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부모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부모교육 특성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and Paren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Child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in Jeju Area.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부모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부모교육 특성이 자녀양육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 척도와 자녀양육태도 척도를 활용하였고 부모교육 특성을 묻는 항목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회수된 총 227부의 설문지를 최종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χ2 검증, t-test와 ANOVA 분석 그리고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를 살펴보면, 최종학력에 따른 정서적 방임과 자녀수에 따른 전체 양육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인구사회학 특성에 따른 부모교육 특성이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χ2검증을 실시한 결과에서 연령대에 따른 부모교육 경험, 첫 부모교육 시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분포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최종학력에 따른 부모교육 경험이 통계적으로 집단별 분포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 중 정서적 학대는 애정-거부적 양육태도와 전체 양육태도에서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적 방임은 애정-거부적 양육태도, 자율-통제적 양육태도 및 전체 양육태도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애정-거부적 양육태도와 전체 양육태도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방임이 전체 양육태도와 애정-거부적 양육태도에 부적 영향력을 미쳤으며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경험이 많을수록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자녀양육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부모교육 인식은 전체 양육태도, 애정-거부적 양육태도 그리고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정적인 영향이 미쳤다. 이는 부모교육 인식이 높을수록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모교육을 받은 시기는 전체 양육태도에 부적 영향력을 보였는데 이는 부모교육 시기가 출산 후보다는 출산 전에 부모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자녀양육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자녀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부모의 정서적 외상경험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고 부모교육 특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부분적으로 채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사회복지적 제언과 연구의 한계성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and paren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of parents in Jeju area.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or 227 parents of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daycare centers. And children trauma questionnaire scale, child rearing attitude scale, and parent education characteristics 4 item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and ANOVA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8.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motional neglect and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Also,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parent edu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education experience and first parent education period according to ages.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a parent educ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level.

Second, emotional abuse among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ffection-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overall parenting attitude. Emotional neglec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ffection-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utonomous-controlled parenting attitude, and overall parenting attitude.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exposur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ffection-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overall parenting attitude.

Thir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had negative influences on overall parenting attitude and affection-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many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showed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However,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exposu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 rearing attitude.

Forth, parent education perception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parenting attitude, affection-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utonomous-controlled parenting attitud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arent education, the more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was confirmed. On the other hand, when parents were educated, the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overall parenting attitude. This suggests that parental education before childbirth rather than after childbirt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rearing attitude.

In conclusion, the hypothesis that parental emotional traumatic experiences have a negative effect on child rearing attitudes and that parental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 rearing attitudes is partially adopted. The limitations of he social welfare proposal and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 words :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child abuse, domestic violence, child rearing attitude, parent education.
Author(s)
이태림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34
Alternative Author(s)
Lee, Tae li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사회복지전공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정서적 외상경험 6
1) 정서적 학대 7
2) 정서적 방임 9
3) 가정폭력 노출경험 10
2. 부모교육 11
3. 자녀양육태도 14
4. 정서적 외상경험, 부모교육, 자녀양육태도 간의 선행연구 18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모형 20
2. 연구가설 21
3. 측정도구의 구성 24
4.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8
5. 분석방법 29
Ⅳ. 연구결과 30
1. 연구대상자의 특성 30
2.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자녀양육태도의 기술통계 분석 33
3.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 간의 차이 35
4.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자녀양육태도 간의 상관관계 41
5.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43
6. 부모교육 특성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46
7. 연구가설 검증 결과 50
Ⅴ. 결론 및 제언 53
1. 연구결과 요약 53
2. 연구의 제언 56
3. 연구의 한계 58
참고문헌 59
설문지 7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이태림. (2019). 제주지역 부모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부모교육 특성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