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형(型) 메세나활동 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a Jeju Type Mecenat Activity Mode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e up with an appropriate Mecenat activity model for the Jeju region. Even though the creation of cultural arts, support for its enjoyment as well as its environment forming have already been acknowledged as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nation and local government, there is a limit in terms of supporting various cultural arts solely with just the public finances or national budget. This is the very reason why support activities implemented by corporations or corporate foundations as a supplement for the public subsidy regarding cultural arts has been receiving a lot of focus. As such, there is definitely a need to carry out a research on the appropriate model that is customized for the Jeju region's corporations and its surrounding cultural arts environment.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of the Mecenat activities that are being carried out domestically has been looked into and an analysis was made to ascertain exactly what the conditions would be in order for Mecenat activities to become more active within the region. Based on the findings, a proposal was put forward for the establishment of a Mecenat activity model appropriate for the Jeju region's speci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The targets for analysis were the Korea Mecenat Association as well as Gyeongnam Mecenat Association which were activated by the corporations themselves,the Ulsan Mecenat Campaign Promotion Committee which is spearheading the Mecenat activities under the leadership by the local government, and several other Mecenat businesses led by metropolitan cultural foundations originally financed by local governments. The elements of the analysis include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cenat activity organization, whether it was being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state as well as the local government, provision of incentives as well as tax benefits to the Mecenat corporation, whether they carried out educational training regarding Mecenat activities to culture and arts foundations and so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llustrated that the important premise for an activation of the Mecenat activities is first, that the corporation itself must be the main agent in this venture and second that the state as well as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affirmative in its budget support. When this analytical frame was used to view the current situation in Jeju, the budget support by the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to the Jeju Mecenat Association was perceived to be insufficient and the participation of member corporations was quite low. In order to overcome this challenge,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Jeju type Mecenat activity model.
The first proposal that this paper is suggesting is that the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should be more aggressive in its budget support rather than just relying on the incumbent 'arms length principles'. Secondly, it should implement regulations which encourage Mecenat activities within the Special Laws of the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Thirdly, it is suggested that a 'Mecenat Governance' be set up amongst public corporations, economic organizations and media corporations that are located within Jeju. Finally, it is necessary for the cultural arts foundations to emancipate themselves from being just passive recipients and take on an active role in becoming Mecenat activists while reforming their attitudes and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The policies suggested by this paper are first the activation of a Jeju type Mecenat activity model and this itself is the underlying premise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pertaining region. Coexistence and hand in hand cooperation between Jeju Island local corporations and local cultural arts community through Mecenat activities will directly lead to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by the citizens. Ultimately, the construction and realization of a Jeju type Mecenat activity model will not just stop at supporting the financially poor cultural arts industry, but will trigger a balanced growth of the economy and cultural arts. It is the road to increasing cultural competitivenes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에 적합한 메세나활동 모델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문화예술 창작․향유 지원과 환경 조성은 이미 국가와 지방정부의 주요기능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공공부문의 재정이나 국가예산만으로는 다양한 문화예술을 지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문화예술에 대한 공공 지원의 보완재로서 기업의 메세나활동이 주목 받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이에 제주지역의 기업과 문화예술 환경에 적합한 모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메세나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역에서 메세나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적합한 메세나활동 모델 구축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분석 대상은 기업(인)이 주도하여 활발하게 메세나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한국메세나협회 및 경남메세나협회,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메세나활동을 견인하고 있는 울산메세나운동추진위원회, 지방정부 출연기관인 광역문화재단들이 추진하고 있는 메세나사업들이었다. 분석 요소는 메세나활동 조직의 구성과 특성, 국가 및 지방정부의 재정적 지원 여부, 메세나 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및 인센티브 제공 여부, 문화예술단체 대상 메세나 교육 실시 여부 등이었다. 분석 결과 메세나활동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전제조건은 기업(인)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과 국가 및 지방정부의 적극적 예산 지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분석의 틀을 통해 제주 상황을 살펴볼 때, 제주메세나협회에 대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예산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며, 회원기업의 참여도도 낮은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주형(型) 메세나활동 모델 구축이 시급하다. 본 논문이 제시한 정책 제언의 첫 번째는 제주특별자치도가 '팔길이 원칙'을 적용한 예산 지원에 보다 적극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에 메세나활동을 촉진하는 규정을 도입하고 셋째, 도내 주재 공기업과 경제단체 및 언론기관 등과 '메세나 거버넌스'를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단체들도 일방적 수혜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메세나활동의 적극적 수행자로서의 역할을 다 하기 위한 태도 개선과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제언하는 정책들은 제주형(型) 메세나활동의 활성화의 전제임과 동시에 그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조건이기도 하다. 메세나활동을 매개로 한 제주도 향토기업과 지역 문화예술계의 상생과 동행은 곧 도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의 확대로 귀결된다. 결국 제주형(型) 메세나활동 모델의 구축과 실현은 단순히 기업이 재정적으로 열악한 문화예술계를 지원하는 데에서 끝나지 않고 경제와 문화예술의 균형적 성장을 돕는 일이며 제주특별자치도의 문화경쟁력을 키우는 길인 것이다.
Author(s)
조선희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461
Alternative Author(s)
Cho, Sun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일반행정전공
Advisor
황경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배경 1
2. 연구 방법 2
Ⅱ 선행연구 고찰 3
1. 선행연구 고찰 3
1) 문화투자론 3
2) 기업시민론의 재인식을 통한 지속가능경영론 3
3) 문화마케팅론 4
4) 문화경영론 5
2. 연구 흐름도 및 분석의 틀 6
Ⅲ 한국 메세나활동 사례 분석 및 시사점 8
1. 메세나 개념 정의 8
2. 한국 메세나활동 사례 분석 9
1) 한국메세나협회 10
2) 경남메세나협회 14
3) 울산메세나운동추진위원회 20
4) 광역문화재단의 메세나사업 추진 현황 21
3. 시사점 28
Ⅳ 제주 메세나활동 분석 및 제주형(型) 모델 구축을 위한 조건 및 정책제언 30
1. 제주 메세나활동 분석 30
1) 제주메세나운동본부 시기 30
2) 제주메세나협회 태동기 35
3) 제주메세나협회 탄생과 활동 39
2. 제주형(型) 메세나 모델 구축을 위한 조건 47
1) 지자체의 적극적 예산 지원 47
2) 회원 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및 인센티브제도 시행 49
3) 회원 기업의 확대 및 조직 안정화 51
4) 문화예술단체의 수동성 및 소극성 극복 54
3. 제주형(型) 메세나 모델 구축을 위한 정책제언 59
1) 기업과의 동업의식, 팔길이 원칙 적용의 예산 지원 60
2) 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에 메세나활동 촉진을 위한 규정 도입 62
3) 지방정부, 도내주재 공기업, 지역 경제단체, 언론 등 메세나 거버넌스 구성63
4) 문화예술단체의 '먼저 찾아가는' 운동 전개 65
Ⅴ 결론 68
참고문헌 70
Abstract 7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조선희. (2018). 제주형(型) 메세나활동 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