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내재화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Enhanced Emotional Competence on Improving the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내재화 문제행동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불안/우울 행동 개선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둘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위축/우울 행동 개선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셋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신체증상 행동 개선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이 연구의 연구 대상은 J시 J고등학교에 재학하는 1학년 여학생 중 정서행동 관심군 학생들이다. 연구 참여자는 총 12명으로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에 무선배치 되었다. 연구자는 송재홍(2015, 2016b)의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총 8회기로 구안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2017년 8월 29일부터 2017년 9월 28일까지 주 2회, 120분씩 총 8회기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측정도구는 Achenbach와 Edelbrock이 개발하여 오경자 등이 표준화한 한국판 청소년 행동 평가척도(K-YSR)이다. 연구자는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후에 두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사전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독립 표본에 의한 독립 t-검정을 실시하여 사후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의 변화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임상, 준임상, 정상 각 수준별 변화의 정도에 따라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유형에 따른 빈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안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연구자의 관찰 내용과 실험집단 연구 참여자의 경험 보고서 등을 토대로 내재화 문제의 하위 요인별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불안/우울 행동 개선에 의미 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위축/우울 행동 개선에 의미 있는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신체증상 개선에 의미 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서유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과정에서 위축/우울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난 것은 정서 및 정서 조절, 자해행동과 자살생각에 대한 의미를 익히고 자신의 삶과 정서를 깊이 탐색함과 동시에 따뜻하고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고 충분하게 분출하는 과정을 통해 비롯되었다. 또한, 집단원간의 협동 작업을 통해 타인의 정서까지 좀 더 수용할 수 있게 되고, 긍정적인 상호 피드백과 공감 등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얻고 긍정적인 자아상이 확보된 것도 변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불안/우울 영역과 신체증상 영역에서 실험집단 참가자들은 통제집단 참가자들보다 높은 점수의 변화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이는 각 6명씩의 집단원을 대상으로 4주간 8회기라는 단기 프로그램을 운영한데 따른 한계로 보여지며, 불안/우울 영역과 신체증상 영역의 특성상 정서표현적 접근뿐만 아니라 사고의 체계를 바꾸는 훈련을 하는 인지행동적 접근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데서 기인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내재화 문제행동 중 위축/우울 문제행동 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 연구는 소규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짧은 기간 안에 이루어진 것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를 보인다. 또한 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나 개인별로 그 효과의 정도에 차이가 나는 데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좀 더 객관적인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다양한 설계를 통한 활발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oti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s. To this end, I set up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at effect does the emoti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have on improving anxiety/depressive behavior in high school girls? Second, what effect does the emoti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have on the improvement of depressed/depressed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Third, what effect does the emoti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have on improving the physical symptoms of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emotional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competence-enhancing progra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nxiety/depressive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s. Second, the emotional competence-enhanc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depressed/depressed behaviors of the high
school girls. Third, emotional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physical symptoms of high school girls. In the group counseling process for enhancing emotional compet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atrophy/depression domain. The students learned the emotional and emotional control skills, deeply explored their lives and emotions, And the process of erup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cooperative work among group members can accept more emotions of others, and positive emotional support and positive self image are obtained through positive mutual feedback and empathy.
On the other h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in the anxiety/depression domain and the somatic symptom domain did not reach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even though they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This is because of the limit of operating the short program of 8 weeks for 4 weeks for each group of 6 people, and the anxiety/depression, the body which should be considered the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o change the system of thinking as well as the expressive
approach And i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mptom reg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motional competence-enhancing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e atrophy/depressive behaviors in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high school girls.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small-scale student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although the same program was provide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ffect of each individu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with various designs for more objective effectiveness verification.
Author(s)
강보라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507
Alternative Author(s)
Kang, Bo R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송재홍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1)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 5
2) 정서행동 관심군 5
3) 내재화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청소년의 정서행동 특성 7
1) 인문계 여고생의 정서적 특성 7
2) 정서행동문제 7
3)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8
2. 정서유능성 12
3. 내재화 문제 13
4. 정서유능성과 내재화 문제 14
5.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 15
Ⅲ. 연구방법 20
1. 연구 설계 20
2. 연구 참여자 20
3. 측정도구 21
4. 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 23
5. 자료처리 및 분석 25
1) 양적 분석 25
2) 내용 분석 25
Ⅳ. 연구결과 26
1. 내재화 문제행동 개선의 효과성 검증 26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26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효과성 검증 27
2. 내재화 문제행동의 하위영역별 변화 양상 28
1) 불안/우울 문제의 변화 28
2) 위축/우울 문제의 변화 32
3) 신체증상 문제의 변화 39
Ⅴ. 논의 및 제언 45
1. 결론 및 논의 45
2. 제언 48
참고문헌 49
ABSTRACT 53
부록 56
접수면접 기록지 및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56
청소년 정서·행동 특성검사지(AMPQ-Ⅲ) 58
정서유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회기별 내용 61
감정일기 양식 63
정서조절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평가지 64
정서조절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전체 활동평가지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강보라. (2018).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내재화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