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reality of the unique subjective life worl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the experiences of death anxiety of Catholic.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among Catholics?' Participants selected from the intentional sampling were from fifties to sixties with death anxiety. A total of 8 participants were living
in Jeju City. They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made in-depth interviews. It lasted for four month: December 2017 to mid-March 2018. The researchers gathered data through interviews until the data was saturated with the research topic. Data analysis adopt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Colaizzi (1978), which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universal nature of participant experience.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53 meanings, 21 sub - categories, and 10 categories. The ten categories derived are 'Facing unseen uneasiness', 'I am all in the world and myself.…', 'Change from oblivion of death to cognition', 'Transformed into a new human form', 'I, others, and God are one', 'Religious life: thanksgiving and time of comfort', 'Expansion of Self-Openness to Death', 'Memento Mori', 'Me, the tool of God, and
a loving being.' 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Catholic who have experienced death anxiety. First, the Catholics felt that the anxiety of death in the face of death was not only a psychological response, but also of mental confusion due to fear and uncertainty that they might die. The experience of facing the death that anticipates the disappearance of these beings can confirm that their death hall was negative, and that they have not been able to accept death as a part of their life and have been avoided or forgotten. Participants were faced with obstacles and limitations in their inner face by facing death, and they showed faith behavior in relief faith as they learned from the culture of life and culture of the present age. However, this negativ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brought about a change of life (faith) to the participants.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is the expansion of the identity of 'we' as the bond of God, me, family, others, and community. Furthermore, in the final stage of this study, 'death anxiety experience model'was derived. It contains the nature of death anxiety in its structure and visually constitutes the whole process of death anxiety until reaching a positive effect. Through the help of God (mercy), he himself,"I who lives in the image of a new human being", is transformed into a whole self through a strong will of change in God.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anxieties of the participants by examining the conditions and contexts of life surrounding them in ord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death anxiety of Catholic.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anxiety of death and the spiritual nature of Catholics to the modern believers who are not aware of death anxiety related death. In addition, it has given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death anxiety combined with existentialism psychotherapy (counseling) and spiritual counseling. We propose a small group sharing with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as a measure for existential awareness of death anxiety with universality as a unique phenomenon of human existence.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의 탐색을 목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의 독특한 주관적 생활세계의 복합적 현실의 맥락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은 어떠한가?' 이다. 의도적 표집을 통해 선정된 연구참여자들은 죽음불안 경험이 있는 50~60세로 총 8명이었으며, 제주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참여자들로서 이들은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하고 심층면담에 임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2017년 12월부터 2018년 3월 중순까지 약 4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연구자는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면담내용은 녹취되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참여자 경험의 보편적인 본질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53개의 의미형성과 21개의 하위범주(주제), 그리고 10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도출된 10개의 범주들은 '눈에 보이지 않은 불안들과 대면', '세상일과 나 자신에 올 인(all in)하며…', '죽음의 망각에서 인지(認知)로의 탈바꿈', '새 인간의 형상으로 변모', '나, 타인, 그리고 하느님은 하나', '종교적 삶: 감사와 위로의 시간', '죽음에 대한 자기 개방성의 확대', '고통은 나를 성장시키는 디딤돌', '메멘 토 모리(Memento mori)', '나, 하느님의 도구이자 사랑을 주고받는 존재'이다. 죽음불안 경험이 있는 가톨릭신자들의 내용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톨릭신자들은 죽음 직면 시 죽음에 대한 불안은 종교성과 상관없이 심리적 반응뿐만 아니라 죽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불확실성으로 인한 정신적 혼란감이 나타났다. 이러한 존재의 사라짐을 예고하는 죽음 직면 경험은 그동안 자신들의 죽음관이 부정적이었으며 죽음을 삶의 일부로 수용하지 못하고 기피하거나 망각한 채 살아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죽음 직면 사건으로 그들의 내면 안의 장애물과 한계들을 대면하면서 현 시대의 삶의 양식, 죽음문화에 습득되다보니 기복신앙에 빠진 신앙행태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죽음불안이라는 부정적인 경험은 오히려 참여자들에게 삶(신앙)의 변화를 가져왔다. 삶의 의미와 목적이 하느님과 나, 그리고 가족, 타인, 공동체와의 유대감이 '우리'라는 정체성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더 나아가 이 연구의 최종적인 단계에서 '죽음불안 경험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그 구조 안에 죽음불안의 본질을 담고 있으며 긍정적 효과에 도달하기까지의 죽음불안 경험의 전체 과정을 시각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하느님의 도우심(자비)으로 말미암아 그 자신이 '새 인간의 형상으로 존재하며 살아가는 나'는 하느님 안에서의 강한 변화의지를 통해 온전한 자기(self)로 변모되어 나아간다.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삶의 조건과 맥락들을 살펴봄으로써 참여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을 확인하였다. 이에 죽음사건으로 말미암은 죽음불안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현대의 신앙인들에게 죽음불안에 대한 이해와 가톨릭신자들의 영적 본래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실존주의 심리치료(상담)과 영성상담을 접목한 죽음불안 교육의 필요성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 존재가 지닌 고유한 현상으로서의 보편성을 띈 죽음불안에 대한 실존적 자각을 위한 방안으로 죽음불안 체험자와의 소그룹 나눔을 제안한다.
Author(s)
김윤미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34
Alternative Author(s)
Kim, Yun 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4
3. 용어 정의5
Ⅱ. 이론적 배경 7
1. 죽음에 대한 일반적 이해 7
1) 통속적 죽음 이해8
2) 생물학적 죽음 이해10
3) 의학적 죽음 이해11
4) 심리학적 죽음 이해12
2. 죽음에 대한 철학적 이해 13
1) 고대 철학 14
2) 중세 및 근세 철학15
3) 실존 철학 16
3. 비그리스도교(타종교)의 죽음이해 17
1) 유교 18
2) 도교 20
3) 불교 21
4. 그리스도교의 죽음 이해22
1) 죽음의 성경적 이해23
2) 예수의 죽음 이해 26
5. 죽음불안에 대한 이해29
1) 죽음불안에 대한 배경 29
2) 죽음불안에 관한 선행연구31
6. 실존주의 심리치료 이해33
1) Yalom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이해36
2) Yalom의 죽음불안 개념43
3) 죽음: 삶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경험 48
7. 그리스도교의 영성 이해51
1) 영성의 개념 이해52
2) 성경에 나타난 영성 이해54
3) 그리스도교 영성의 역사적 고찰56
4) 현대 그리스도교 영성 이해 59
5) 영성적 인간 이해62
Ⅲ. 연구방법 65
1. 현상학적 질적 연구 65
2. 질적 연구 설계67
1) 연구자의 준비 및 연구참여자 윤리적 고려67
2) 연구참여자 선정68
3) 자료 수집방법 76
4)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자료분석 방법79
5) 연구의 엄격성 및 연구 평가 81
Ⅳ. 연구결과 83
1. 연구 결과 서술83
범주 1. 눈에 보이지 않은 불안들과 대면86
범주 2. 세상일과 나 자신에 올 인(all in)하며97
범주 3. 죽음의 망각에서 인지(認知)로의 탈바꿈102
범주 4. 새 인간의 형상으로 변모 106
범주 5. 나, 타인, 그리고 하느님은 하나 110
범주 6. 종교적 삶: 감사와 위로의 시간 116
범주 7. 죽음에 대한 자기 개방성의 확대124
범주 8. 고통은 나를 성장시키는 디딤돌 129
범주 9.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136
범주 10. 나, 하느님의 도구이자 사랑을 주고받는 존재 140
Ⅴ. 논의 148
1. 결과에 대한 논의149
2. 결론155
3. 연구의 의의 및 제언158
[참고문헌] 160
[Abstract] 181
[부록] 연구 참여 동의서 18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윤미. (2018).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