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문화예술을 활용한 제주지역 마을 만들기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Research on Creating Jeju Regional Villages that Utilize Cultural Arts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예술을 활용한 제주지역 마을 만들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는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만들어 나가고자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을 만들기의 다양한 시도는 현 상황을 조금 더 긍정적인 상황으로 변화하려는 것으로 그러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하는 활성화 방안을 적극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도시 또는 마을의 양적 성장은 반드시 새로운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 시대의 정치 환경은 마을의 구성원인 주민들의 정치 의식을 발전시키고 다양한 정책결정에 참여하고 마을의 새로운 질적 변화의 욕구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출시킨다. 최근 전국적으로 시도되는 다양한 형태의 마을 만들기 시도가 그것이다. 본 연구는 마을 만들기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을 살펴보고 전국의 마을 만들기 사례를 통해서 마을 만들기의 추진주체, 추진대상과 지역 그리고 사업의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제주도 가시리 마을 만들기와 대정읍 지역 문화예술 동아리 활동 사례를 통해서 문화예술이 마을 만들기 사업 활성화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문화예술 활동을 통하여 마을 만들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주민과 마을 만들기 활동가, 그리고 실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운영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과 프로그램들이 마을 만들기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갖고 있는 문제점 그리고 개선에 필요한 활성안 방안을 제시하는 순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화예술을 활용한 제주지역 마을 만들기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지역주민에게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둘째, 마을의 문화예술 동아리와 전문 예술인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마을이 갖고 있는 문화예술 자원의 활용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국가(행정) 혹은 지자체와 지역주민과의 거버넌스 구축하여 마을에서 필요한 부분과 공공이 개입하여야 하는 부분을 협조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주민자치의 원칙이 우선되어야 하며, 마을 만들기 정책을 행정이 기획하고 지원하더라도 주된 추진 주체는 지역주민이 되어야 하며, 주민 스스로 사업에 대한 필요성이 전제되고 동기부여가 되어야 한다. 네째, 마을 주민이 주체가 되고 함께 즐기는 마을 축제로 의 변화를 통하여 마을 축제는 외부인의 참여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역 주민 스스로 좋아하고 즐기는 축제가 되어야 한다. 지역주민들이 함께 축제와 공연을 즐길 수 있어야 축제의 완성도와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주 그리고 대정이라는 지역으로만 국한하여 전국적인 확장성을 지니지 못한 채 마을 만들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한계가 있다. 하지만 제주지역의 성공적인 마을 만들기 사례인 가시리 마을과 마을 내에서 자생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아저씨밴드 "몽생이"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대정지역의 문화예술 활동 직접참여자, 공연기획가, 마을 만들기 전문가, 사업추진 단장을 심층 인터뷰하여 제주지역의 농어촌 마을의 문화예술활 동의 실태와 현장을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마을은 구성원 개개인들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요구하기 이전에 개개인들의 갖고 있는 문화적, 예술적 욕구를 최대한 공유하고 함께할 수 있는 마을을 만들어 내는 적극적인 고민과 행동을 기대한다.
This paper has the purpose of proposing methods to activate the creation of Jeju regional villages that utilize its own cultural arts. This could be said to be an attempt to come up with communal awareness within the people and to resolve regional issues. The various attempts to create these villages can be said to be an effort to change the situation into a more positive one and there definitely is a need to research into the activation plan aggressively to reach such affirmative results.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a city or a village inevitably demands a transition into a new qualitative development as well. Not only that,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a local autonomy era raises political awareness of the people who are constituents of the village, making them participate in policy implementation decisions and ultimately inducing them to let out the desire for new qualitative changes in the village in several ways. The attempts to several types of village forming that i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on a national basis recently is just that. This research first looked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cept of village making then through the case studies of village makings in the domestic scene, a further investigation was executed to look into the agent who launched the village making process, the target people and their location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project. The case studies of the Gasiri Village and the activities of the cultural art organization of the Daejung-eup Village was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as to find out how cultural arts could contribute to activating the village making process.
In-depth interviews of regional resi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village making process through cultural arts, activists, and the people who are responsible for the actual running programs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at kind of effects it had on the village making activation project as well as to various cultural art programs. The research was then carried out to propose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any problems that currently existed within the scope of the project.
As the first proposal to activate Jeju regional villages that utilize cultural arts, there should be various provisions of opportunities given to the regional residents to enjoy the cultural arts. Second, a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amongst professional artists and village cultural arts organizations. Through the networking, the challenges and limits faced by the village in terms of using its cultural art resources should be overcome. Third,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governance between the state(administrative body) or local authority with the regional residents to cooperate and discuss about in what parts the village is lacking and in what parts the government needs to intervene. However, even in the case where intervention might be perceived to be necessary, the principles of the regional people should be made a priority and even if the village making policy was headed, planned and supported by the administrative body the true agent of the project should be the local residents. At the same time, the residents themselves should be given the incentive, the necessity and motivation. Fourthly, through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village festivals that are organized and enjoyed by the local people themselves, the festivals must become one that can be run and enjoyed independently and not just relying on the participation of outsiders. The festival's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rate can only be high if it can be enjoyed mutually along with the local residents.
This paper is limited in proposing the village activation plan without considering the expansion into other domestic scenes as it laid its boundaries within Jeju and one region called Daejung. However, there is a lot of significance in that it looked into the actual farming and fishing village sites and situations such as carrying out specific investigation of successful Jeju case studies of the Gasiri Village and the independently functioning male band "Monseng-ie" as well as carrying out in-depth interviews with direct participants of Daejung region cultural art fields, performance planners, professional village making experts and executive heads of projects.
It is hoped that before the villages demand its constituents to act upon its social obligations and roles, it could lay out the foundation to expect active deliberations and actions which would ultimately lead to the creation of villages that could be shared in its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possessed by individuals so that every stakeholder residing in the village could participate together.
Author(s)
나문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474
Alternative Author(s)
Na, M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지방자치전공
Advisor
황경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1. 마을 만들기의 이론적 배경 4
1) 마을 만들기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 4
2) 마을 만들기 유형 6
2. 선행연구 고찰 10
1) 사례중심 선행연구 10
2) 일반적 마을 만들기 활성화 선행연구 12
Ⅲ. 마을 만들기 사례분석 13
1. 분석의 틀 13
2. 제주지역 마을만들기 사례 분석 14
1) 가시리 유채꽃 마을 14
2) 대정마을 "아저씨 밴드 몽생이" 24
Ⅳ. 인터뷰 조사 34
1. 조사대상 및 범위 34
2. 조사 결과 36
1) 마을만들기에서 문화예술활동에 접목한 동기 및 계기 36
2) 문화예술 활동의 취지와 목적 39
3) 문화예술 활동의 추진주체의 역할 42
4) 문화예술 활동과 지역주민들의 참여 47
5) 공연과 마을축제와의 연계 49
6) 심층 인터뷰 조사결과의 시사점 51
Ⅴ.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 54
1.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의 제공 55
2. 마을의 문화예술 동아리와 전문 예술인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 55
3. 국가(행정) 혹은 지자체와 지역주민의 거버넌스 구축 56
4. 마을 주민이 주체가 되고 함께 즐기는 마을축제로의 변화 56
Ⅵ. 결론 57
1. 연구의 요약 및 한계 57
2. 정책 제언 58
참고문헌 61
Abstract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나문. (2018). 문화예술을 활용한 제주지역 마을 만들기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Local Self-Government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