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濟州道地質公園活性化方案에 대한 硏究: SWOT 分析과 中國張家界地質公園事例分析을 中心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지질공원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지형 및 지질 현장으로서, 생태학적·고고학적·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닌 자연유산을 보존하면서 학술연구와 대중교육에 활용하고 지질관광(geotourism)을 통해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약 200만년 전에 일어난 화산활동을 통해 형성된 제주도의 전 지역을 포함하는 제주도지질공원은 2010년 한국 최초로 유네스코(UNESCO)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으며, 그 이전인 2002년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Man and the Biosphere Reserve),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World Natural Heritage Area)로 목록에 등재됨으로써 제주도의 자연과 환경은 국제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와 같은 제주도 자연유산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힘입어 최근 제주도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수가 증가하고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고 있으나, 그에 따른 부작용도 심각해지고 있다. 즉, 개발우선의 관광산업 양적 성장에 따른 자연환경 훼손, 환경오염, 교통체증, 폐기물 처리 등의 악영향이 팽배해지고 있다. 또한 제주도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실제 지역주민들의 소득향상에 대한 기대치에는 못 미치고 있다. 한편, 사회적으로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확산에 따라 개별여행객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변 여건 변화에 따른 제주도지질공원의 선제적 대응과 변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제주도와 제주도지질공원의 현황 정보에 기초한 SWOT 분석과 현지조사를 통한 중국 장가계지질공원의 사례 분석을 종합하여 제주도지질공원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SWOT 분석 결과, 제주도지질공원의 장점(strength)은 ①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및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 ② 주요지질명소가 국가지정 문화재로 지정, ③ 풍부한 관광자원(자연, 문화, 역사), ④ 정비된 탐방인프라(안내소, 탐방로, 안내판 등), ⑤다양한 탐방, 교육 프로그램, ⑥ 지질공원 브랜드화(지오푸드, 지오하우스 등), ⑦스마트폰 기반 홍보 및 안내(Jeju Geo App), ⑧ 체계적인 해설사 양성 및 교육 등 8개 항목으로 요약된다. 한편, 단점(weakness)은 ① 명소별, 시기별 방문객 불균형, ② 명소간 대중교통 이용 불편, ③ 국내 관광객에 편중된 탐방, 교육 프로그램, ④ 외국인 관광객 편의성 부족, ⑤ 해외 홍보 매체 다양성 부족, ⑥ 지속적인 주민참여 부족과 ⑦ 전문 관리인력의 부족 등 7가지로 정리된다. 제주도지질공원의 기회(opportunity)는 ① 유네스코 인증 및 한류 확산에 따른 국제인지도 상승, ② 국제 연구 및 교류 확대, ③ 친환경 미래산업 시험지역으로서의 인지도 상승 등 3개 항목으로 요약된다. 마지막으로 위기(threat)는 ① 관광객 수용한계 근접 우려, ②명소 추가지정에도 불구하고 재원확대 불충분, ③ 중국과 일본 등 인접국가와의 불안정한 외교관계, ④ 제주여행객 증가율 둔화 및 해외관광 선호 현상 등 4가지로 분석되었다. 해외사례로서 중국 장가계지질공원을 분석하였는데, 이곳(지역행정명칭: 무릉원)
은 1992년에 'Wulingyuan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리스트에 등재되었다. 이후 2001년에 중국 국가지질공원을 지정되었으며 2004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장가계지질공원은 중국내륙 중심 위치하고 있으며 독특한 사암봉림(sandstone peak forest) 지형과 석회암 동굴로 유명하다. 현장조사와 수집 문헌을 통해 분석된 장가계지질공원의 장점은 ① 통합적 관리운영, ② 인프라 정비, ③ 다자관리 부문 통일, ④ 관광객 관리, ⑤ 다양한 재정구성, ⑥ 인재 양성과 도입, ⑦ 재해예방, ⑧ 대중교육 및 연구, ⑨ 지역 전통 문화 활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항목 중에 제주도원의 여건을 감안할 때 통합적 관리운영, 관광객 관리 및 지역 전통문화 활용 등은 제주도지질공원에도 적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향후 제주도지질공원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을 지질명소 운영 및 관리, 주민 참여 및 지역 경제 기여, 국제교류 및 외국인 관광객 유치 등 3개 분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지질명소 운영 및 관리 분야'에서는 ① 탐방객 관리 강화, ② 제주지오 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관광 실
현, ③ 기업 제휴를 통한 탐방인프라 확충 및 개선에 필요한 재원 확보, ④ 인접 지질명소 혹은 인기 관광지를 통합한 관광티켓 개발 등의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주민 참여 및 지역 경제 기여 분야'에서는 지역주민과 지질공원의 연계를 강화하고
지역주민의 소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① 지질공원 브랜드 활용 확대, ② 마을 관광상품 개발, ③ 인접 지질명소 사이 순환 관광차량 운영 등 3가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제교류 및 외국인 관광객 유치 분야'에서는 ① 재방문 외국
인 관광객 확보, ② 외국인 자유관광 확대, ③ 국제지질공원들과의 자매결연 및 교류 확대, ④ 해외 수행여행단 유치 등 4가지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The geopark is a terrain or geological site with scientific significance and scenic landscape, where natural heritages are managed with a holistic concept of protection,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eo parks are used for research, education, and dissemination while also has to conserve ecological, archaeological,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also use their geological heritage to achieve the purpo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by geotourism. Jeju Island, situated off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a volcanic island which was emerged by volcanic activity about 2 million years
ago. The natural and cultural values of the Jeju Island we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by the first designation in Korea as a member of UNESCO Global Geoparks Network in 2010, also by designation as UNESCO Man and the Biosphere Reserve in 2002 and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Site in 2007. Although Jeju Island has successfully achieved an economic revitalization by raised internal awareness of natural heritages in Jeju Island,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due to quantitative expansion of tourism industry. Recently, local community is seriously worrying about deterio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d waste disposal, and traffic congestion. In addition, the
ordinary citizens regard that their real income falls short of expectation in spite of local economic revita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life style of "work and life balance" is getting popular, which results in shift of tourism paradigm from group or package tour to free individual tour including outdoor activities and learning instead of simply watching the landscap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rough improvement and reactivation of the Jeju Island Geopark, this study suggests some action plans of the geopark management based on SWOT analysis and a case study of the Zhangjiajie Global Geopark in China. The basic data analyzed in this study include academic papers, research reports, open materials on internet
sites, and data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s. As a result of SWOT analysis, the strengths of the Jeju Island Geopark are as follows: ① designation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a 'Man and the Biosphere Reserve', ② designation of its geosites as national monuments, ③ diverse resources (natural, cultural and historical) for tourism, ④ well-organized visitant infrastructures, ⑤ many characteristic education and exploration programs, ⑥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eopark brand, ⑦ smart phone-based promotion and guidance, and ⑧ systematic training and education of interpreter. The weaknesses are as follows: ① visitor imbalance among places of interest and seasons, ② in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among place of interests, ③ domestic tourist-oriented education and exploration programs, ④ lack of convenience for foreign tourists, ⑤ lack of diversity in international promotion media, ⑥ lack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⑦ lack of professional personnels on geopark management. The opportunities are as follows: ① rising of international
awareness due to UNESCO certification and 'Korean wave', ② expansion of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and exchange, and ③ awareness of future industry test-bed site. The threats are as follows: ① close to limitation of tourist capacity (overtourism), ② insufficient financial expansion, ③ unstable diplomatic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and ④ slowdown of domestic tour to Jeju Island and preference for overseas trip. The Zhangjiajie Geopark, China is analyzed as a foreign case of global geopark. It was list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in 1992 and designated as a National Geopark of China in 2001, also became a member of UNESCO Global Geopark Network in 2004. Zhangjiajie Geopark is located
in the center of China and famous for unique sandstone peak forest and karst cave landform. Summarized the measures running in Zhangjiajie Geopark: ① integrated management, ② active reorganization of
infrastructures, ③ unification of dispersed management departments, ④ tourist management, ⑤ various financial sources, ⑥ talents training and introduction, ⑦ disaster prevention, ⑧ mass education and research
programs, and ⑨ application of traditional village cultu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the measures such as integrated management, tourist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village culture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the Jeju Island Geopark . Based on the results of foregoing analyses, the proposed scheme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Jeju Island Geopark are as follows: ①reinforcement of the visitor management, ② realization of intelligent tourism on Jeju Geo App, ③ improvement of the tourist infrastructures sponsored by enterprises, and ④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tourist ticket system. The proposed schemes for improvement of community involvement and contribution to local economy are as follows: ① expansion of geopark brand utilization, ② development of geopark village tour program, and ③ operation of circulating tourist vehicles between adjacent geosites or tourist attractions. Also, the proposed schemes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nd keeping foreign tourists include ① attracting revisited foreign tourists, ② awarding policy for foreign free individual tourists, ③ establishment of sister-like relationship with other global geopark and expansion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and ④ attracting foreign school trip.
地质公园是在地球科学范围内以具有特殊科学意义,优雅美学观赏价值的地形及 地质区域,附带生态、考古、历史和文化价值属性的自然遗产为主体,在被保存的同 时用于科学研究和传播地球科学知识,最终目的是通过地质旅游实现地区经济和社会 可持续发展(联合国科教文组织,2015)。约200万年前因为火山活动形成的济州岛 全域即为济州岛地质公园,2010年被指定为联合国科教文组织(UNESCO)世界地 质公园,是韩国的第一批世界地质公园。在此之前,2002年被指定为联合国科教文组 织生物圈保护区(Man and the Biosphere Reserve);2007年济州岛被列入联合国
科教文组织世界自然遗产名录(World Natural Heritage Area);2010年济州岛被 指定为联合国科教文组织世界地质公园,因此济州岛的自然和环境的价值受到国际的 认可。因为济州岛自然遗产的国际形象提高使得最近访问济州岛的海外游客增加,地区 经济也跟着活跃起来,但是一些副作用也越来越严重。即,旅游产业开发优先,因此 在量方面快速增长,造成自然环境毁损,环境污染,交通拥堵,废弃物处理难等恶劣 影响在济州岛充斥。同样,济州岛旅游产业虽然活跃起来,但是实际上在本地居民对 收入的预期值方面并没有产生积极影响。另一方面,在当今社会上,持生活和工作平
衡(work and life balance)的生活态度人群逐渐增长导致自由行游客增长。因此这些周边条件的变化,济州岛地质公园需要提前应对并做出适当的改变。为了活跃济州岛地质公园,本研究将通过实地调查收集的有关济州岛和济州岛地质公园的
现阶段资料为基础进行SWOT分析并与实地调查中国张家界世界地质公园的事例进行 综合研究,提出改善方案。SWOT分析结果中总结出的济州岛地质公园的优点 (strength)共8项:①被指定为世界遗产和生物圈保护区;②主要地质名胜被国家指 定的文化财产;③旅游资源丰富(自然、文化和历史);④整改好的旅游基础探访设施(咨询所、探访路和标牌等);⑤配备了系统化的探访及教育项目;⑥地质公园品 牌化(地质主题零食和地质主题旅馆);⑦以智能手机为基础的宣传和咨询(Jeju Geo App);⑧解说员及教育已成体系。缺点(weakness)总结为7项:①名胜之间访 客不均衡,访客季节性不均衡;②名胜之间的大众交通使用不便;③探访及教育项目 建设和运营主要以韩国国内游客为中心;④针对海外游客的便利性不足;⑤海外宣传 媒体的多样性不足;⑥地区居民的直接参与度不高;⑦专业管理人力不足。地质公园
的机遇(opportunity)总结为3项:①联合国科教文组织的认证和韩流的扩散有助于济 州岛国际认知度的上升;②国际研究和交流活动的增大;③清环境未来产业试行区域 的认知度上升。最后,济州岛地质公园的危机(threat)被总结为4项:①对游客容量界 限值的忧虑;②景点数量增加但是财政扩充不足;③与中国和日本等领国的国外交关 系不稳定;④济州游客增长率钝化,同时韩国国内游客出现海外旅游偏好现象。 对海外事例中国张家界世界地质公园进行了分析,此地(地区行政地名:武陵源 区)1992年以"Wulingyuan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被列入联合国科教 文组织世界自然遗产名录。此后,2001年被指定为中国的国家地质公园;2004年被 指定为联合国科教文组织世界地质公园。张家界世界地质公园地处中国内陆中心区 域,以独特的砂岩峰林地形和喀斯特洞窟地形闻名于世。通过实地调查和收集的文献
分析出张家界地质公园的优点有9项:①综合管理运营;②整改好的基础设施;③将多部门管理统一并建立专门管理部门;④游客管理;⑤多样的财政构成;⑥人才培养及引进;⑦灾害预防;⑧大众教育及研究;⑨灵活运用地区传统文化。考虑到济州岛 地质公园现阶段的情况,这些项目中适用于济州岛地质公园的分别为综合管理运营,游客管理和灵活运用地区传统文化这3项。 通过调查和分析,为了济州岛地质公园今后的可持续发展分别在3个领域提出改 善方案:地质名胜的运营及管理;居民参与及对地区经济的贡献和国际交流及海外游 客维系。首先,"地质名胜的运营及管理领域"提出:①访客管理强化;②以Jeju Geo 手机软件为基础实现智能旅游;③通过与企业合作扩充完善探访设施所需的经费;④
在临近地质名胜或人气景区发放综合旅游票等。然后,在"居民参与及对地区经济贡 献领域"提出3种方案:①扩张地质公园品牌的应用;②开发村庄旅游产品;③临近地 质名胜之间运营循环车辆。最后在"国际教育和海外游客维系领域"提出4个方案:①增加海外游客中的回头客;②扩大海外游客自由行人群;②与国际地质公园建立姊妹关 系并加强交流;④海外修学旅行团维系。
Author(s)
유혜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39
Alternative Author(s)
Liu, Hu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해양과학과
Table Of Contents
국문 요약 i
목차 iii
표목차 cv
그림목차 cvii
제1장 서론1
제2장 연구방법5
2.1 현황 분석5
2.1.1 기초자료 수집5
2.1.2 현장조사6
2.1.3 장가계지질공원 사례 분석 6
2.2 SWOT 분석 6
제3장 제주도지질공원 현황9
3.1 지역 개요9
3.2 지질명소10
3.2.1 한라산10
3.2.2 성산일출봉 응회구14
3.2.3 만장굴 17
3.2.4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19
3.2.5 서귀포 패류화석층20
3.2.6 천지연폭포22
3.2.7 수월봉24
3.2.8 산방산 및 용머리해안26
3.2.9 선흘곶자왈29
3.2.10 우도31
3.2.11 비양도32
3.2.12 교래 삼다수 마을32
3.3 관리 조직 및 재정34
3.3.1 관리 조직34
3.3.2 재정35
3.4 지질유산 보존35
3.5 연구 및 교육36
3.5.1 학술연구36
3.5.2 교육38
3.6 지질관광40
3.7 지역경제 기여43
3.7.1 지질트레일43
3.7.2 지질공원마을 활성화 사업44
3.7.3 파트너십(partnership45
3.8 지질공원 홍보45
3.8.1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45
3.8.2 스마트폰 앱 개발46
3.8.3 지질공원 마스코트 개발47
제4장 제주도 방문 외국인 관광객 분석 49
4.1 외국인 관광객 수 49
4.1.1 연간 관광객 수 변화 추이49
4.1.2 계절별 외국인 관광객 수50
4.2 외국인 관광객 국적 분포 51
4.3 외국인 관광객 여행 동기 및 형태 53
4.4 외국인 관광객의 도내 교통수단 54
4.5 외국인 관광객 도내 체류기간 56
4.6 외국인 방문객의 도내 관광 유형 59
4.7 외국인 관광객 경비 지출 특징 59
4.8 외국인 관광객 여행 만족도 66
4.8.1 여행 참여활동 만족도66
4.8.2 제주여행의 만족도67
제5장 제주도지질공원의 SWOT 분석 69
5.1 강점(Strength) 69
5.1.1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및 생물권보전지역 지정69
5.1.2 주요 지질명소가 국가지정 문화재로 보호됨70
5.1.3 풍부한 관광자원70
5.1.4 정비된 탐방인프라71
5.1.5 다양한 탐방, 교육 프로그램72
5.1.6 지질공원 브랜드화72
5.1.7 스마트폰 기반 홍보 및 안내73
5.1.8 체계적인 해설사 양성 및 교육74
5.2 약점(Weakness) 74
5.2.1 명소별, 시기(계절)별 방문객 불균형75
5.2.2 명소간 대중교통 이용 불편76
5.2.3 국내 관광객에 편중된 탐방, 교육 프로그램 운영77
5.2.4 외국인 관광객 편의성 부족78
5.2.5 해외 홍보 매체 다양성 부족79
5.2.6 지속적인 주민참여 부족79
5.2.7 전문 관리인력의 부족80
5.3 기회(Opportunity) 80
5.3.1 유네스코 인증 및 한류 확산에 따른 국제인지도 상승81
5.3.2 국제 연구 및 교류 확대81
5.3.3 친환경 미래산업 시험지역으로서의 인지도 상승84
5.4 위기(Threat) 84
5.4.1 관광객 수용한계 근접 우려84
5.4.2 명소 추가지정에도 불구하고 재원확대 불충분85
5.4.3 중국, 일본 등 인접국가와의 불안정한 외교관계85
5.4.4 한국 국내 경기 침체 및 해외관광 선호 현상86
제6장 장가계지질공원 사례 분석 87
6.1 지역개관 87
6.1.1 개요87
6.1.2 지질 및 지형 87
6.1.3 생태88
6.1.4 교통89
6.2 장가계지질공원 현황90
6.2.1 개요90
6.2.2 지질명소91
6.2.3 지질공원 탐방 인프라99
6.2.4 관리 조직100
6.3 관리 운영 102
6.3.1 자연유산의 보존 및 관리 102
6.3.2 환경오염 모니터링 104
6.3.3 자연재해 예방 104
6.3.4 시설 관리 105
6.3.5 관광객 관리 106
6.3.6 홍보 활동 110
6.3.7 기타 112
6.4 연구 활동 114
6.4.1 장가계 지형 연구 114
6.4.2 생물다양성 연구 115
6.4.3 지속가능한 발전 연구 115
6.4.2 교육 활동 116
6.5 지역주민 참여와 지역경제 기여 116
6.5.1 지역주민 참여 116
6.5.2 주민 정책과 보상 117
6.5.3 도시와 마을 주민 수입 급속 증가 117
제7장 토의: 제주도지질공원의 개선방안 119
7.1 제주도지질공원 SWOT분석 결과 적용 119
7.1.1 강점-기회(S-O) 전략 119
7.1.2 약점-기회(W-O) 전략 122
7.1.3 강점-위기(S-T) 전략 123
7.1.4 약점-위기(W-T) 전략 124
7.2 제주지질공원 개선 방안 124
7.2.1 입장객 관리강화 124
7.2.2 제주지오 앱 기반으로 스마트 관광을 실현 126
7.2.3 기업 제휴를 통한 탐방인프라 관리 재원 확보 127
7.2.4 통합 관광티켓 개발 128
7.2.5 지질공원 브랜드 활용 확대 130
7.2.6 마을 체험 관광상품 개발 130
7.2.7 인접 명소 사이 순환 관광차량 운행 131
7.2.8 재방문 외국인 관광객 확보 132
7.2.9 외국인 자유관광(비단체 개별여행) 장려 133
7.2.10 국제교류 134
제8장 결론 135
참고문헌 137
Abstract 141
중문 요약 145
감사의 글 ······················································· 14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유혜. (2018). 濟州道地質公園活性化方案에 대한 硏究: SWOT 分析과 中國張家界地質公園事例分析을 中心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Earth and Marine Convergence > Earth and Marine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