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년기 경찰관의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구조관계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찰관들의 퇴직 후 진로적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자아개념에 주목하고, 현재 재직중인 중년기 경찰관의 직무만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리적으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에 위치한 직할시와 중소도시 중 각 한 곳씩 무작위 표집하여 직할시는 광주와 대구, 중소도시는 익산과 진해를 추출하였으며, 서울특별시와 제주특별자치도를 포함한 6개 시도에 위치하고 있는 지방경찰청, 경찰서, 지구대·파출소에 근무하는 40세 이상 경찰관 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689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무응답 등 결측치 98부를 제외한 59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진로적응성을 측정하기 위해 CFI-R을 조은주(2015)가 번안 및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아개념은 이경화, 고진영(2015)이 개발한 표준화 자아개념검사(SCI-Ⅱ)를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미네소타 대학교 직업심리연구소에서 개발하고, 박아이린(2005)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회적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김연수(1995)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측정변수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유의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chéffe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사회적지지가 각각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링(SEM) 분석을 사용하였고, 모델추정은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경찰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의 하위변인 중 외재적만족에서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 중 정보적지지가 근무관서별로, 정서적지지는 근무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아개념의 하위변인중에서는 신체적자아가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적자아는 연령과 근무지역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사회적자아는 근무관서와 근무부서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적응성의 하위변인 중 직업인식에서 성별과 근무지역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지원체계에서는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학력, 입직경로, 계급, 근무경력에 따른 변인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년기 경찰관의 직무만족이 자아개념과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년기 경찰관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또한 자아개념과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개념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고, 사회적지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자아개념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만족과 사회적지지는 자아개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진로적응성에 각각 직접적인 정적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기 경찰관의 퇴직 혹은 은퇴 이후에 찾아올 수 있는 다양한 갈등요소들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더 나아가 재직중에 퇴직 후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찰관 개개인의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나가야 하며, 이를 위해서 경찰조직의 직무환경, 근무여건, 조직문화 및 교육패러다임의 방향을 잡아나가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In this study, I notice the self-conception as a variable that can predict the future adaptability of a police officer after retirement, and tri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elf-concept, which is a factor in the process tha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the middle-age police officer impa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To that end, randomly mark one of the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located i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 of Korea, randomly selected; Gwangju, Daegu for metropolitan city and Iksan and Jinhae for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750 police officers aged 40 or older who worked at provincial police agency, police stations, jigudae(regional police substation) and police substation in six cities and provinces including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 total of 689 recalled, and 591 of th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98 parts of the estimated errors, including non-response ones. For measuring tools, the career adaptability are used CFI-R that is adapted and reorganized scale by Cho Eun-ju(2015), the measurements of the self-concepts are used a standardized self-concepts test (SCI-II) developed by Lee Kyung-hwa and Ko Jin-young (2015), the measurements of job satisfaction are used tool that is validated by Park Ae-rin(2005) it was developed by the Institute for Career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o measure job satisfaction, and used tool that is modify and complement by Kim Yeon-su(1995) it was developed by Park Ji-won (1985) to measure social suppor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Frequency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ie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the distribution of the measured variables, and confidence coefficient of measuring tools was calculated by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ne-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o find out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elf-concept and career adaptability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chéffe post-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for significanc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the self-concepts 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l estimate is based on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a boot-strapping procedure was used.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elf-conceptualiz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in their middle ages. Among the lower variable of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on external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lower variable of social support, the information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overnment office and emotion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he city of work. Among the lower variable of self-concept, physical self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ing the sex, and the affective self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according in the city of work, and social self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ing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 city of work. Among the lower variable of career adaptability, occupational awar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ing the sex and the city of work,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were observed in support system.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of peopl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path, class, or work experience.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middle aged police officers has a direct and static effect on the self-concep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lso the social support of middle aged police officers has a direct and static effect on the self-concep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the self-concept showed mediated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n the career adaptability, and the self-concept showed mediated effects on the social support of the career adaptability.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have a direct static effe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using the self-conception as a mediator variab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middle-age police officers should be able to respond to the various conflicts may face after resignation or retir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modify the self-concepts of individual police officers in order to improve the better career adaptability while in office. For this, the basic data was provided to guide the police organization's business environment, working condition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education paradigm.
Author(s)
문유미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16
Alternative Author(s)
Moon, You 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7
3. 연구 모형 8
4.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1
1. 중년기 11
가. 중년기 정의 11
나. 중년기 개념 및 특징 12
2. 경찰관과 퇴직 15
가. 경찰관에 관한 고찰 15
나. 퇴직에 관한 고찰 18
다. 경찰공무원의 퇴직 유형 및 현황 20
라. 경찰조직내 퇴직 지원 제도 23
3. 진로적응성 24
가. 진로적응성의 개념 24
나. 진로적응성의 구성요인 26
4. 자아개념 28
가. 자아개념의 의미 28
나. 자아개념의 구성요인 29
다. 성인기 자아개념의 특징 30
5. 직무만족 33
가. 직무만족에 관한 고찰 33

나. 직무만족의 효과 34
6. 사회적지지 36
가. 사회적지지에 관한 고찰 36
나. 사회적지지의 효과 37
7. 선행연구 고찰 40
가. 직무만족,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간의 관계 40
나. 직무만족, 사회적지지와 자아개념간의 관계 41
다. 자아개념과 진로적응성간의 관계 41


Ⅲ. 연구방법 43
1. 연구대상 43
2. 측정도구 44
가. 진로적응성 척도 44
나. 자아개념 척도 45
다. 직무만족 척도 46
라. 사회적지지 척도 47
3. 자료 분석 4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9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49
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9
나. 측정변인의 기술통계 51
2. 측정변인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54
가. 신뢰도(Cronbach's ⍺ 계수) 54
나. 타당도 54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58
가.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58
나.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63
다.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68
라. 입직경로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74
마. 계급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80
바.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86
사. 근무관서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93
아. 근무부서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98
자. 근무지역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105
4. 구조모형 적합도 검정 113
5. 경로분석 114
6. 매개(간접)효과 확인 116


Ⅴ. 논의 및 결론 117
1. 연구결과에 관한 논의 117
가. 중년기 경찰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차이 분석 결과 118
나. 중년기 경찰관의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결과 125
2. 결론 및 제언 129


참고문헌 132


Abstract 141


부록(설문지) 14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문유미. (2018). 중년기 경찰관의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진로적응성의 구조관계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