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적응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며, 주요 매개변인으로는 진로결정 자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진로결정 자율성, 그리고 진로적응력, 이 세 가지 변인의 관련성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결정 자율성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을 증진 시키는 적절한 지도방안 및 프로그램 개발과 진로상담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제주시 소재 고등학교 5곳에 재학 중인 1, 2학년 남녀학생 총 80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학교생활적응,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적응력 3가지 영역과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영역을 포함하는 설문지를 제작 후 사용하였다. 학교생활적응,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적응력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21일부터 3월 29일까지 각 반 담임교사에 의해 실시되었다. 총 800부 중 789부가 회수 되었고, 이 중 척도 1개 이상을 응답하지 않거나 동일한 반응 및 이상치 응답 등의 불성실한 18부를 제외한 77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등의 수준을 구명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과 측정변수 간의 관계를 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학교생활적응과 진로 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변인 역할을 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법을 사용하고, Sobel 테스트를 통해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적응,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적응력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적응력의 상관관계가 특히 높았다.
둘째,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및 상담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긍정적으로 학교생활적응을 하는 학생은 고등학교 생활 동안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더 적극적으로 찾고, 계발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특히, 자신의 내적동기에 따라 즐겁고 자율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선택, 결정하게 된다면 급변하는 직업 환경에 보다 더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생활적응을 도모하는 것과 더불어 진로결정 자율성을 향상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justment of school life and career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s a main media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career decision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career guidance and program development and career counseling to promot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t the school si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0 students in first and second grad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five high schools in Jeju cit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ree areas of school adjustmen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chool adjustmen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measured using the measurement tools judged to be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ecting data was conducted by each classroom teacher from March 21, 2018 to March 29, 2018. Out of the total 800 samples, 789 were collected and 771 data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8 defective samples that did not respond to one or more of the scales or the same response and outlier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measurement variabl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variable,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adaptation, In order to see the mediating role of decision-making
autonomy,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using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significance was verified through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tion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adaptation was especially high. Finally,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plays a part of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may provide direction for effective guidance and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career
adaptability.
Author(s)
김정완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70
Alternative Author(s)
Kim, Jeong W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 연구문제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학교생활적응 8
2. 진로결정 자율성 10
3. 진로적응력 12
4. 선행연구고찰 15
1) 학교생활적응과 진로결정 자율성의 관계15
2)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적응력의 관계16
3)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적응력의 관계 16
Ⅲ. 연구방법 18
1. 연구대상18
2. 측정도구18
1) 학교생활적응 18
2) 진로결정 자율성19
3) 진로적응력 21
3. 자료분석22
Ⅳ. 연구결과 23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23
2.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 24
3. 성별, 학년, 학교유형 간 특성 차이 26
4.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29
5.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31
Ⅴ. 논의 33
1. 결론 및 논의33
2. 제한점 및 제언 35
참고문헌 36
Abstract 45
부 록 4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정완. (201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