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강정마을 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장애 유병률 및 두 정신장애의 동반이환 유병률과 관련요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in Gangjeong village residents, Jeju-do
Abstract
서론 :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외상 사건 이후 발생되는 대표적인 정신장애 중 하나이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선행 연구는 대부분 특별한 외상 사건과 관련된 소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삼았을 뿐, 지역 사회에서 외상 사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살아가는 주민들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경우 약 3분의 2에서는 다른 정신장애를 함께 진단받게 되며 특히 우울장애와의 동반이환률이 높지만 현재까지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집단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장애가 동반이환된 집단을 나누어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 목표를 삼는다. 첫째,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비교적 안정된 집단이면서 최근 외상 사건에 노출된 바 있는 제주특별자치도 강정마을 주민을 전수조사하여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장애 및 두 정신장애의 동반이환 유병률을 조사하고자 한다. 둘째, 강정마을 주민 중 주관적 외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을 대상으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장애의 동반이환 유병률을 각각 알아보고, 두 집단의 임상 양상 차이와 각 집단별 관련 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 건설과 관련된 외상에 노출되었던 강정마을 주민이다. 첫 번째 연구 목표를 위해 전체 주민 1,918명 중 조사에 동의 후 설문지를 작성한 713명(37.2%)을 분석하였다. 또한, 두 번째 연구 목표를 위해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 건설과 관련된 주관적 외상 경험이 있다고응답한 255명 중 분석에 부적합한 61명(23.9%)을 제외한 194명(76.1%)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성별, 나이, 결혼 상태, 직업, 월 가구 소득, 주관적 건강인지, 흡연, 음주 상태 등)을 조사하였고 임상평가를 위해 전반적 스트레스 평가 척도(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GARS), 사회적 지지 질문지(Functional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FSSQ), M.I.N.I-Plus(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Plus)에 제시된 자살경향성을 조사하였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장애의 진단 평가를 위해 개정판 사건 충격척도(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와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이용하였고 IES-R 절단점 22점, CES-D 절단점 21점으로 하여 각각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장애로 정의하였다. 데이터는 그 속성 및 분석의 목적에 따라 T 검정과 카이제곱, ANOVA 및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첫 번째 연구 결과 전수조사 대상자 713명 중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유병률은 26.8%(95% CI=23.54-30.04), 우울장애 유병률은 18.5%(95% CI=15.66-21.36),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장애가 동반이환된 유병률은 10.7%(95% CI=8.39-12.92)였다. 두 번째 연구 결과 주관적 외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194명 중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유병률은 51.0%(95% CI=44.00-58.07), 동반이환 유병률은 24.7%(95% CI=18.67-30.81)였다. 연구 대상자를 IES-R 및 CES-D 척도에 따라 세분하면 정신장애가 없는 비병적 상태 집단,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집단,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장애가 동반이환된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동반이환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점수와 우울장애 증상 점수가 더욱 높았는데(p<0.001,ANOVA), 이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과 우울장애 증상을 소항목으로 나누어 각각 비교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p<0.001, ANOVA).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집단의 관련 요인은 전반적 스트레스(adjusted OR=1.11, p<0.001, 95% CI 1.06-1.15)였고, 동반이환 집단의 관련 요인은 전반적 스트레스(adjusted OR=1.14, p<0.001, 95% CI 1.09-1.20), 사회적 지지(adjusted OR=1.06, p=0.008, 95% CI 1.01- 1.10)로 나타났다. 결론 : 외상 사건과 관련하여 강정마을 주민은 일반인에 비해 높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장애, 동반이환 유병률을 보였다. 그 중 주관적 외상 경험이 있는 경우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동반이환 유병률이 더 높았다. 동반이환 집단의 경우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점수와 우울장애 증상 점수가 모두 높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집단과 달리 동반이환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외상 경험자들에게 정신건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지지를 평가하고, 사회적 지지의 향상을 위한 노력을 통해 더욱 심각한 정신병리인 동반이환의 발현 예방이 필요하다.
Introducti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is one of the most typical psychiatric disorders that occurs after a traumatic event. Previous studies on PTSD have mostly focused on small samples that experienced specific traumatic events,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ommunity residents who are continuously exposed to traumatic events in their communities. In addition, about two-thirds of PTSD cases are diagnosed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re is a particularly high rate of comorbidity of depressive disorder in PTSD.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compared groups with PTSD and groups with both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two purposes. First, a complete survey was performed among the Gangjeong Village resident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se residents form a relatively stable group for geographical reasons and were exposed to a recent traumatic event. The survey specifically targe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as well as the comorbidity of these two psychiatric disorders among the residents. Second, the prevalence of PTSD and the comorbidity of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were investigated among Gangjeong Village resi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subjective traumatic events. Then, th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features of these two groups and associated factors for each group were investigated.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Gangjeong Village residents who were exposed to trauma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Jeju civilian-military complex port. For the first research goal of this study, 713 (37.2%) out of 1,918 residents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second research goal, among 255 resi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subjective traumatic even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Jeju civilian-military complex port, 61 (23.9%) who were inappropriate for analysis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194 (76.1%) resident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ex,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self-perceived health, smoking, drinking status, etc.); in addition, for the clinical evaluation, suicidality was assessed through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GARS), social support through Functional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FSSQ), and overall stress through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Plus (M.I.N.I-Plus). In order to evaluate the diagnosis of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were used, respectively. IES-R cutoff score of 22 and CES-D cutoff score of 21 were used to define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hi-square test,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data properties and the purpose of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first investigation, the prevalence of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and the comorbidity of the two disorders were 26.8% (95% CI=23.54-30.04), 18.5% (95% CI=15.66-21.36), and 10.7% (95% CI=8.39-12.92) among the 713 participants of the complete survey,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econd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PTSD and the comorbidity of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were 51.0% (95% CI=44.00-58.07) and 24.7% (95% CI=18.67-30.81), respectively, among the 194 participants who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subjective traumatic events. Subdividing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IES-R and CES-D scales enabled classification of the participants into no morbid condition group without psychiatric disorder, PTSD group, and comorbidity group with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the group with comorbidity of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showed higher scores for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p<0.001, ANOVA). This result was also observed when the symptoms of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were divided into subcategories and compared (p<0.001, ANOVA).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associated factor for the PTSD group was overall stress (adjusted OR=1.11, p<0.001, 95% CI 1.06-1.15) and that those relevant for the comorbidity group were overall stress (adjusted OR=1.14, p<0.001, 95% CI 1.09-1.20) and social support (adjusted OR=1.06, p=0.008, 95% CI 1.01-1.10). Conclusion: In relation to a traumatic event, the residents of Gangjeong Village showed high prevalence of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as well as high comorbidity of the two conditions. Among the residents, higher prevalence of PTSD and comorbidity of the two psychiatric disorders were observed when the participants had subjective traumatic experiences. In the comorbidity group, the scores for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were both high. Unlike in the PTSD group,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an associated factor in the comorbidity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social support, which affects mental health of traumatized people, in individuals with traumatic experience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event comorbid development of depressive disorder, which leads to a more serious psychopathological condition, through efforts to improve social support.
Author(s)
양현주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862
Alternative Author(s)
Yang, Hyun 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Advisor
김문두
Table Of Contents
초록 - i
목차 - iv
표 목록 - vi
그림 목록 v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4
1. 외상 사건 - 4
2.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6
3. 우울장애 7
4.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장애의 동반이환 8
III. 연구의 목적 - 11
IV. 연구 방법 12
1. 연구 대상 - 12
2. 측정 도구 - 15
3. 자료의 분석 22
V. 결과 - 24
1. 강정마을 전체 주민 대상 유병률 연구 24
2.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동반이환 집단의 관련 요인의 차이 연구 40
VI. 고찰 - 66
1. 강정마을 전체 주민 대상 유병률 연구 66
2.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동반이환 집단의 관련 요인의 차이 연구 69
VII. 결론 - 75
참고문헌 - 76
부록 - 89
초록(영문) 9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현주. (2019). 강정마을 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장애 유병률 및 두 정신장애의 동반이환 유병률과 관련요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edicin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