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보건복지조직 종사자의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Language Violence Experiences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Health and Welfare Organization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 보건복지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보건복지영역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보건조직과 복지조직 종사자 간 언어폭력 피해경험의 현황을 파악하여 보건복지조직의 언어폭력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급 의료기관 3곳과 읍면동 사회복지직 공무원, 민간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 30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언어폭력(직장상사, 동료, 클라이언트)39문항, 심리적 소진 16문항, 이직의도 13문항, 일반적 특성 9문항으로 총 7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언어폭력 피해경험의 경우, 클라이언트, 직장상사, 동료 순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인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의 경우 보통수준(M=3.00)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 피해경험 수준 차이 분석결과 연령과 근무기간, 담당업무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직장상사, 동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직장상사로부터의 언어폭력 피해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동료와 클라이언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유무에서는 직장상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동료와 클라이언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서는 직장상사와 동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클라이언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유형과 최종학력, 종교에서는 클라이언트, 직장상사, 동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조직의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심리적 소진 영역의 비인간화(냉소)에서는 성별과 언어폭력 피해경험의 하위영역 중 클라이언트 모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심리적 소진 영역의 정서 고갈에서는 성별, 연령, 상사자아개념, 클라이언트 모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소진 영역의 개인성취감 결여에서는 성별과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지조직의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심리적 소진 영역의 비인간화(냉소)에서는 성별과 담당업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심리적 소진 영역의 정서 고갈에서는 상사 자아개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소진 영역의 개인성취감 결여에서는 담당업무와 클라이언트 자아개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건조직과 복지조직의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건조직에서는 성별과 상사 자아개념, 클라이언트 모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조직에서는 담당업무와 상사 자아개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뉴얼 개발과 전담팀 구성 등 적극적인 방법을 통한 보건복지 종사자 보호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지속적인 교육 및 동아리활동 등을 활성화하여 종사자 간 연대의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보건복지 서비스를 친절하게 제공받아야 한다는 당위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클라이언트로서, 직장상사로서, 동료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자세와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며 언어폭력을 보이지 않는 폭력이라고 해서 간과해서는 더 큰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인식 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보건복지 종사자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한 법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And also, this study is performed to provide a basic data for solving the violence damage of health and welfare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health and welfare a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experiences of the victims of verbal violence in health and welfare organiz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general hospital level medical facilities in Jeju-s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305 people including social welfare officers of Eup-Myeon-Dong and social welfare workers of private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elf-filling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9 items of verbal violence (job boss, colleague, client), 16 item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13 items of turnover, and 9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program with the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s, the experience of victims of verbal viol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ppeared in the order of client, supervisor, and colleague. The dependent variable, psychological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was lower than the normal level(M=3.00).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level of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ent, the boss, and the colleague for the age, working period, and the task.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der from the bosses for the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lleagues and the clients. In case of the martial statu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lleagues and the clients but not in the bosses of the workplace. And, for the employment typ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ents but not in the bosses and colleagu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ent, the boss, and the colleagues for the organizational type, final education, and relig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f language violence o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he health organization, the gender in the dehumanization (cynicism) of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area, and client insult of the sub-domains of th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f verbal viol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next, in the emotional depletion of psychological exhaustion region, gender, age, bose-self-concept, and client insul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gender and 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ack of self-fulfillment in psychological exhaustion area.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n psychological exhaustion showed that gender and occu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humanization (cynicism) of psychological exhaustion area. Then, in the emotional depletion of psychological exhaustion region, only the boss-self-concep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ack of self-fulfillment of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area. the task and the client-self-concep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s of victims of verbal violence in health and welfare organizations on the turnover int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boss-self-concept, and client insult in health organizations. But the tasks and boss-self-concep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welfare organiz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tect the health and welfare workers through aggressive methods such as manual development and dedicated team form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solidarity among workers by activating continuous education and club activities.
Third, as a client, a boss, a colleague, it is necessary to have a basic attitude and thinking, leaving the idea of receiving kind health & welfare services.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recognize that verbal violence can lead to greater social problems, if overlooked as invisible violence.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 legal system to protect human rights of health welfare workers.
Author(s)
강래화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458
Alternative Author(s)
Kang, Lae Hw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사회복지전공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언어폭력(verbal abuse)의 개념 및 유형 5
2. 심리적 소진(burnout)의 개념 및 유형 9
3. 이직의도 12
4. 선행연구 고찰 16
Ⅲ. 연구방법 18
1. 연구대상 18
2. 자료수집 18
3.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19
4. 측정도구 21
5. 분석방법 23
Ⅳ. 연구결과 24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2.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 분석 25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 피해경험 수준 차이 분석 26
4. 조직유형에 따른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35
5. 연구가설 검증 결과 41
Ⅴ. 결론 및 제언 43
1. 결론 43
2. 제언 48
3. 연구의 한계점 49
참고문헌 50
부록 1. 사회복지조직 종사자 설문지 56
부록 2. 보건조직 종사자 설문지 63
ABSTRACT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강래화. (2018). 보건복지조직 종사자의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