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직장인의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에 따른 식행동,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직장인의 식행동 및 식품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에 따라 4개 군으로 분류한 뒤, 식행동, 영양소 섭취 상태, 식사의 질을 평가하여,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19-59세 직장인 596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12월까지 전문영양사에 의한 면접방식의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Program (Ver. 24.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내용별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x ̄2-test, ANOVA (Dunca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50.3%였으며, 연령은 40-49세 36.9%, 교육 수준은 대학교 이상이 67.6%, 혼인상태는 기혼이 81.2%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은 중상이 28.0%였으며, 거주지역은 제주시가 64.4%, 직업은 관리사무직이 47.0%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은 아침결식군 26.7%, 아침식사 저에너지군 14.3%, 아침식사 중간에너지군 36.4%,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 22.7%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p<0.001), 기혼일수록 (p<0.01)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이른 시간에 저녁을 먹고, 가정조리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반면에 음식점 (p<0.01), 포장음식 (p<0.05), 배달음식 (p<0.01) 이용 섭취빈도에서 아침 결식군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1일 평균 섭취 에너지는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 (2236.8kcal), 아침식사 중간에너지군 (1835.1kcal), 아침결식군 (1788.5kcal), 아침식사 저에너지군 (1669.3kcal)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p<0.001), 비타민 A (p<0.01), 비타민 B2 (p<0.001), 나이아신 (p<0.001), 인 (p<0.001), 철 (p<0.001), 나트륨 (p<0.001)의 1일 평균 섭취량도 섭취 에너지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의 경우 아침, 점심, 저녁, 간식 배분이 가장 적정하였고, 탄수화물:단백질:지방 구성 비율에서 아침결식군의 경우 탄수화물 섭취가 가장 낮은 반면 (p<0.001), 지방 섭취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p<0.001),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모든 군에서 영양섭취기준 대비 칼슘의 섭취가 낮고,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영양섭취기준 대비 영양소 섭취 비율이 양호했다. 모든 군에서 과반수 이상이 비타민 C와 칼슘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했으며, 모든 영양소에서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낮을수록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일곱째, 아침결식군의 경우 서류 (p<0.05), 두류 (p<0.01), 종실류, 채소류 (p<0.001), 버섯류, 과일류 (p<0.01), 양념류 (p<0.001), 난류 (p<0.01), 어류 및 어패류 (p<0.001), 우유 및 유제품류 섭취량이 가장 낮은 반면, 주류 (p<0.05), 육류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의 경우 우유 및 유제품류를 제외한 모든 식품군을 다양하게 섭취하였다. 여덟째,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식품의 다양성 점수 (DVS)가 높고 (p<0.001), 영양소 적정섭취비 (NAR) 및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 (MAR)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또한 아침결식군에서 칼슘 (p<0.05), 비타민 C (p<0.01)의 영양소 질적 지수 (INQ)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제주지역 직장인의 26.7%가 아침식사를 거르고 출근하였고, 이러한 아침결식군은 주류와 육류의 섭취가 많고, 섭취한 에너지에 비해 지방 비율이 높고, 비타민 및 무기질 영양소 섭취도 부족하여 전반적인 식사의 질이 낮았으며, 식행동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가장 높은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은 아침결식군과 반대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직장인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의 중요성 인식 제고 및 올바른 아침식사 습관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breakfast energy levels by examining dietary behaviors and status of food intake, classifying it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breakfast energy level, and then evaluating dietary
behavior,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of diet. We studied 596 workers aged at 19-59 in Jeju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conducted by professional dietitians from June to December 201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Program (Ver. 24.0) and, x ̄2-test, ANOVA (Duncan) were used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subjects was 50.3% males, 36.9% were aged 40-49, 67.6% had higher education, and 81.2% were married people. 28% of subjects were in the upper-middle classes in income, 64.4% living in Jeju-city, and 47.0% working as office workers, which were the largest number. Second, in terms of breakfast energy level for subjects, it showed 26.7% were "breakfast skipper group", 14.3% identified as "breakfast low energy group", 36.4% were "breakfast moderate energy group", and 22.7% were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It also indicated that groups that were older (p<0.001), and married (p<0.01) the higher breakfast energy level that was measure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the higher breakfast energy level was, the earlier they ate,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had homemade meals (p<0.001). while breakfast skipper group showed the largest in terms of frequency of consuming food from restaurants (p<0.01), takeout food (p<0.05), and delivery food (p<0.01). Fourth, when it comes to the average daily intake of energy, it showed significantly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2236.8kcal), breakfast moderate energy group (1835.1kcal), breakfast skipper group (1788.5kcal), and breakfast low energy group (1669.3kcal) in order (p<0.001). The average daily intake of
vitamin A (p<0.01), vitamin B2 (p<0.001), niacin (p<0.001), phosphorus (p<0.001), iron (p<0.001) and sodium (p<0.001) appeared to be similar to energy intake,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for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the dietary distribution was the most appropriate, and for breakfast skipper group, in the carbohydrate: protein:fat composition ratio, the intake of carbohydrate was the lowest
(p<0.001) while the percentage of intake of fat was the highest (p<0.001), which also mea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ixth, in all groups, calcium intake versus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was lower, and the higher the breakfast energy level was, the better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they showed. Vitamin C and Calcium were taken less than necessary by a majority of subjects in all groups. Also, in all the nutrients,
the lower the breakfast energy level was, the higher the ratio of those consuming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which led to a meaningful difference (p<0.001). Seventh, breakfast skipper group showed lower intake of potatoes (p<0.05), beans (p<0.01), seeds, vegetables (p<0.001), mushrooms, fruits (p<0.01) and
seasonings (p<0.001), eggs (p<0.01), fish and shellfish (p<0.001) and milk and dairy products, while showing high intake of drinking alcohol (p<0.05) and meat, which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had all the food groups in a variety ways except milk and dairy products. Eighth, the higher the breakfast energy level was, the higher Dietary Variety Score (DVS), Nutrient Adequacy Ratio (NAR) and Mean Adequacy Ratio (MAR) were, leading to a positive difference (p<0.001). Also, The Index of Nutrition Quality (INQ) of calcium (p<0.05) and vitamin C (p<0.01) was the lowest in the breakfast skipper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26.7%of workers in Jeju have been skipping meals for work, and such groups showed a higher consumption of alcohol and meat, a higher ratio of fat compared with energy taken, and insufficient intake of vitamin and minerals, resulting in a relatively poor quality of diet and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On the other hand,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the highest of breakfast energy level showed opposite results to those of breakfast skipper group.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o
prepare consistent education and promotion for office workers in a bid to improve the awareness on the significance of breakfast, as well as building adequate breakfast habits.
Author(s)
김수연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64
Alternative Author(s)
Kim, Su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Table Of Contents
표 목차Ⅲ
그림 목차Ⅳ
국문요약 Ⅴ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아침식사의 중요성3
2. 직장인의 아침식사 실태5
3. 아침식사와 영양소 섭취 상태7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8
1. 조사대상 및 기간8
2. 조사내용 및 방법8
1) 일반적 사항8
2)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 8
3) 식행동 9
4) 영양소 섭취 상태9
5) 식사의 질 11
6) 식품섭취조사 12
3.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12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3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13
2.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15
3. 조사대상자의 식행동 19
1) 식사빈도19
2) 동반식사 여부 및 대상21
3) 저녁식사 시간 및 가정조리음식 섭취빈도 23
4) 가정조리 외 음식 섭취빈도 25
5) 음주 섭취빈도 및 섭취량27
4.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상태 29
1)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29
2) 끼니별 에너지 섭취 비율41
3) 주요 영양소 에너지 구성 비율43
4) 영양섭취기준 대비 영양소 섭취 비율48
5)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비율50
6) 식품군별 에너지 섭취량 52
5. 조사대상자의 식사의 질54
1) 영양소 적정섭취비 (NAR) 및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 (MAR) 54
2) 영양소 질적 지수 (INQ) 56
3) 식품의 다양성 (DVS) 58
Ⅴ. 결론 및 제언 59
Ⅵ. 참고문헌 64
Abstract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수연. (2018). 제주지역 직장인의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에 따른 식행동,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