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국내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는 2007년부터 2016년 12월까지 출간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총 76편의 논문이 분석에 포함되었고
137개의 효과크기가 사용되었다. 효과크기 분석을 위해 상관계수를 효과크기 변환 값으로 사용하였으며, 논문 선정 기준을 미리 설정하여 해당 준거에 따라 자료를 선정하였다. 대학생 사회불안과 관련된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유발변인과 억
제변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변인군의 효과크기와 변인별 효과크기를 확인하였다. 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에 따라 해석하였으며, 비중복백분위(U³)를 산출하여 효과크기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였다. 또한, 메타ANOVA와 메타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사회불안 척도 종류, 출판 형태, 출간 연도에 따라 관련 변인들과 대학생 사회불안 간 관계가 변화하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타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저해할 수 있는 출판편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깔때기 그림(Funnel plot)과 Trim and Fill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변인으로 4개의 억제변인과 21개의 유발변인이 추출되었다. 억제변인군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유발변인군은 큰 효과크기를보였다. 둘째, 각 변인군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억제변인군에서는 자기제시기대가 가장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자기개념 명확성, 자기자비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발변인군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가장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내현적 자기애,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후반추사고, 역기능적 신념, 평가염려 완벽주의, 정서표현양가성, 행동억제, 정서조절곤란, 성인애착회피, 성인애착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경험회피, 자기불일치, 우울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억제변인군과 유발변인군을 대상으로 사회불안 척도, 출판 형태, 출간 연도에 따라 효과크기가 변화하는지 검토한 결과, 출간 연도가 최근일수록 억제변인군의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조절변수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분석에 포함된 논문의 출판편향 검증을 위해 깔때기 그림(Funnel plot)과 Trim and Fill 방법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 결과가 출판편향으로 인한 왜곡된 결과일 가능성은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변인들과 이들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국내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사회불안의 예방과 상담 개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of domestic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relate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Analyt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2007 to
December 2016. A total of 76 pape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137 effect sizes were use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as the effect size conversion value for the siz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The effect sizes of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student social anxiety were divided into triggering and suppressing variables. The effect sizes wer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Cohen(1988), and the interpretation of effect sizes was supplemented by calculating the non-overlapping percentiles(U³). And meta-ANOVA and meta-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related variable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anxiety scale, publication type, and publication
year. Finally, funnel plot and Trim and Fill method were us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 bias in publishing that could impair the validity of the meta analysis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ur suppressing variables and 21 triggering variables were extracted as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student social anxiety. The triggering size showed a large effect size and the suppressing variable showed a medium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group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self-presentation expectation was the largest in the suppressing variable group, followed by self-concept clarity and self-compassion. In addition, internalized shame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the triggering variable
group, followed by covert narcissism, maladaptive self-focus, negative social self-concep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post-rumination, dysfunctional beliefs,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behavior inhibition,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adult attachment avoidance, adult
attachment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experience avoidance, self-discrepancy, depression. Third, as the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size of effects varied according to the social anxiety scale, publication type, and publication year, the effect size of the suppressing variabl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ublication year. In addition, there was no control effect on the control variable. Fourth, the funnel plot and the Trim and Fill method were used to verify the bias of the papers includ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is study was less likely to be a distorted result due to publication bia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anxiety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influence, and it was able to confirm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comprehensive data on domestic studies on the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ill
be broadened and the evidence for prevention of social anxiety.
Author(s)
김안나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32
Alternative Author(s)
Kim, An N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사회불안 7
1) 사회불안 개념 및 특징 7
2) 대학생의 사회불안 9
3) 사회불안 관련 선행 메타분석 연구 11
2.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변인 12
3. 메타분석 18
Ⅲ. 연구방법 21
1. 자료의 수집 및 선정 21
1) 자료의 수집 21
2) 자료의 선정 21
2. 자료의 코딩 23
3. 자료의 분석 23
1) 효과크기의 산출 25
2) 효과크기의 동질성 검증 26
3) 효과크기의 해석 27
4) 조절효과 검증 27
5) 출판편향 검증 2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0
1. 분석 대상 논문의 특징 30
2.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변인의 효과크기 32
1)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억제변인군의 효과크기 32
2)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유발변인군의 효과크기 33
3.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크기 38
1) 조절변수에 따른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억제변인군의 효과크기 38
2) 조절변수에 따른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유발변인군의 효과크기 39
4. 출판편향 41
1)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억제변인 41
2)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유발변인 42
Ⅴ. 논의 및 결론 44
1. 요약 및 논의 44
2. 제한점 및 제언 48
Ⅵ. 참고문헌 50
부록 63
Abstract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안나. (2018). 대학생 사회불안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