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急就篇』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Ji Jiu Pian(急就篇)
Abstract
한글은 소리를 표현해내는 글자로서 세계의 문자들 가운데서 가장 우수한 글자이다. 그러나 한글은 소리를 적는 글자이므로 소리만 표현될 뿐 그 소리에 담겨진 의미는 표현되지 않는다. 그 소리의 의미는 상당 부분 한자어로 표현되어 왔다. 이러한 영향으로 한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한자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주장과 논쟁이 있어왔다. 일찍이 다산 정약용은 󰡔천자문󰡕보다는 󰡔류합󰡕을 가르치는 것이 글자를 익히는 데 효과적이라 하였는데 󰡔류합󰡕은 중국 󰡔급취편󰡕의 체례를 모방하여 지은 한자학습서이다.
본고는『급취편』에 관한 논문이다.『급취편』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소학서이다. BC. 48년 西漢(서한) 元帝(원제)초기에 시중에 보급되어 宋代(송대)까지 일천여년 세월동안 소학서로 활용되었다.『급취편』은 소학서로서 그 내용과 구성 면에서 독창성을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왕조와 시대를 넘어 소학의 교재로 사용된 기간이 여타 소학서와 비교되지 않는다. 또한 당세 학문의 태두와 서법대가들에 의해 필사되어 전해진 古典(고전)으로서 원문의 보존적 측면에서도 독보적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다.『급취편』이 왕조와 시대를 달리하면서 소학서로 그 생명력을 생생히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한자학습서로서의 교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다.『급취편』의 교재적 특성은 실생활과 글자의 접속이다. 즉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상용자를 학습자로 삼아 글자를 쉽게 익힐 수 있게 하면서 그 글자 속에 담겨있는 지식을 아울러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급취편』은 성명장, 제물장, 오관장, 가필장으로 분장이 되었다. 성명장은 삼언구로 구성되었으며 인명이 나열되었다. 성명은 성과 이름이다. 성은 주어지는 것이나 이름은 짓는 것이다. 즉 이름은 짓는 문장이다. 따라서 성명장은 주어지는 성의 연원과 지어지는 이름이 문장으로 분석되었다. 제물장은 칠언구로 구성되었으며 사물이 나열되었다. 제물장은 사물의 명칭으로 생성되는 한자의 造字(조자)원리와 사용원리인 六書(육서)와 종류별 집록에 따른 部首(부수)의 발생이 분석되었다. 오관장은 칠언구와 사언구로 구성되었으며 관직이 나열되었다. 오관장은 관제의 기원과 관직의 정립 및 한대의 관제가 분석되었다. 가필장은 後漢末(후한말) 魏國(위국)의 확장된 영토가 나열되었으므로 그 지리적 역사가 고찰되었다.
Hangul is the character to express the sound. It is the most excellent character of the world's characters. However, Hangul is the character to write the sound, it does not express the meaning of the sound but only expresses the sound. Chinese character can only express the meaning of the sound. So, Hangul is what is to write the sound a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 Not knowing the Chinese character, it is meaningless to write the sound as Hangul. Most of vocabularies that we use in our daily lives is the Chinese character. From the point of view in the field of study, we use the Chinese character except a postpositional word in the described sentence. In fact, the academic description is impossible without the Chinese character. That's why we necessarily need to be educated on the Chinese character in Korea,
If we surely ought to educate people about the Chinese character, the following problem is how to write the learning material about the Chinese character. In ancient China, "JIJIUPIAN" was supplied by the public in the early of the Dynasty West Han of Emperor Yuan, B.C.48, it was used as a primary grade learning textbook until the Song Dynasty for thousand years. What "JIJIUPIAN" had a tenacious hold on life as a primary grade learning textbook during various dynasties and eras wa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learning material as the perceive Chinese character learning material. The characteristic of learning material of "JIJIUPIAN" is to access real-life and letter. In other words, making letters for learning as characters in common use, it enabled people to master letters easily, and especially presenting the six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 and Radical expressed "Various Goods Chapter", it enabled them to master the basic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 We can make the Chinese learning textbook applied the case of "JIJIUPIAN" in Korea. We can make the contents including choosing letter for learning as Chinese character used in real life and mastering the basic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 If we do so, we'll be able to expect more efficient learning than now.
Thus, in this thesis, I have intended to raise understanding about the six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 and Radical, which is the basic knowledge to perceive Chinese character, and analyze examples and genesis of "radical" came from the principle of creating Chinese character, the six categories as pragmatic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creating Chinese character through "Various Goods Chapter". From this point of view, I hav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learning material of "JIJIUPIAN", focusing on the six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 and Radical expressed "Various Goods Chapter" of "JIJIUPIAN".
Author(s)
양성의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363
Alternative Author(s)
Yang, Seong Ew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Advisor
안재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사유『급취편』 2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4
Ⅱ. 소학과 소학서 8
1. 소학 8
2. 소학서 9
1) 한대의 소학서 26
2) 18세기 우리나라의 소학서 32
Ⅲ.『급취편』의 전서 44
1.『급취편』주해서 44
1) 후한시기 45
(1) 조수『급취장』 45
2) 남북조시기 45
(1) 최호『급취장』 45
(2) 유방『급취편속주음의증』 47
(3) 두로씨『급취장』 47
3) 수당시기 48
(1) 안지추『급취장주』 48
(2) 석지건『급취장음의』 48
4) 송원시기 49
(1) 대표원『급취편주석보유』 49
5) 명청시기 50
(1) 이본『급취장주』 50
(2) 만광태『급취편보주』 51
2.『급취편』법서본 52
1) 후한시기 52
(1) 최원 임서『급취장』 52
(2) 장지 장초『급취장』 53
2) 위진남북조시기 55
(1) 종요『급취편』 55
(2) 삭정 장초『급취편』 56
(3) 위부인『급취편』 59
(4) 왕희지 장초『급취편』 60
(5) 소자운『급취장』 61
(6) 최호 초서『급취장』 61
3) 수당시기 62
(1) 육간지 초서『급취장』 63
4) 송원시기 64
(1) 송태종 초서『급취장』 64
(2) 조맹부 진서『급취장』 65
3. 송강『급취장』각비 66
Ⅳ.『급취편』의 체례 68
1. 서문장 68
1)『급취편』서문 68
2) 안사고 주서 72
3) 왕응린 후서 75
4) 사고전서총목제요『급취장』 79
5) 서문장 분석 82
2. 성명장 107
1) 성씨의 기원 107
2) 서성의 발생 109
3) 名과 字의 명명방식 118
4) 성명장 분석 요약 126
3. 제물장 128
1) 칠언구 운문 129
2) 사물의 명칭과 육서 130
3) 부류별 집록과 부수 136
4) 제물장 분석 요약 137
4. 오관장 150
1) 오관의 기원 150
2) 관제의 정립 154
3) 성문법전『주례』 155
4) 오관장 분석 요약 160
5. 가필장 174
1) 가필장 분석 요약 176
Ⅴ. 結論 180
參考文獻 184
abstract 186
附錄『急就篇』原文 188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양성의. (2018). 『急就篇』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