reason could be that healthy children tend to visit the center and for a relatively short time.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usage and program status revealed that a total of 36 programs are currently in operation, of which parent-child programs were the most frequent with 21 programs, while 21 teams were operated by other family members.
Third, the survey on parents showed that on average, the user is a full-time stay-at-home mother in her 30s, a college graduate, living in an apartment, having two children and 1-5 years of childcare experience, and moved to Jeju island (52%) from other area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to gather information on education for children and to allow their children to meet friends in their age.
The users tend to use their own cars for transportation. This suggests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are perceived as a safe space near home where mothers and children of similar age can be together.
The fifth chapter includes the conclusion and discussion. Of the buildings in which the centers were established, 6 were welfare facilities, 1 was a facility for children, 1 was a childcare facility, 1 was an office space, and 1 was a detached house. In terms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ce organization, 10 centers had playrooms, 9 had libraries, 5 had pantry rooms, 2 had nursing rooms, and 2 had toilet facilities for children. In terms of management, 1 center was self-managed, 1 was run by unpaid volunteers, 2 had expert staff, and 6 had management staff. In terms of equipped items status and their usage, safety related items were recognized as essential items that must be in place and the infrequent use of safety items was analyz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healthy children tend to come to the center and for a short time.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ere a place shared by parents and children, but the centers were so diverse and in need of a standard for space usage. Integrated space composition between interest regions and play areas in indoor spaces needs to be planned with the environment-friendly space, the finishing material for the wall needs to be made of soft color mat for safety, the area needs to have ample natural light overall, and there is a need for various changes in space since diverse programs for children of different age groups occur in one spa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flexible use of space which could be accomplished through the use of curtains, partition, and portable furniture. In particular, the needs for toilet facilities for children and a pantry room with a sink were highlighted.
These research findings, which come from th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run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outstanding case analysis, will be necessary materials to advise the space and usage of environmental models, and to prepare a guideline manual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re is a need for accumulation of research material on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hich was the first researh operated by Jeju with the aim of permanent establishment by integrating the communal childcare and the exchange childcare on the islands, to prepare detailed articles for spatial plan guidelines for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Author(s)
배순옥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362
Alternative Author(s)
Bae, Sun 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활환경복지학과
Advisor
김봉애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표 목 차 ⅲ
그림목차 ⅴ
국문초록 ⅵ
Ⅰ. 서론 1
1.1. 연구배경 1
1.2. 연구목적 2
1.3. 연구범위 2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2.1. 영유아기 아동발달 특성 5
2.1.1. 영아기의 발달 특성과 환경 5
2.1.2. 유아기의 발달 특성과 환경 7
2.2. 보육시설의 공간구성 9
2.2.1. 보육시설의 공간구성 9
2.2.2. 보육시설의 실내공간에 대한 연구동향 14
2.3. 공동육아나눔터 및 가족품앗이 공간 16
2.3.1. 공동육아나눔터와 가족품앗이 정의 및 의의 16
2.3.2. 공동육아나눔터와 가족품앗이의 운영현황 18
2.3.3.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 19
2.3.4. 공동육아와 공동육아나눔터의 실내공간에 관한 연구동향 24
Ⅲ. 연구방법 27
3.1. 연구방법 27
3.2. 연구흐름도 28
Ⅳ. 연구결과 30
4.1. 현장조사 30
4.1.1. 수눌음육아나눔터의 일반적 특성 30
4.1.2 수눌음육아나눔터의 물리적 공간현황 32
4.1.3. 유아놀이 행태이론에 따른 유아의 환경과 수눌음육아나눔터와의 관계분석 33
4.1.4. 수눌음육아나눔터 10곳의 건축적 개요 및 특성 34
4.1.5. 수눌음육아나눔터의 실내환경 56
4.1.6. 수눌음육아나눔터의 비치물품 목록현황과 활용도 57
4.2. 수눌음육아나눔터 이용자의 설문조사 61
4.2.1. 수눌음육아나눔터 이용자의 일반적 특성 61
4.2.2. 수눌음육아나눔터의 이용실태 및 프로그램 현황 63
4.2.3. 수눌음육아나눔터의 공간 및 물품 만족도 65
4.2.4. 수눌음육아나눔터 프로그램 필요도 66
4.2.5. 수눌음육아나눔터 이용자의 특성 67
4.2.6. 수눌음육아나눔터 담당자 심층면담 69
Ⅴ. 결론 및 제언 71
References 7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배순옥. (2018).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의 공간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