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의 외톨이성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인식의 조절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외톨이성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인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외톨이성향 학생들의 진로인식 수준을 높여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중학생의 외톨이성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인식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소재 4개 중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학생 450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9월 18일부터 10월 1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450명 중 427명의 자료가 회수되어 94.8%의 회수율을 보였으나 일부 무응답 및 불성실 응답 등을 제외한 412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어 자료 유효율은 91.5%을 보였다. 조사도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문항과 외톨이성향, 진로인식 및 학교생활적응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23.0에 의해서 처리되었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자료의 이상치, 정규성을 검토하여 각 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 각 변인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α 값을 검토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외톨이성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인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외톨이성향과 학교생활적응, 진로인식 간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외톨이성향과 학교생활적응, 진로인식 전체는 약한 부적상관을 보이고,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인식 간에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외톨이성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첫 번째, 외톨이성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인식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두 번째, 외톨이성향 하위변인 중 소외와 어려움과 외톨이성향 하위변인 중 사회적 유능감이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인식이 각 조절효과를 보였다. 세 번째로 외톨이성향 하위변인 중 친구교류부재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학생의 외톨이성향이 학교생활적응의 정도를 약하게 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학생의 외톨이성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인식이 중재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외톨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양한 진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물론 학생들 스스로도 외톨이성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중재하는 요인인 진로인식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함께하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외톨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진로인식이 조절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학교 현장에서 외톨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moderating effect of career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iettolie propens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helping students of oiettolie propensity better adjust to school life enhancing the level of career recognition. The research problem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Does the career recognition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ers of oiettolie propensity and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In its initial stage of addressing the above problem, questionnaire of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f 450 middle school students in four schools in Jeju self-governing province. The collection of the questionnaire was made from September 18th and October 13th 2017. The collection rate recorded 94.8% with 427 copies of questionnaire being returned. The final relevance rate of the data showed 91.5% due to the existence of 22 copies assumed as non or insincere respons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ategorized questions including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 oiettolie propensity, career recogni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and analyzed through SPSS for Windows 23.0. In order to check ou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applied, which worked out value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variables.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and its sub-variables, a value of Cronbach α was computed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employed for identifying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Lastly,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iettolie propens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summari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career recognition, there exist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concerned. It was verified that the career recognition affected oiettolie propens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in a relatively negative manner with positive correlation existing betwee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career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iettolie propensity and career recognition, the results turned out to be as follows. First, it is evident that there existed moderating effect of career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iettolie propensity and career recognition. Second, it was verified that career recognition also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solatedness, one of sub-variables of oiettolie propens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showing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one of sub-variables of oiettolie propens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respectively. Third, there was no verified moderating effect of career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sence of companion interchange, one of sub-variables of oiettolie propens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In conclusion, oiettolie propensity of middle schoolers affects adjustment to school life in a negative way as one of the important variables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iettolie propens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career recognition function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is sens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s providing in-school counselling programs which can help students with oiettolie propensity to better adjust to school life through proposing them divers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Likewise, it is highly necessary to infuse importance of career recogni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oiettolie propens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into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is dedicated to identifying moderating effect of career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iettolie propens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which leads to contribute to helping students with oiettolie propensity better adjust to school life.
Author(s)
원경숙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19
Alternative Author(s)
Won, Kyung S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5
3. 연구 모형 6
4. 용어의 정의 7
가. 외톨이성향 7
나. 학교생활적응 7
다. 진로인식 8

II. 이론적 배경 9

1. 외톨이성향 9
2. 학교생활적응 13
3. 진로인식 16
4.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 21

Ⅲ. 연구방법 24

1. 연구대상 24
2. 측정 도구 25
가. 외톨이성향 척도 25
나. 학교생활적응 척도 26
다. 진로인식 척도 27
3. 자료처리 및 분석 2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9

1.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치 29
2.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31
3 진로인식의 조절효과 검증 33
가. 외톨이성향 전체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인식의 조절효과 33
나. 외톨이성향의 하위변인 중 소외와 외로움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 인식의 조절효과 35
다. 외톨이성향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유눙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 인식의 조절효과 37
라. 외톨이성향의 하위변인 중 친구교류부재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 인식의 조절효과 39

Ⅴ. 논의 및 결론 41

참고문헌 47

Abstract 56

부록(설문지) 5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원경숙. (2018). 중학생의 외톨이성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인식의 조절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