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시 원도심 옛길 걷기 스토리맵 제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making story map for explaining Jeju City old rout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시 원도심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공간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하여 원도심 옛길 걷기 스토리맵을 제안하는데 있다. 스토리맵을 활용하여 선인들의 삶의 궤적을 따라 걸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 지역 가치의 재조명을 통해 원도
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여러 단체와 기관 등에서 원도심 옛길 유적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걷기 코스를 진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유적지를 중심으로 짜여져 있어, 제주의 자연적 요소가 결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대상지 내에서 도심 속 자연적 요소를 부각시켜 기존의 걷기 코스들과의 차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도심은 제주에 들이닥친 개발 열풍으로 역사문화적, 자연적 자원 요소를 지닌 장소들이 사라지고 있으며, 그 장소를 기억하는 인물들도 사라지고 있다. 유적이 사라진 옛 장소 인근에 표석들은 남아 있지만, 세대 간 이야기가 단절 된다면 표석만으로는 과거의 이야기와 연결이 쉽지 않다. 다음 세대들에게 탐라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제주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보여줄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공간이 바로 제주시 원도심이다. 제주시 원도심 옛길이 지니고 있는 역사성을 기반으로 정주민들과 다음세대들에게 지역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이끌어낼 연결고리로 활용하기 위한 원도심 옛길 걷
기 스토리맵 제안 연구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공간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스토리맵을 정의하여 원도심의 장소 자산을 공간스토리텔링의 단계로 분석하고, 결과적으로 스토리맵을 제안 하였다. 둘째, 제주시 원도심 옛길 걷기 코스 사례들을 분석하고, 코스를 지도로 표기하여 차이점과 공통점 및 걷기 코스들의 특징을 도출하여 본 연구의 스토리 라인을 구성하는 자료로 참고하였다. 셋째, 문헌자료조사와 현장답사를 통해 원도심 옛길 자원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연구 대상지의 장소자산을 도출하였다. 넷째, 도출된 장소자산을 기반으로 '제주를 만나다', '제주를 공부하다', '제주를 체험하다', '제주를 위로하다', '제주를 꿈꾸다' 순으로 테마 스토리 라인을 구성하고, 공간 구성단계에서 스토리맵을 제작하였다. 결론에서는 제작된 스토리맵의 활용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스토리맵 제안 연구를 통해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제고하고, 다음 세대들에게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정주민들에게는 지역에 대한 자긍심 고취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관광객들에게는 개별적으로 원도심 옛길을 탐방 할 수 있는 역사와 자연이 숨쉬는 살아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
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활용 범위를 넓혀갈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ory map of Jeju old downtown area based on space storytelling using resources of old downtown area in Jeju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ld downtown Walking Story Map based on spatial storytelling using resources in the old downtown area of Jeju. Using the story map, we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walk along the trajectory
of the life of the ancestors, and seek to revitalize the walk through the old town by reexamining local values. Many organizations are conducting a variety of walking courses that utilize the resources of ancient towns and villages, but most of them are centered around historical sites and lack the natural elements of Jeju.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natural elements in the inner cities within the study site and present their differentiation from traditional walking courses. As Jeju development craze, places with historical, cultural and natural resource elements are disappearing and people who remember the place are disappearing. Although the monument are still remaining in the Jeju city old downtown places, it seems that it is not easy to convey the past story to the current generation and next generation. From Tamna Period, Joseon Period to Modern Period, and from Story of My Parents' Generation to modern generation, In other words, Jeju old downtown area is a space where Jeju's history and culture can
be told and shared with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Old downtown area in Jeju, I used it as a link between residents and future generations and A study on making story map for explaining Jeju City old route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we defined the concept of space storytelling and story map, and analyzed the place assets of old downtown as a stage of space storytelling, and suggested story map as a result.
Second, it analyzed the old hiking course cases in Jeju and drew differences, similarities, and characteristics of walking courses using maps and referred to them as data that would form the storyline of the study. Third, through analyzing literature data and field trips, w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old downtown area and derived the site assets of the study site. Fourth, based on the derived location assets, the theme story line is composed of 'Meet Jeju', 'Study Jeju', 'Experience Jeju', 'Comfort Jeju', and 'Dream Jeju' , And the story map was produced at the spatial composition stage. In conclusion, we suggested how to use the produced story map. This story map proposal study aims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next generation on the local area, and to raise the pride of local residents on the local area. Furthermore, tourists will be provided with living information that will enable
history and nature to explore the old downtown streets individually.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broaden the scope of future use and provide a model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uthor(s)
박젬마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498
Alternative Author(s)
Park, Gem-M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Advisor
황경수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Ⅱ. 공간 스토리텔링 관련 이론적 배경 6
1. 공간스토리텔링의 개념 6
2. 스토리맵의 사례 11
3. 옛길 코스 사례 분석 13
1) 제주올레길 15
2) 제주성안유배길 16
3) 제주기독교순례길 17
4) 제주천주교순례길 18
5) 탐라옛골목길 19
6) 원도심 탐험길 20
Ⅲ. 원도심 옛길 공간 스토리텔링 스토리맵 제안 27
1. 연구 대상지 옛길 현황 분석 27
2. 장소성 분석 31
3. 스토리 부여 43
1) 제주를 만나다 44
2) 제주를 공부하다 47
3) 제주를 체험하다 48
4) 제주를 위로하다 51
5) 제주를 꿈꾸다 52
4. 공간구성 : 스토리맵 제작 54
Ⅳ. 결론 60
[ 참고문헌 ]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박젬마. (2018). 제주시 원도심 옛길 걷기 스토리맵 제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Storytell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