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굴메오름을 소재로 한 스낵컬처 가이드맵 제작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Snack Culture Guide Maps Based on Gulmeoreum
Abstract
현대문명의 발달은 직장인들에게 신속한 공간 이동, 업무 처리능력 향상, 정보의 빠르고 정확한 전달 등을 바탕으로 생산성 극대화를 이루었다. 그러나 생산성의 극 대화는 인간의 기본적 누릴 권리보다 지위 상승과 물질적 성취에 더욱 관심을 두게 하였다. 이런 상황 속의 스낵컬처는 현대인들에게 심리적 위안과 보상 같은 새로운 문화 향유의 트렌드로서 의미가 크다. 스낵컬처의 특징은 언제 어디서나 짧은 콘텐 츠 형태의 신선한 정보를 신속하게 받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 한 스낵컬처의 특성을 활용 굴메오름(군산)의 이야기들을 소재로 한 스낵컬처 가이 드맵 제작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스낵컬처의 특성과 스낵컬처의 활용에 관하여 이야기하였고 스낵 컬처 가이드맵의 제작 목적은 지역 문화에 관심 있는 방문객과 독자들에게 휴대용 디바이스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 논문의 연구 대상이 굴메오름에 분포 된 이야기들이라는 것을 밝혔다. 또한 제주도와 사설 여행ㆍ관광지 등의 가이드맵 을 예로 스토리텔링 콘텐츠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텍스트 위주의 가이드맵이 스낵컬처 콘텐츠를 활용한 가이드맵으로 바뀌어야 할 필요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굴메오름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게 된 이유와 선정된 이야기 들이 어떻게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가 진행되는지 단계별 진행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 첫 번째로 자료ㆍ문헌 조사와 채록 등의 방법을 통해 이야 기를 수집, 정리, 분석하고 주제의 설정, 이야기 구성, 이야기의 범위를 확정하며 답 사를 통하여 문자와 사진으로 기록하였다. 두 번째, 위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굴메오 름의 탄생 설화 구역, 아기업게 돌 설화 구역, 굴메오름이 품은 또 다른 이야기 구 역 등 3개 구역으로 나누었다. 세 번째, 나누어진 각 구역을 이야기의 전개 순서에 따라 동선을 구성하고 나누어진 제1, 제2구역의 이야기와 제3구역의 이야기 하나를 선정하여 각각 트리트먼트, 시나리오를 제작하고 그것에 적합한 콘텐츠 도구를 선 택하여 제작 기획서와 이야기 속 주인공 캐릭터를 창작하였으며 콘텐츠 제작을 위 한 스토리보드와 웹툰의 예시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스낵컬처 가이드맵 제작 연구 결과물의 활용방법을 도판으로 구성하여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문화의 트렌드인 스낵컬처 콘텐츠 제작방법을 활용하여 굴메 오름을 소재로 한 스낵컬처 가이드맵 제작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차후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계속 확장해 나갈 수 있으므로 제주지역의 이야기들이 경쟁력을 가진 콘텐츠로 개발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치를 지닌 자원으로서 지 속적인 발굴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has maximized productivity, owing to quick spatial movement, improvement of work processing ability, and rapid and accurate delivery of information to workers. However, the maximization of productivity has put more attention on gaining status and material achievement than the basic right to enjoyment of human beings. That is why the development of "snack culture" is meaningful as a trend of new cultural enjoyment as a psychological comfort and reward for modern people. Snack culture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quickly receive fresh information in a short form, anywhere, anytim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research method for creating a snack culture guide map based on the stories of Gulmaeoreum(Gunsa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snack culture. Prior to this study, we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snack culture. In addition, it is clarified that the aim of the snack culture guide map is to provide visitors and readers interested in local culture with information via portable devices and the subjects of this paper are stories about Gulmaeoreum. We also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storytelling for tourists by examining guide maps for tourist attractions designed by the Jeju provincial administration and private enterprises and explained the need to change the text-oriented guide maps into guide maps including snack culture contents. In this study, we explain the reasons for choosing the Gulmaeoreum area as an object of this research and how to conduct a step-by-step research study employing chosen stories through storytelling techniques. First, we gathered, organized, and analyzed the stories from materials, documentary sources, and records, and set the topic, the composition and the scope of the story, and recorded results in documents and photographsby making on-site surveys. Second, based on the above materials, we divided them into three sections: the folk story of the birth of the Gulmaeoreum, the folktale of the shrine to Agieobge (A girl responsible for taking care of babies in the Jeju dialect), and another story of the Gulmaeoreum. Third, we organized the path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equence of the stories, chose one story from the three divided sections to produce treatments and scenarios, selected proper tools for each story, created a production proposal and a main character, and showed an example of a storyboard and a web toon for producing the projects. Finally, we showed how to utilize the results of snack culture guide map production research by composing illustrations. In this study, we propose a research method for creating a snack culture guide map based on Gulmaeoreum by utilizing a snack culture contents production method which is a trend of modern culture. Since these studies can be extended to other areas in the future, the stories of the different regions of Jeju need to be consistently explored and researched as resources with diverse values for us to develop and utilize this content competitively.
Author(s)
양원석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62
Alternative Author(s)
Yang, Won Su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Advisor
박여성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대상 1
2. 연구 방법 7
Ⅱ. 제주지역 가이드맵 스토리텔링 콘텐츠 현황 및 필요성 8
1. 제주지역 가이드맵 스토리텔링 콘텐츠 현황 8
2. 스낵컬처 가이드맵 개발의 필요성 15
Ⅲ. 굴메오름을 소재로 한 스낵컬처 가이드맵 제작 17
1. 장소 선정 및 주제 설정 18
2. 자료조사 및 답사 18
3. 소재 분석 및 스토리 구성 19
4. 스토리 가이드맵 동선 구성 30
5. 스낵컬처 가이드맵 콘텐츠 기획 및 제작 36
6. 편집 및 완성 67
Ⅴ. 결론 68
참고문헌 71
Abstract 73
부록 7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양원석. (2019). 굴메오름을 소재로 한 스낵컬처 가이드맵 제작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Storytell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