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겸재 정선의 예술과 사상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rt and Thought of Gyeomjae Jeong Seon
Abstract
겸재 정선은 진경산수화를 창안하고 발전시켰으며 나아가 유교문화에 기반을 둔 도덕적 사상과 이상적 세계관을 작품에 담아내었다. 이러한 겸재의 작품은 후학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한국의 미술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조선 후기에는 진경의 참된 의미가 부여된 문학과 시조가 성행하였으며 특히 회화 분야에서는 중국의 남종문인화와 실경산수화의 성격을 지닌 진경산수화가 부각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창안된 겸재 진경산수화의 발전 과정과 특징을 초기, 중기, 말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작품 도록의 순서를 겸재가 금강산을 유람하는 과정에 맞추어 구분하였다.
진경산수화를 창안한 겸재의 회화관은 조선 후기 회화의 새로운 형식과 화풍을 만들었고 이러한 그의 독창적인 진경산수화 작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그의 작품은 형식적인 면에 있어서 진경산수화에서 볼 수 있는 자신만의 조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내용적인 측면으로는 성리학과 주역에 바탕을 두면서 실학사상까지 접목한 특유의 정신성을 지닌 사상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겸재 진경산수화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면, 겸재는 남종화와 북종화를 융합하여 자신만의 준법을 완성하고 공간과 구도의 틀을 만들었으며, 자신이 직접 유람하고 사생한 조선의 산천을 주제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또한 시대상을 반영한 점경인물의 표현과 조선의 풍토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준법을 구사하였고 특유의 정(丁)자 형상으로 소나무를 표현하였다.
겸재 진경산수화의 사상적 특징은 주역의 원리에 입각한 음양의 조화로운 표현이며, 태극 구도를 이용한 음양의 조화, 성리학의 이념과 조선성리학과 실학사상에 바탕을 둔 사실주의적 경향이다. 또한 순환하는 기의 흐름을 낙관과 명제의 위치에 대한 연구의 성과가 작품에 담겨있다.
이러한 특징을 종합해 보면 겸재의 진경산수화에 담긴 예술성과 사상은 자연을 감상하는 감상자의 역할을 넘어서 직접 산수를 관찰하며 사생하고 자연과 동화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자아를 찾아가는 예술 본연의 자세와 순수미를 지향하는 겸재의 예술관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담겨있는 예술과 사상에 관해 연구하여 진경산수화의 회화사적, 인문학적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현대에 적용 가능한 가치관으로 정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Gyeomjae Jeong Seon created and developed Jinkyoung landscape paintings and expressed ethical thought and ideal view of the world based on Confucianism culture in his works. Arts of Gyeomjae has profound effects on following scholars, and its value is highly recognized as the most influential works in the art history of Ko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literature and sijo containing genuine meaning of real views were widespread. In the field of painting, in particular, Jinkyoung landscape painting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of southern Chinese style and real-view landscape paintings were focused on. The research explor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yeomjae Jinkyoung landscape paintings, which were created in such temporal background, by early, mid and late period, and classified the works in the order of Gyeomjae's travel to kumgang Mountain.
The viewpoint on painting of Gyeomjae who created Jinkyoung landscape painting made the new form and painting sty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his creative Jinkyoung landscape paintings are as follows:
In terms of form, Jinkyoung landscape painting has his own formative characteristics. When it comes to contents, it is based on Neo-Confucianism and I Ching as well as holds unique spirituality linked with thoughts of shilhak.
As fo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yeomjae Jinkyoung landscape paintings, Gyeomjae combined paintings of southern Chinese style and northern style to complete his own rules and created the frame of space and structure, and created art based on mountains and streams of Joseon he had traveled and sketched in person. Moreover, he utilized the rule suitable for expressing human figure in landscape painting reflecting the phase of the times and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and drew pine trees with a unique shape of jeong (丁).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yeomjae Jinkyoung landscape painting include harmonious expression of yin and yang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 Ching, harmony of yin and yang using the structure of taegeuk, and naturalistic trend based on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and thoughts of Neo-Confucianism and Shilhak in Joseon. Also, the art contains results of research on the position of optimism and proposition of circulating flow of energy.
In conclusion, the artistic values and thoughts in Gyeomjae's Jinkyoung landscape painting reveal that Gyeomjae was assimilated with nature by observing and sketching mountains and streams in person rather than just being a viewer of nature. Additionally, they show the artistic viewpoint of him to find ego in the process as the natural artistic attitude and to pursue purity.
This research on the art and thoughts in Jinkyoung landscape paintings of Gyeomjae Jeong Seon aims to help understand the value of the paintings in terms of painting history and the humanities and establish values applicable to the modern society.
Author(s)
김진수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493
Alternative Author(s)
Kim, Jin So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이창희
Table Of Contents

그림목차ⅳ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진경산수화의 발생과 배경 3
1. 조선시대의 회화의 시대적 배경 3
2. 진경산수화의 의미 4
3. 진경산수화의 사상적 배경과 발생 6
Ⅲ. 겸재 정선의 생애와 진경산수화 12
1. 겸재 정선의 생애 12
2. 겸재 정선의 시기별 진경산수화 작품 18
1) 겸재 정선의 초기 작품 19
2) 겸재 정선의 중기 작품 31
3) 겸재 정선의 말기 작품 35
3. 진경산수화풍의 특징과 정신세계43
Ⅳ. 결론 45
참고문헌 47
5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김진수. (2018). 겸재 정선의 예술과 사상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