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켜 중도탈락 의도를 낮추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에 소재한 국립대학교 1~4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 831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진로미결정, 중도탈락의도,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하여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진로미결정, 중도탈락의도,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8.0에 의해서 처리되었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변인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검토하였으며 변인들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미결정과 중도탈락 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자기조절학습능력, 중도탈락의도의 변인간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진로미결정 전체와 중도탈락의도 전체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진로미결정 전체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중도탈락의도 전체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위(직업정보 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인식 부족)은 중도탈락의도 전체에 정적상관을 보였고,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위(직업정보 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인식 부족)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조절회귀분석을 통하여 진로미결정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진로미결정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진로미결정 중 직업정보 부족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진로미결정중 자기명확성 부족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진로미결정 중 우유부단한 성격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진로미결정 중 필요성인식 부족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이 중도탈락의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를 낮추기 위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학습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할 수 있으며, 또한 대학의 교육현장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학습전략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필요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college students' indecision on career and their dropout intention and 2)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to reduce dropout intention for career undecided stduents by improving self-regulating ability. I surveyed Jeju National University 831 students from 1stgrade to 4thgrade Nov. 11 to Dec. 30, 2017 on the Career Indecision, Dropout Inten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survey which consist of 'Career Indecision, Dropout Inten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demographic factors' was used for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for Windows 18.0. In order to find the character of overall data, the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hich reviews outlier, normality and computed each variable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In order to verify their credibility, the study reviewed Cronbach's α value along wi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the relation among the variables. Finally, the study conducte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regul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and dropout intention. The current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or students' career indecis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dropout intention variables shows that they all have the meaningful relations. All career indecision and its sub-factors have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dropout inten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negative (-) correlation between all career indecision and sub-factors of career indecision, all dropout intention and its sub-factors.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tudents' career indecision and their dropout intention shows the following: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the positive (+) effect on the career indecision and dropout intention.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the positive (+)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lack of job information and dropout intention.' Thir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the positive (+)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lack of self-certainty and dropout intention. Four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the positive (+)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indecisive character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if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the positive (+) effect to the relation between lack of necessity recognition' in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and dropout intention. To sum up,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indecis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dropout intention. Also, self-regulated learning effect functions as a moderator variable in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and dropout intention.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learning method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order to
decrease dropout intention. Also,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in developing and applying programs in university curriculums which lead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strategy.
Author(s)
고영복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33
Alternative Author(s)
Ko, Young B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 연구문제 및 가설 4
3. 연구 모형 4
4. 용어의 정의 5
1) 진로미결정 5
2) 중도탈락 5
3) 자기조절학습능력 6
II. 이론적 배경 7
1. 진로미결정 7
2. 중도탈락의도 10
3. 자기조절학습능력 11
4. 변인들 간의 관계 14
Ⅲ. 연구방법 15
1. 연구대상 15
2. 측정 도구 18
1) 진로미결정 척도18
2) 중도탈락의도 척도19
3) 자기조절학습능력 척도20
3. 자료처리 및 분석 21
Ⅳ. 연구결과 22
1.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치22
2.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23
3.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25
1) 진로미결정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 26
2)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인인 직업정보 부족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 27
3) 진로미결의 하위변인인 자기명확성 부족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 29
4) 진로미결의 하위변인인 우유부단한 성격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 31
5) 진로미결의 하위변인인 필요성인식 부족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 33
Ⅴ. 논의 및 결론 36
Ⅵ. 참고문헌 39
Abstract 45
부록(설문지) 4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영복. (2018).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