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지역에 따른 여중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과 수업몰입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따른 여중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재미요인과 수업몰입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J도에 소재한 중학교 여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여 지역별로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총 404부의 설문지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변수들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했으며 재미요인과 수업몰입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에 따른 재미요인의 차이를 보면, 교사요인에서 1학년, 2학년, 3학년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업몰입에서는 행동과 의식의 일치에서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에 따른 재미요인의 차이를 보면, 재미요인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읍면지역이 동지역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업몰입에서 역시 모든 하위요인에서 읍면지역이 동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재미요인과 수업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미요인이 전체적으로 상승하면 수업몰입 전체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재미요인의 사교정서 및 수업용이는 수업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 과정통합과 유의적인 정(+)의 관계가 있지만 내용몰두, 행동과 의식의 일치와는 연관이 없었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로 이루어졌지만 후속연구에서 이와 더불어 질적 연구를 병행한다면 변인간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ports club fun factors and flows according to the region. Middle school girls in Jeju Island were selected as population groups, and subjects were selected by region, and a total of 404 questionnaire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Fun Factor Questionnaire developed by Lee, Chang - Sup and Nam Sang - woo (2003) and the Instru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Jong - hwan (2008)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t - test and variance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leasure factor and
class immers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factors of pleasure according to the grade,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der of the first grade, the second grade and the third grade by the factors of the teacher.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der of first grade, third grade, and second grade with agreement between behavior and consciousness in class attraction. Secondly, looking at the factors of pleasure according to the region, the towns and villages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ame area by all sub factors of pleasure factor. Even in class attendance, all the sub factors caused the municipality area to be higher than in the same area.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pleasure and the immersion of classe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attendance of the lesson becomes significantly higher as the factor of enjoyment increases overall. However, social emotions of factors of pleasure and self-purpose experience of class immersion in coursework easil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urse integration, but they are immersed in the contents, there is no relation with agreement between behavior and consciousness. In this study, it was carried out in quantitative research, but in subsequent research, in addition to this, it would be possible to deeply stud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parallel with qualitative research.
Author(s)
양정빈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60
Alternative Author(s)
Yang, Jeong B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 가설 7
4. 연구의 제한점 9
5. 용어의 정의 10
Ⅱ. 이론적 배경 13
1. 학교스포츠클럽활동 13
2. 재미요인 17
3. 수업몰입 22
4. 도시와 농촌 29
Ⅲ. 연구 방법 34
1.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34
2. 측정도구 35
1)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6
3. 연구 절차 39
4. 자료처리 방법 40
Ⅳ. 연구 결과 41
1. 연구변수 기술통계 41
2. 연구변수 상관관계 42
3. 학년별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 43
4. 학년별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수업몰입 44
5. 지역별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 45
6. 지역별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수업몰입 46
7.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과 수업몰입 47
1)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과 자기목적적 경험 47
2)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과 내용몰두 48
3)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과 과정통합 49
4)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과 행동과 의식의 일치 50
5)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과 수업몰입 전체 51
Ⅴ. 논 의 52
1. 학년별 특성과 재미요인 및 수업몰입 53
2. 지역별 특성과 재미요인 및 수업몰입 54
3.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재미요인과 수업몰입 56
Ⅵ. 결론 및 제언 57
1. 결 론 57
2. 제 언 60
참고문헌 62
ABSTRACT 6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정빈. (2018). 지역에 따른 여중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재미요인과 수업몰입의 관계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