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의 곶과 자왈을 형상화한 풍경화 연구 -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bstract
자연은 유구한 시간 동안 끊임없이 인간과 함께 공존해왔으며, 인간의 삶의 터전임과 동시에 경외의 대상으로써 항상 우리의 곁에 있는 존재이다. 또한 자연은 인간의 삶을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인간의 미적 감각을 자극 시키며 예술창작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즉, 자연이 인간에게 미치는 다양한 삶의 부분과 예술적으로 얻을 수 있는 영감으로 미루어 봐도, 자연이야말로 오래도록 우리의 삶과 직결되는 예술 활동의 근원이 되어왔다.
시대가 변하고 문명이 발달할수록 제주 자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도 바뀌었다.
옛날부터 화산섬 제주의 자연은 용암으로 생성된 돌들을 기반으로 황무지, 혹은 불모지로 인식되곤 했지만, 오늘날 제주의 자연은 그것이 생태자원으로써 현대인 에게 정서적 안정과 보존 가치가 높아지면서 웰빙, 힐링, 로컬리티, 풍토성 등 다양한 관점의 연구들로 확장되고 있다.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제주는 다양하고 독특한 자연적·생태적 환경이 존재하 는데 그 중 곶과 자왈은 제주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제주인의 삶을 안고 있는 중요한 공간이 되고 있다. 현재 이 곶과 자왈은 예술적 소재가 풍부한 장소가 되고 있으며, 곶과 자왈에서 찾아낸 경관적 요소들은 제주자연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상징적 구역이며 예술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곶과 자왈의 경관은 화산섬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자연을 주제로 한 미술이 되고 있으며 신선한 제주의 풍경화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 곶과 자왈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제주 풍경을 새롭게 해석하고, 제주 자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예술적 패러다임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에, 동·서양 회화에서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보면 두 세계가 서로 상이한 자연관을 갖고 있지만 동·서양 모두 나름대로 자신의 문화적 시각에 맞춰 풍경화의 역사 성을 형성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동양에서는 인간을 자연과의 조화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나아가 자연에서 이치를 깨닫는 사유를 하는 반면, 서양에서는 자연을 기독교적 인간중심으로 해석 하여 관찰하고 분석하여 재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동·서양 자연관의 차이는 역사적으로 풍경화의 전개·발전과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서양의 풍경화가 인상주의 단계로 들어서면서, 그리고 동양의 산수화가 남종 문인화로 들어서면 서, 점차 그 경계가 자아의 표현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 아래 제주의 특별한 장소인 곶과 자왈을 대상으로 제주 자연을 주제로 한 미술의 상징적 주제로 인식하게 되면서 다양하게 표현되 어지는 제주 풍경의 의미와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제주 자연을 재발견하고 원시적 순수 성과, 자연과 공존하는 인간의 삶의 흔적을 아우른 진정한 제주의 풍경화로 인식하여 표현하였다. 그러므로 제주의 자연은 사실주의적 관점이라도 단순히 모방으로서의 재현된 풍경이 아닌, 의미와 해석을 가미한 특별하게 만드는 예술 행위로서 실경산수적 의미로서의 풍경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자연을 통한 동·서양 풍경화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면서 풍경 화를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고, 제주의 독특한 자연의 장소인 곶과 자왈이라는 공간의 가치를 재해석 할 수 있었다. 또한 곶과 자왈의 풍경을 통해 향후 제주 자연을 폭넓고 새롭게 나아가는 창의적인 계기로 삼고자 한다.
The nature that has existed for a long time has been constantly coexisting with human beings, and is always present as a subject of reverence at the same time as the beginning of human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not only maintains human life, but also stimulates human aesthetic sense and becomes the source of artistic creation. In other words, nature has been the source of art activitie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our lives for a long time, even considering the various aspects of life and human inspiration. As the age changed, people's perception of Jeju nature changed. The nature of ancient Jeju has been recognized as wasteland or barren land based on the stones produced by lava. Today, Jeju's nature is an ecological resource. As the emotional stability and preservation value of Jeju are increasing, the wellness, healing, locality, It is expanding into various perspectives. Jeju, which is formed by volcanic activity, has various na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 Among them, Got and Jawal are important places for Jeju's history, culture and Jeju people's life. Today, this Gotjawal is rich in artistic material, and the landscape elements found in Got and Jawal are important symbolic places understanding Jeju nature and have an important artistic significance. These various scenes of Jeju have been expressed in various Jeju scenery as well as arts with the theme of nature unique to volcanic is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Jeju Got and Jawal, to interpret the landscape of Jeju and to try artistic paradigm to increase the value of Jeju nature. Therefore, although both worlds have a different view of na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nature in East and West paintings, both East and West have formed the history of landscape painting according to their own cultural view. First of all, in the Orient, human beings are recognized as objects of harmony with nature, and furthermore, they realize reason in nature. In the West, however, the emphasis is on interpreting, observing, analyzing and reproducing nature in a humanistic way. The differences of the East and West views of nature have historically affect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s. As Western landscape paintings have entered the stage of Impressionism, and Oriental landscape painting has entered into Namhong Artifacts, And that it is expanding. Based on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Jeju landscape which is expressed variously as recognizing Gotjawal, a special place of Jeju, as a symbolic theme of Jeju nature. Therefore, we rediscovered Jeju nature through this research and expressed it as a genuine landscape of Jeju with primitive purity and traces of life coexisting with nature. The nature of Jeju expressed in this way is not only a reproduced landscape as a mimic, but also a realistic viewpoint. This study provided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andscape paintings through nature and reinterpreted the value of the space called Gotjawal which is a unique natural place of Jeju. In addition, based on the Gotjawal landscape, we intend to make Jeju Nature a creative opportunity to move in a wide and diverse new direction in the future.
Author(s)
김산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007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손일삼
Table Of Contents
i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동서양 풍경회화의 이해 3
1. 동양의 산수화 4
2. 서양의 풍경화 17
Ⅲ. 제주의 곶과 자왈의 경관적 요소 25
1. 제주의 자연 25
2. 곶과 자왈 29
3. 곶과 자왈에 나타난 경관적 요소 34
Ⅳ. 본인 작품에 대한 분석 42
1. 작품의 내용 43
2. 작품의 형식 46
Ⅴ. 결론 57
참고문헌 59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산. (2019). 제주의 곶과 자왈을 형상화한 풍경화 연구 -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