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에 위치한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480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무응답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15부를 제외한 46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하고 김용진(2006)이 20문항으로 수정한 척도를 한창훈(2012)이 재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이승국(1999)이 일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분화를 측정하기 위해 제석봉(1989)이 제안하고 김경복(2005)이 사용한 설문을 바탕으로 일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 자아정체감, 자기분화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즉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 자기분화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자율통제)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분화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양육태도(자율통제)가 자아정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자기분화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애정적대)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분화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양육태도(애정적대)가 자아정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자기분화를 통해 부분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는 자기분화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부정적 자아정체감 또는 역할혼미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고등학생들의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기분화를 기를 수 있는 상담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differentiation on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self-identity. For this purpose, 500 high school students in five high schools in Jeju area were surveyed. A total of 480 copies were collected. Of these, 465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15 copies that were nonresponsive or fraudulent. In order to measur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h Seong-sik and Lee Jong-seung (1982) used the scale of re-use by Han Chang-hoon (2012) In order to measure the identity, Lee, Seung-guk (1999) used some modified or complemented measures and used some modified ones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Seok-bong (1989) and Kim Kyung-bok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data,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addition, a 3 - step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go - differentiation in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n ego - identity.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ing attitude, self - identity, and self - differenti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other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self - identity, and self - differentiation. Second, self - differentiation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self - identity of parenting attitude (self - control). In other words, parenting attitude (autonomous control) indirectly influences self - differentiation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self - identity.
Third, self - differenti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self - identity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In other words, the parenting attitude (affectionate hostility) shows a partial indirect influence through ego differentiation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ego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s ego identity by mediating ego differentiation. Therefore, it can b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strategies and programs that can develop self - differentiation in order to improve self - 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appealing to self - identity.
Author(s)
김명숙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09
Alternative Author(s)
Kim, Myung Su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4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부모양육태도 7
2. 자아정체감 8
3. 자기분화 11
4. 부모양육태도, 자아정체감, 자기분화와의 관계 14
(1)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14
(2) 자아정체감과 자기분화와의 관계 15
(3) 부모양육태도와 자기분화와의 관계 16

Ⅲ. 연구방법 19
1. 연구대상 19
2. 측정도구 20
(1) 양육태도 척도 20
(2) 자기분화 척도 21
(3) 자아정체감척도 22
3. 자료 분석 2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4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24
2. 부와 모의 양육태도, 자기분화, 자아정체감의 상관관계 26

3. 부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28
(1) 부의 양육태도 전체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28
(2) 부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대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30
(3) 부의 양육태도 중 자율통제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33
4. 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35
(1) 모의 양육태도 전체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35
(2) 모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대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38
(3) 모의 양육태도 중 자율통제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40

Ⅴ. 논의 및 제언 44
1. 결론 44
2. 제한점 및 제언 47

Ⅵ. 참고문헌 49

Abstract 60

부록(설문지)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명숙. (2018).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