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행동과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급격하게 서구화된 식생활과 대학생들의 올바른 영양지식의 부족으로 유도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식행동 등은 비만과 생활습관병의 증가를 초래한다. 대학생 시기는 균형 있는 영양섭취가 무엇보다 필요한 때이지만, 이시기의 학생들은 불규칙한
식사와 잦은 결식·폭식·야식과 고열량·저영양 간식의 섭취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식행동을 형성하고 있다. 대학생들은 거주형태가 다양하고 이는 그들의 식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충남, 서울, 익산, 인천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거주형태에 따른 식행동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나, 제주지역에서 실시된 연구는 미비하며 지역에 따라 대학생의 식행동에 대한 문제 정도, 영양교육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주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행동과 건강 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영양교육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제주지역 대학생의 올바른 식행동 확립을 위한 맞춤형 영양교육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실시되었고 최종적으로 회수된 설문지 353부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Ver.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내용별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Duncan)를 사용하였으며, 영양교육 요구도 우선순위파악을 위하여 항목 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남자 45.3%, 여자54.7%로 구성되었고, 조사대상자의 거주형태는 자택군 45.3%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기숙사군 45.0%, 자취군 9.6%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거주형태별 한 달 용돈은 20만원 미만의 용돈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용돈의 41〜60%를 식비로 사용하는 학생 가장 많았으며 거주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1). 조사대상자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행동을 살펴본 결과, 하루 세끼의 식사 중 결식률이 가장 높은 식사는 아침이었으며 자취군이 가장 높은 아침 결식률을 보였다(p<.01). 조사대상자가 식사를 거른 이유로는 '시간이 부족해서'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조사대상자가 과식을 하는 횟수를 살펴 본 결과, 주1회 과식을 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과식을 하는 시기는 저녁이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점심, 간식, 야식, 아침 순이었다. 조사대상자가 식사를 할 때 소요되는 시간은 전체 20〜30분 미만이 가장 많았고, 식사를 할 때 대화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하루 동안 간식의 섭취횟수는 1〜2회가 가장 많았고, 간식을 섭취 하는 이유는 '음식이 맛있어서', '배가 고파서', '습관적으로', '식사 간격이 길어서', '남길 수 없어서'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이 즐겨먹는 간식음식으로는 과자와 비스킷이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에 따라서는 자취군에서 과자와 비스킷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숙사군에서 라면/피자/햄버거 등 인스턴트 및 패스트푸드를 높은 비율로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주일간 야식섭취 횟수는 주1〜2회가 가장 많았으며, 야식을 섭취하는 이유에서 '배고파서' 섭취한다는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모든 거주형태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았다. 조사대상자들이 즐겨먹는 야식음식으로는 라면/피자/햄버거 등 인스턴트 및 패스트 푸드가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식품군 섭취 빈도를 분석해 본 결과, 채소 및 과일류 (p<.001), 육류/달걀류/생선류/콩류 (p<.01) 섭취 빈도에서 자택군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인스턴트 및 패스트푸드 (p<.05) 섭취 빈도는 기숙사군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들의 건강 행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음주, 흡연, 건강 기능성 식품 섭취여부, 운동시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86.7%가 음주를 한다고 답하였고 조사대상자들의 79.0%가 비흡연의 응답률을 보였으며 거주형태에 따른 흡연율의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73.4%가 건강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조사대상자의 38.8%가 운동을 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영양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 중 식생활 과목을 수강 해본 경험이 있는 학생은 25.8%였으며 수강해보지 않은 학생은 74.2%였으며 조사 대상자들은 85.8%가 현재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식생활 관련 교양과목 수가 부족하다고 답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이 영양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매체로는 인터넷이 가장 많았고, 조사대상자의 영양관련 정보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전체적으로 '다양한 매체를 통한 지속적인 영양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대학에서 특강, 교양과목 등으로 영양정보 제공이 필요하다'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가 제공 받고 싶은 영양정보는 '체중관리 영양정보'가 가장 많았으며, 영양정보선택의 이유로는 '지금 필요해서' 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영양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싶은 매체로 조사대상자들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가장 많이 꼽았고, 조사대상자들이 매체를 선택한 이유는 '아무 때나 이용할 수 있어서'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제주지역 대학생은 아침결식률이 대체적으로 높으며 특히 자취군의 결식률이 다른 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취를 하는 학생의 경우 식사를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지속적인 아침결식은 영양불균형으로 이어져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때문에 대학생들이 스스로 식사를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대학차원에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학교식당에서 한 끼에 충분한 영양소의 섭취를 할 수 있는 균형 잡히고 기호도가 좋은 간단한 아침식사 메뉴의 개발이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제주지역 대학생들은 대부분의 영양지식을 대중매체로 습득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쉽게 영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
여 영양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대중매체나 스마트폰을 통한 영양정보의 제공은 무조건적인 정보의 습득이나 신뢰성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대상자들의 지적수준, 환경요인에 맞추어 새로운 정보를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능동적인 자세를 키우며 올바르지 못한 정보를 걸러내고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다.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induced by rapidly westernized eating habits and lack of proper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lead to an increase in obesity and lifestyle diseases. It is the college age when the young are in need of balanced nutrition, but they have been forming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such as irregular eating, frequent skipping meals, gluttony, and late-night eating as well as high-calorie low-nutrition snack intake. College students live in different types of residences, which affects their eating habits. Although previous studies on dietar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in Chungnam, Seoul, Iksan, and Incheon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 the Jeju area.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etary behavior problems and nutrition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Jeju, more specific research is needed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Jeju.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dietary behaviors and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the residence type of college students in Jeju, to figure out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and to provide a way for customized nutrition education in order to encourage healthier dietary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Jeju.
We conducted a survey on college students in Jeju from April 2018 to May 2018 and used 353 questionnaires among the retrieved samples as the investigating materia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ANOVA (Duncan),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21.0) and, the priority was set by weight per item to prioritize nutritional education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the respondents were 45.3% male and 54.7% female, and
in the category of type of residence 45.3% of respondents live at home with their family followed by 45.0% in dormitories and 9.6% off campus. For the category of the monthly allowance amount according to type of residence, under 200,000 won was the highest and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spent 41-60%
of their monthly allowance amount on foo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residence (p<.01). The result of examining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type of residence showed that breakfast was the most skipped meal among the three meals a day, and the group living off campus skipped breakfast the most (p<.01). The main reason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skip a meal was due to the lack of time, which was how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answe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overeating, once a week was the highest and the most frequent time for overeating was dinner, followed
by lunch, snacks, late night snacks, and breakfast.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spent less than 20 to 30 minutes on eating and answered that they had a conversation when eating. One or two times was the highest in the frequency of consuming snacks during the day and the reason for eating snacks was in order of 'tasty', 'hungry', 'habitual', 'long time interval between meals', and 'don't want to have any leftover food'. The most popular snacks were chips and biscuits. According to the residence type, Chips and biscuits were consumed the most in the group living off campus and the group living in dormitories consumed the highest rate of instant and fast food such as ramen, pizza, and hamburgers. The participants' frequency of consuming late night snack food was highest at 1-2 times a week, and the greatest portion in every type of residence responded the reason for consuming late night snack food was 'hungry'. Among the snack foods consumed at night, instant and fast foods such as noodles, pizza, and hamburgers were the highest in number. The analyses on the frequency of dietary intake of participants showed that respondents who lived in residences
had high scores in terms of consumption of vegetables and fruits (p<.001) as well as meat, eggs, fish, and beans (p<.01). The result also found that those residing in dormitories had high scores in consumption of instant and fast foods (p<.05). In order to underst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participants, investigation on
drinking, smoking, consumption of health dietary supplements, and hours of exercise were conducted. 86.7%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ey were drinkers; 79.0% non-smokers; and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smoking by residence type. 73.4%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ey did not consume dietary supplements,
and 38.8% responded they did not exercise.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of participants, it turned out that students who took dietary lifestyle-related classes accounted for 25.8%, and those who had not accounted for 74.2% of the respondents. 85.8% of the respondents answered liberal arts related to dietary lifestyles offered in universities were insufficient in number. The largest source of nutrition
information was from the internet, and the biggest portion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re's a need to receive continuous nutrition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media in response to questions regarding the awareness on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s a necessity to provide nutrition information through special lectures or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The most popular nutrition education that participants said they would like to receive was 'nutrition education regarding weight management'. The highest number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are 'in need of it now'. With regard to
the preferred media, 'smart phone applications' were most chosen, and the reason was that the participants can 'use it anytime'.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is high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Jeju region in general, particularly that of those living off campus which is higher than the rest. The students living off campus are thought to have problems preparing meals on their own, which leads to constant skipping of breakfast, resulting in negative impacts on their health.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universities to prepare measures that help students to get easily accessible meals. For instance, there is a necessity to develop nutritionally balanced and easily accessible breakfast menus, through which students can also consume sufficient nutrients in one meal in cafeterias. In addition, the study finds that university students in Jeju have learned nutrition information mostly via mass media, and are now hoping to receive nutrition information through smart phones so that they can access it more easily at anytime and anywhere. However, since there is a chance that learning information via mass media or smart phones can cause problems with respect to indiscriminate acquirement of information or reliability, there is a need to help the participants to absorb new information suitable to their intellectual levels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take a progressive attitudes by making active decisions; and develop abilities to screen inadequate information.
Author(s)
문주경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704
Alternative Author(s)
Moon, Ju K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Table Of Contents
목차Ⅰ
표 목차Ⅲ
국문요약 Ⅴ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식행동4
1) 거주형태에 따른 식행동 6
2. 건강 행동7
1) 음주 7
2) 흡연 8
3) 운동 9
3. 대학생의 영양교육9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11
1. 조사대상 및 기간11
2. 조사내용 및 방법11
1) 조사대상자 일반사항11
2) 식행동 11
3) 건강 행동 11
4) 영양 교육 요구도 12
3. 자료처리 및 분석12
Ⅳ. 결과 및 고찰 13
1. 조사대상자의 거주형태에 따른 일반사항 13
2. 조사대상자의 식행동 17
3. 조사대상자의 거주형태에 따른 건강 행동34
4. 조사대상자의 영양 교육 요구도 39
Ⅴ. 요약 및 결론 59
Ⅵ. 참고문헌 65
부록 72
Abstract 7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문주경. (2018). 제주지역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행동과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