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노인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실태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노인의 식행동 및 식품섭취상태를 조사하고 성별, 연령, 거주지역, 가구유형에 따른 영양섭취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노인의 영양개선 및 건강증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내에 거주하는 만65세 이상 노인 165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158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SPSS Win Program (Ver. 24.0)을 이용하여 조사항목에 대한 전체적인 파악을 위해 기술통계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내용에 따라 교차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ANOVA)으로 비교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남자노인 71명, 여자노인 87명으로, 연령대는 65~69세, 거주지역은 제주시 동 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남자노인의 교육수준이 여자노인보다 높았고(p<0.001), 가구유형에서 1인 가구는 모두 여자노인이었으며(p<0.01), 직업은 농림, 어업종사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저녁식사의 동반식사율에서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높았고 (p<0.001), 음주율은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높았으며 (p<0.001),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았다 (p<0.05). 동 지역의 식이보충제 복용율이 읍․면 지역보다 높았고 (p<0.01), 65~69세 노인의 음식점 섭취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1). 셋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여자노인, 75~79세, 제주시 동 지역, 1인 가구에서 나쁘게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중강도 신체활동은 읍․면 지역의 실천율 이 높았고 (p<0.05), 걷기실천율은 배우자동거 가구의 실천율이 높았다 (p<0.05). 전체 노인의 84.8%가 1개 이상의 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앓고 있는질환은 고혈압, 이상지혈증, 당뇨병 등의 순이었다. 넷째,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높고 (p<0.001), 연령이 높아질수록 섭취 에너지가 낮았으며 (p<0.01), 영양섭취기준 대비 영양소 섭취 비율은 성별, 연령, 거주지역, 가구유형에서 모두 칼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의 에너지 구성비율에서는 여자노인의 탄수화물 에너지비율이 높았다 (p<0.05). 다섯째, NAR은 칼슘, 비타민C, 비타민A 의 순으로 낮았고, 단백질, 티아민, 인, 철의 NAR은 0.9 이상이었으며, MAR은 0.86으로 나타났다. INQ는 단백질 (p<0.05), 니아신 (p<0.05), 칼슘 (p<0.001), 인 (p<0.001)에서 남자
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높았고, 니아신은 서귀포시 읍․면 지역이 높았으며 (p<0.01), 인은 서귀포시 지역이 제주시 지역보다 높았다 (p<0.05).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비율에서는 단백질 (p<0.05)과 인 (p<0.05)은 여자 노인이 많고, 비타민A (p<0.01)와 니아신 (p<0.05)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많아지고, 티아민은 1인가구과 배우자 가구가 많았다 (p<0.01).
여섯째, 식품군별 1일 섭취 에너지는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높았고 (p<0.001), 연령이 증가할수록 섭취 에너지가 낮았다 (p<0.01). 양념류의 섭취 에너지에서 제주시 읍․면 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p<0.01), 동 지역의 우유 및 유제품류의 섭취 에너지가 높았다 (p<0.05). 채소류의 섭취 에너지는 자녀동거 가구와 배우자동거 가구가 (p<0.01), 과일류의 섭취 에너지는 기타 가구와 자녀동거 가구가 높았다 (p<0.01). 식품군별 총 섭취량은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높고 (p<0.01). 연령이 증가할수록 총 섭취량이 낮아졌으며 (p<0.001), 1인 가구의 총 식품 섭취량이 다른 가구유형보다 낮았다 (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 노인의 식행동, 영양소 및 식품섭취량에는 성별, 연령, 거주지역, 가구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영양소 중 칼슘의 섭취량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영양불량의 위험이 높은 여자노인과 1인 가구, 75세 이상 노인, 읍․면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유지원사업과 같은 영양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제주시 읍․면 지역의 경우 나트륨의 섭취량은 높고, 비타민C의 섭취량은 낮아 올바른 식품과 양 및 조리법 선택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전체 노인의 84.8%가 1개 이상의 질환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노인기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성별 및 연령대에 따른 맞춤형 식사지침 및 건강증진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
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plan that can improve nutrients of the elderly and promote their health through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ir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resident region, and type of househol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November, 2017, over 165 people aged over 65 living in Jeju. And then 158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final analysis data. The data of this study was analysed for grasping outlines of the whole items using SPSS Win Program(Ver. 24.0) and then compared by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according to the contents. Thereafter it is conduct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bjects consist of 71 male and 87 female elderly people, and the group aged 65 to 69 and the group residing Jeju urban area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all. Education standard in male subjects is higher than in female subjects(p<0.001). In regarding with type of household, all single households are consist of female subjects(p<0.01). Subjects working in agriculture and fishery are the most in their occupations. Second, the ratio by which one has supper with others is higher in male subjects than in female subjects(p<0.001). Alcohol intake ratio in male subjects is higher than in female subjects(p<0.001), and it gets lower as the subject groups are getting older(p<0.05). The supplement intake ratio in urban
area is higher than in rural area(p<0.01), and the elderly aged 65 to 69 are displayed to eat out in the restaurant the most frequently(p<0.01). Third, The groups who subjectively recognised themselves as being in the worst healthy conditions are the groups including female elderly aged 75 to 79, those living in Jeju urban area, and the members of the single households. Moderate physical activities are done the highest in the subjects living in rural area(p<0.005), and walking exercise in the household living with spouse is the most practiced(p<0.05). 84.8% of the subjects have more than one disorder, which include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diabetes in order. Fourth, in daily mean energy intake, male subjects take more than female
subjects(p<0.001), and as their age gets higher, the energy intake gets less(p<0.01). In regard with the ratio based on nutrients intake standards, all the subjects in each gender, age, resident area, and type of household group have calcium intakes the least. In the ratio of energy composition which are composed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female subjects have the highest carbohydrate intake(p<0.05). Fifth, NAR is displayed low as in calcium, vitamin C, vitamin A. NAR as in protein, thiamine, phosphorous, and iron is more than 0.9, and MAR is 0.86. In INQ, male subjects have higher protein(p<0.05), niacin(p<0.05), calcium(p<0.001), phosphorous(p<0.001) than female subjects. Subjects in Seogwipo rural area have more niacin(p<0.01) than those in any other areas, and subjects in the whole Seogwipo city area have more phosphorous than those in the whole Jeju city area(p<0.05). In those who intake less than EAR, the female group intake higher protein(p<0.05) and phosphorous(p<0.05). The older the subjects are, the more vitamin A(p<0.01) and niacin(p<0.05) they take in, and the group from single household and household with spouse have
more thiamine(p<0.01). Sixth, male subjects have more daily energy intake by food groups than female subjects(p<0.001). The older the subjects become, the less energy they take in(p<0.01). Subjects in Jeju rural area have the highest intake of the condiment (p<0.01), and those from Jeju and Seogwipo urban area have the highest intake of milk and dairy products(p<0.05). The groups from the household living with children or living with spouse have more vegetables intake(p<0.01) and the rest households and the group from the living with the children have more fruit intake(p(0.01). Male subjects have more total food intake(p<0.01) than female subjects, and the older they get, the less they take in(p<0.001). Single household group have less total food intake than any other groups(p<0.05). In conclusion,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Jeju elderly's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and food intake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resident region, and types of household. I think nutrition support plans such as milk support program are needed for old female group, single household group, over 75 aged group, and group living in rural area cause they are vulnerable
to malnutrition because of their least calcium intake. Besides, as the elderly in Jeju rural area have higher intake in sodium and lower intake in vitamin C in their meal, we need to educate and publicize them for choosing appropriate food, amount, and recipes. Furthermore, as 84.8% of the whole subjects have
more than one disease and are supposed to be exposed to a variety of diseases, customized meal guidelines and health improvement plan for the elderly to live a healthier lives should be established soon.
Author(s)
김경희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79
Alternative Author(s)
Kim, Kyeong Hu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Ⅱ
국문요약 Ⅳ
Ⅰ. 서 론1
Ⅱ. 연구 배경3
1. 노인기의 영양과 건강 3
2. 노인기의 영양섭취실태5
Ⅲ. 연구방법7
1. 조사대상 및 기간 7
2. 조사내용 및 방법 7
3. 자료의 통계처리10
Ⅳ. 연구결과 및 고찰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과 신체적 특성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11
2) 조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15
2. 조사대상자의 식행동17
1) 조사대상자의 끼니별 식사빈도, 동반 식사율, 동반대상 17
2) 조사대상자의 간식섭취빈도, 음주여부, 식이보충제 복용여부21
3) 조사대상자의 외식실태25
3. 조사대상자의 건강상태27
1)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신체활동 27
2) 조사대상자의 질환보유수31
3) 조사대상자의 보유질환 종류 33
4.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 실태 37
1) 조사대상자의 영양소별 1일 섭취량 37
2) 조사대상자의 영양섭취기준 대비 영양소 섭취 비율 41
3) 조사대상자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의 에너지 구성 비율45
4)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적정섭취비 (NAR)와 평균영양소 적정섭 취비 (MAR) 47
5)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질적지수 (INQ) 53
6) 조사대상자의 영양섭취기준 미만섭취자 비율 57
7) 조사대상자의 식품군별 1일 섭취 에너지 61
8) 조사대상자의 식품군별 1일 섭취량 69
Ⅴ. 결론 및 제언77
Ⅵ. 참고문헌81
Abstract 8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경희. (2018). 제주지역 노인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실태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