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prehistoric museum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Jeju Samyang-Dong Remain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의 선사시대 교육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였다. 특히, 제주지역 내 선사시대를 특화시켜 전시하고 있는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런 필요성에 근거해,
본 연구에서는 제주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선을 위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기에 앞서 고고학 연구의 세 가지 접근인 문화사 고고학, 과정주의 고고학, 탈 과정주의 고고학과 하인의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고학적 전시구조와 교육프로그램을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 '설명-발견 접근법', 해석-구성주의 접근법'으로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분석 관점과 분석 요소를 개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 삼양동 선사 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양동 선사 유적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은 전체적으로 '기술-
직접적 설명' 접근법을 취하고 있었다. 관람자인 학생들이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과거 사람들의 이야기를 발견하고 의미를 구성하기보다는 과거의 생활양식에 관한 정보를 세세하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어 있었다. 둘째, 삼양동 선사유적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은 순차적으로 제시된 경로를 통해 체험을 유도하였다. 시작과 끝이 분명하고 의도적인 동선을 제공하는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은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에 속하는 유형으로, 고고학적 지식을 관람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좋은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접근법이 관람자로 하여금 고고학적 지식을 발견하게 하고(설명-발견 접근법), 자신만의 의미를 구성하도록 (해석-구성주의 접근법) 격려하지는 못하였다.
셋째,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은 관람자의 의미 구성 방식과 관련해 문화사적 기술의 습득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설명 패널과 유물 라벨에는 유물의 시기, 명칭, 용도, 재질, 형식, 이주 및 전파에 관련된 정보들만 제공되고 있었다. 또한 현장체험학습교재는 이러한 고고학적 기술 내용을 확인하는데 그치고 있었다. 한편,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은 관람자의 사전 경험과 인지 발달을 고려하거나 직접 조작, 탐색, 실험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만의 지식을 구성하게 하는 측면에서도 미흡한 점을 드러냈다.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 유형에 치우쳐, 설명-발견적 접근, 해석-구성주의적 접근을 고려한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선사유적 박물관은 선사인의 삶을 추론하고 해석하는 고고학자들의 탐구 과정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교육공간으로, 학생들은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고고학적 맥락에서의 역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삼양동 선사유적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향후 삼양동 유적지의 교육적 개선 작업의 일환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가 학교 역사교육에서 제주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prehistoric museum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as a part of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ehistory education in schools. Especially, the need for educational involvement was recognized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where its exhibitions include prehistoric remains of Jeju. Based on this fact, this study attempted a critical analysis o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for their improvement.
Prior to analysis, the three approaches to archaeological studies were explored, namely culture historical archaeology, processual archaeology, and post-processual archaeology as well as the constructive museum education put forth by George E. Hein. Based on the findings, the archaeological exhibition structure and educational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explanation-discovery approach', and 'interpretation-constructivism approach' and their analytic perspectives and factors were develop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in general, took up the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meaning that rather than allowing the spectators to find stories and constructing meanings from the archaeological records, the museum directly delivered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lives of the past.
Second,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encouraged the spectators to take in the experience in the sequence that they intended. With a clear beginning and ending and a deliberate route, the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opted by the museum may be
an effective means to deliver archaeological knowledge to the spectators, but it was constrained in terms of allowing the spectators discovering archaeological information on their own and constructing meanings. Third,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of meanings by the spectator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learning of 'cultural
historical description'. The explanatory panels and labels only provided information regarding the time, form, migration and dissemination, materials, purpose of use, and function. What's more, the sole purpose of the museum handouts was to confirm these archaeological
descriptions only.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also displayed their deficit in facilitating the spectators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direct operation, exploration or experimentation, nor took into consideration the past experience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spectator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is exceedingly predisposed toward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and must be modified to incorporate 'explanation-discovery approach' and 'interpretation-constructivism approach'. Because a
prehistoric museum should be an educational space for the spectators to experience the exploratory courses of archaeologists in inferring and interpreting the lives of people in prehistoric times and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historical thinking
skills in an archaeologic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critical analysis o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should be utilized in the course of museum's attempt at educational improvement. In the same context, I hope this study serves as a steppingstone for schools to exploit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as a part of their history courses.
Author(s)
임보아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499
Alternative Author(s)
Lim, Bo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사회교육
Advisor
김은석
Table Of Contents
국 문 초 록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5
3. 연구 방법 5
Ⅱ. 고고학 맥락을 통한 선사유적 박물관 교육 9
1. 고고학 연구의 세 가지 접근 9
2. 고고학적 접근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유형 21
3. 제주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의 전시구조와 교육 현황 34
Ⅲ.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 분석 48
1. 분석 관점 및 분석 틀 48
2. 분석 결과 51
Ⅳ. 결론 98
참고 문헌 101
103
ABSTRACT 10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임보아. (2018).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