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 대중음악 분석 연구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최근 한 일간지의 보도에 의하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한류행사에 K-Pop 가수를 보기 위해 1만 3천명의 관중들이 모였다고 한다. 한류열풍의 중심에 있는 K-Pop 즉,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은 현재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문화로서 절정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로 성장한 한국 대중음악에 대해 우리나라 학교음악교육에서는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하고 있는 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중 한국 대중음악을 분류, 분석함
으로써 학교 교과과정에서 대중음악교육에 관련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대중음악은 순수 음악의 상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일반 대중이 친숙하게 느끼고 즐기는 대중성과 상업성 혹은 오락성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장르별 혼종이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내 끊임없이 발전하여 장르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특징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대중음악은 시대, 장소 혹은 사람에 따라 그 정의가 각기 다르다. 위와 같은 특징은 대중음악이 음악교육에 적용되었을 때 음악의 장르 구분이나 정의, 용어설명이 명확하지 않아 대중음악의 이론학습에 어려움을 초래하거나, 현대적인 악기를 다루는 활동에 있어서 학교에서 악기를 구비하고 관리하는데에 어려움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음악교육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만들어 내고 즐기는 '동시대의 음악(Contemporary Music)'을 공유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이는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감정과 생각을 선율과 가사로 풀어내고, 개인의 음악적 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어 올바른 대중음악을 수용하게 하는데 있다. 하지만 우리가 다른 장르에 비해 대중음악을 가장 많이 향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래식 음악이나 국악이 아니라는 이유로 교육에서 배제된다. 이것은 현실에 대한 이해 부족일 뿐 아니라 예술에 대한 편견 일 수도 있다. 또한, 한국대중음악은 한류열풍의 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음악의 장르이다. 이러한 한국대중음악을 학교음악교육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가에 대해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음악교육에서 한국대중음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교 교육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음악교과서 3종을 선정하여 분석․비교 하였다. 첫째, 제주도내 고등학교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를 선정한다. 둘째, 제주도내 고등학교에서 사용빈도 수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누어 교과서
를 선정한다. 본 연구자는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선행 연구로 각 교육과정별 대중음악의 비율을 분석하고, 대중음악의 정의와 장르를 구분하였다. 연구자가 제시한 기준에 의하여 선정된 (주)미래앤, (주)박영사, (주)지학사 3종의 교과서에서 1차적으로 대중음악 분야를 분석하고, 그 중 한국 대중음악에 대하여 상세 분석․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제 1차 교육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 중 대중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교육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의 장르는 총 9가지 정도로 나타났으며, 대중음악장르 가운데에서도 3종의 음악교과서 모두 한국 대중음악인 K-Pop이 평균32. 70%로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다. 이후 한국 대중음악은 발매연도, 장르, 조성, 학습활동의 세부적인 2차 분석을 통해 각 음악교과서가 가지는 특징을 파악하고, 3종의 음악교과서를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음악교과서에서 한국 대중음악을 수용하는 자세와 한국 대중음악이 학교음악교육에서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학교음악교육에서 대중음악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한 학계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이 연구가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다양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a recent daily report, about 13,000 spectators gathered to watch
K-Pop singers in a Korean wave event in Paris, France. K-Pop, which is at
the center of the Korean Wave craze, is at its peak as a cultural, symbol of
Korea. Korean Pop music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culture of Korea,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Korean Pop music, which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culture of Korea, is recognized and accepted in Korean school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nalyze Korean Pop music
among other Pop music in textbooks and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Pop
music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Pop music is used as a relative concept of pure music, and has an image of
popularity, commerciality, or entertainment which the general public feels
familiar with and enjoys. In addition, the hybrid of genre creates a new
genre, and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definition of genre is not clear. Therefore, Pop music has different definitions depending on the time, place,
and pers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it might become difficult to learn the theory of
popular music because the classification, definition and terms of music are not
clear, especially when Pop is applied to music education. Furthermore, there
might be difficulties in managing the modern musical instruments related with
instrument activities.
Nonetheless, the purpose of popular music education is to share the
'Contemporary Music' created and enjoyed by people of the same age. This is
to express the emotions and thoughts, which people in the similar age can
sympathize, through melody and lyrics, and to help individuals improve their
musical competence and accept correct Pop music.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we enjoy popular music the most compared
to other genres, it is excluded from education because it is not classical
music or Korean music. This is not only a lack of understanding of reality,
but also a prejudice against art. In addition, Korean Pop music is the most
popular genre of music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re is a need to look at how these Korean Pop music is applied in school
music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the textbooks that are used in school
education, we selected three kinds of music textbooks by the following
criteria, and compared them.
First, we selected a textbook which is actually used in high school in Jeju
Island.
Second, textbooks were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in high schools in Jeju Island.
Prior to the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roportion of Pop music in
each curriculum and classified the definition and genre of Pop music.
We analyzed the Pop music field in detail, which were in the three textbooks selected by the researcher's criteria, namely, Mirae-Ann Co., Ltd.,
Park Young-sa and Ji hak-sa Co., Ltd.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ortion of Pop music in the
textbook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gradually
increas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e total number of genres of popular music in music textbooks was
approximately 9, and among the popular music genres, K-Pop, was the most
included genre in all three music textbooks, with an average of 32. 70%.
After secondary analysis of the release year, genre, composition, and learning
activities of K-Pop,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usic textbook was
understanded and the three textbooks were compared.
Through the research, we were able to confirm the attitude of accepting
Korean Pop music in music textbooks and how Korean Pop music has
developed in school music education.
In order to utilize Pop music more actively in future school music education,
Pop music based academic research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and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various basic materials to teachers who teach
students at school.
Author(s)
고상희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529
Alternative Author(s)
Koh, Sang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ⅴ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3. 연구의 제한점 6
Ⅱ. 본론 8
1. 이론적 배경 8
1.1. 교과서의 개관 8
1.2. 2009 개정 교육과정 10
2.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대중음악 분석 14
2.1. 대중음악의 정의와 종류 14
2.2.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 25
2.3. 한국 대중음악교육의 필요성 31
2.4. 교육과정별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의 변화 34
2.5. 3종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음악과 생활' 분석 35
Ⅲ. 결론 59
참고문헌 61
ABSTRACT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상희. (2018). 한국 대중음악 분석 연구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