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농어촌 지역 초등학생들이 갖는 방과후학교의 의미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 농어촌 지역 초등학생들이 갖는 방과후학교의 의미를 탐색하고자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농어촌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의 참여 동기는 어떠하며, 두 번째 학생의 경험과 이해를 토대로 방과후학교가 의미하는 바, 세 번째 농어촌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방안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표집한 연구참여자는 제주시 읍·면단위에 소재한 A초등학교 5, 6학년 학생(11∼12세)중에서 2년 이상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에 작성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집단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인 개방 코딩을 이용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질문지 작성 시 참여 형태, 방과후학교의 의미, 방과후학교의 문제점, 활성화 방안 4가지 영역으로 질문을 구성하여 정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 문제에 맞게 도출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농어촌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의 참여 동기는 자발적 참여의 경우 내적 동기에 맞는 선택을 하고 있고, 부모님과 상의 후 선택하거나 부모님의 권유로 참여하는 학생의 경우 외적 동기에 맞는 선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학생의 입장에서의 방과후학교의 의미하는 바에서는 자기계발과 자기만족, 수업과 차별화된 자율의 시간, 교과 보충을 위한 차선책, 보육기능 네 가지 코딩이 도출되었다. 세 번째, 문제점으로는 자율 vs 의무감의 갈등이다. 네 번째, 농어촌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방안으로 수업과 차별화된 경험 중심의 프로그램과 부족한 교과 보충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한다.
방과후학교는 지적 호기심이 있거나 공부하고 싶은 분야, 특기적성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강좌를 개설하고 자율적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학생들이 관심분야나 하고 싶은 것을 찾아 스스로 참여할 때 더욱더 활성화된 방과후학교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closely examine the meaning of after-school program for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Jeju self-governing province.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participation motive for after-school program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econd, what meanings does after-school program have in terms of participating student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Third, how to invigorate after-school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is ten (10) elementary students of fifth or sixth
graders aged 11 or 12 who has taken after-school programs for more than two year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Jeju self-governing province. The group interview regarding this group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evious questionnaire survey. The related content was analyzed through the method of open coding, one of methods in qualitative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participation mode,
meaning of after-school program, problems of after-school programs and measure to invigorate after-school programs. This research leads to following summarized conclusions. First, it was verified that, with respect to participation motive for after-school program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was made according to internal motive of the students concerned, while external motive led the students to after-school programs in case that the students chose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programs after consulting with their parents or with recommendation of their parents. Second, the meaning of after-school programs from the viewpoint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four kinds of coding : self-development and
self-satisfaction, autonomous class differentiated from school classes, alternative for remedial academic instruction, and function of child-care. Third, conflict between autonomy and obligation was revealed as problems of after-school programs. Four, as a measure to reinforce after-school program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experience-centered programs and specific programs for remedial academic instruction
should be initiated. When after-school program has diverse activities targeting students who have intellectual curiosity, specific interest, and skill aptitude, and attracts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interested students, more effectively operating after-school programs will prevail.
Author(s)
김연주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566
Alternative Author(s)
Kim, Youn 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및 교육컨설팅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소규모 학교의 교육 4
2. 방과후학교의 주요 정책 추진과정 9
3. 제주도내 방과후학교 현황 16
Ⅲ. 연구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도구 27
3. 자료처리 29
4.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30
5. 연구 윤리성 확보를 위한 노력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2
1. 참여 형태: 자발 vs 타의의 대립 32
2. 방과후학교의 의미 35
3. 방과후학교의 문제점: 자율 vs 의무감의 갈등 44
4. 활성화 방안: 다양한 프로그램을 원하는 학생들 51
Ⅴ. 결론 및 제언 56
▣ 참고문헌 60
▣ 영문초록 64
▣ 부 록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연주. (2018). 제주 농어촌 지역 초등학생들이 갖는 방과후학교의 의미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