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국 1차산품의 대(對) 한국 수출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xport Promotion Plan of Chinese Primary Commodities to Korea : Focusing on Korea-China FTA
Abstrac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s are attracting more and more countries to ponder. Because of its smaller scope of cooperation, it is easier to negotiate and achieve. In this case, countries establish regional economic association organizations, thus obtaining great economic benefits. In recent years, China and the rok have signed many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s with other countries, which enable the two countries to fully enjoy the benefits of trade facilitation. China and South Korea are geographically close. The two countries not only share history and culture, but also share common interests in reality, which has promoted th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hina-rok agricultural trade has maintained rapid growth and China is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trade partner of the rok. In addition, geographical proximity, cultural similarity and other conditions have become the main factors of agricultural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Korea-China FTA negotiations were launched in May 2012 and finally signed on June 1, 2015 through numerous exchanges and discussions. As an important and sensitive industry, agriculture has become the focus of the whole negotiation process In the agricultural trade in China and South Korea, sou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are in a relatively weak position. As a result, South Korea has adopted strict protection policies against China's agricultural exports to South Korea. South Korea is an important trading partner of China and an important agricultural export market, so a Korea-China FTA could have a huge impact on China's agricultural exports to south Korea. However, compar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rad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growth of China's agricultural exports to South Korea is relatively slow.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export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to South Korea, this paper puts forward a series of reasonable promotion programs.
Author(s)
이위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797
Alternative Author(s)
Li, We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무역학과
Advisor
허윤석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3
제3절 선행연구4
1. 중국 농산품 대(對)한국 수출의 관련 연구4
2. 한·중 FTA의 관련 연구10
제2장 한·중 FTA의 이론적 고찰 13
제1절 FTA의 개요13
1. FTA의 개념13
2. FTA의 유형15
3. FTA의 경제적 효과17
제2절 한국과 중국의 FTA 추진현황19
1. 한국의 FTA현황19
2. 중국의 FTA현황22
제3절 한·중 FTA의 동향25
1. 한·중 FTA 추진배경25
2. 한·중 FTA 추진과정26
3. 한·중 FTA의 협상 주요결과27
제3장 한국과 중국의 농산품 교역33
제1절 양국의 농산품 교역33
1. 한국과 중국의 농업33
(1) 한국33
(2) 중국35
2. 양국의 농산품 무역 현황 38
(1) 한국38
1) 수출입 38
2) 주요 교역 대상국42
(2) 중국44
1) 수출입 44
2) 주요 교역 대상국46
3) 대(對)한 수출 동향48
제2절 중국 농산품 대(對)한 수출의 분쟁 사례48
1. 2000년 마늘분쟁48
2. 2005년 한중 김치파동49
3. 2015년 산둥성 마늘사건50
제3절 중국 농산품 대(對)한 수출의 장애요인51
1. 중국 측면의 문제51
(1) 농업에 대한 투자 부족51
(2) 농산품 국제경쟁력 부족52
(3) 농산품 품질 부족53
(4) 단일한 농산품 생산구조 53
(5) 불안정한 농산품 서비스체제54
2. 한국 측면의 문제54
(1) 농업의 과도한 보호 정책54
(2) 정치적 요소 및 문화 장벽55
제4장 한·중 FTA에 따른 대(對)한국 수출활성화 방안57
제1절 한중 농산품의 양허 현황57
1. 한·중 FTA 체결전의 농산품 관세 현황57
2. 한·중 FTA 발효후의 1차산품 양허 내용58
3. 한·중 FTA 발효후 한국 농산품 수출입의 변화60
제2절 중국 농산품의 대(對)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61
1. 농산품 수출 확대61
2. 양국 간의 농산품무역 마찰 완화62
3. 농업 산업구조 개혁63
제3절 중국 농산품의 대(對)한국 수출의 활성화방안64
1. 농업 자금투입의 확대64
2 .농산품의 국제경쟁력 제고64
3. 농산품의 품질 제고65
4. 대(對)한국 신규 수출품목의 발굴65
5. 농산품 무역 서비스 혁신체제 확보66
6. 국제무역 협상기술 및 전략 향상67
7. 한국 농업협회와의 협력교류 강화67
8. 한·중 FTA 활용을 위한 체계적 계획의 수립 및 지원68
제5장 결론 70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70
제2절 연구 한계점 및 향후 과제73
참고문헌 74
ABSTRACT7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위. (2019). 중국 1차산품의 대(對) 한국 수출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International Trad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