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공공미술의 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s for Public Art - Focused on Public Artworks of Jeju Island
Abstract
공공미술은 공원, 광장 또는 공개된 장소에 설치하는 대중들을 위한 미술을 말한다. 여기에서 공공미술이란 공개된 장소에 설치·전시되는 작품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정된 장소에서의 설치미술이나 장소 자체를 위한 디자인 등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공공미술은 또한 장소에 결합하는 예술이라는 의미를 갖기도 하며 최근에는 기념 조형물의 형태를 뒤집어놓거나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공공미술의 개념에 개입시킴으로서 공공미술이 공공 영역에 개입하는 경우도 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대다수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되거나 추진 중에 있는 공공미술 역시도 이러한 공공미술의 특징을 살려 지역에 맞춘 관광산업의 개발, 지역 정체성을 확보하는 지역 이미지 제고 등의 목적을 가지고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공미술은 다양한 사회현상을 대변하고 그 재료의 활용적 측면에 있어서는 새로운 유형의 공공미술을 요구받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해당 작품과 기존 작품의 소재나 특징 등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기에 이르렀음은 부정할수 없는 사실이다. 때문에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공공미술 작품을 유지, 관리 하는 수준의 현행 유지관리 방식은 그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으며 이는 공공미술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적지 않은 공공미술 작품들이 도시나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양적인 결과에만 치우쳐 설치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시각적인 공해를 유발하는 골칫덩어리로 전락해 버리거나 개성을 상실한 채 획일화된 유형으로 지역 정체성에 대한 변별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의 공공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공공미술 작품의 현황을 살펴보고 유지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공공미술 작품의 올바른 유지관리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진 공공미술 작품들은 도장 작업이 완료된 후 공공장소에 설치된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공공 장소에 설치된 작품인 경우에는 손상이 다수 발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크게 자연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 자연적 손상과 사람에 의해 발생 하는 인위적 손상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손상은 작품이 가졌던 원래의 형태와 색, 문양 등에 대한 적극적인 복원을 통해 유지관리가 가능하며 또한 자연환경에 잘 견디는 견고한 재료를 선택 하여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할 수 있도록 사전지식 습득 등 손상을 예방하는 측면에 주목하여 유지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공공미술 작품에 대한 관리 및 훼손 작품에 대한 사후관 리의 최선의 방법은 실무자의 역량 강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자체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공공미술의 현실은 그 전문성이 의심될 뿐만 아니라 담당자의 전문성이 형성되었다 할지라도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해 관리의 연계성이 잘 이루 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책임 부분에 있어서도 매우 모호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미술 작품에 대한 연속적인 유지, 관리를 위해서는 향후 각 지방자치단체에 공공미술 작품을 유지, 관리 하는 전담팀을 구성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Public art refers to art for the public installed in parks, squares and open spaces. Here, public art is normally referred to as works installed and exhibited in open spaces, and includes installation art in the defined place or design for the place itself. Moreover, public art also has the meaning of art combining with the place. Lately, public art gradually intervenes in the public area by involving the reversed form of commemorative sculpture and acute criticism in the concept of public art. We can understand that most of public art project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 or which are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are operated aiming to improve regional images by developing tourism industry and securing regional identity highlighting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However, this kind of public art now requires a new form of public art in terms of representation of diverse social phenomena and application of the materials. For this reason, it is undeniable that many differences occurred in materials and features of the corresponding works and the previous works. Therefore, the curr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s of public artworks applying the identical standards inevitably encountered the limitations and this is considered a factor menacing the existence of public art itself. In other words, since a considerable amount of public artworks fai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city or a region and they only focus on quantitative results, it is indisputable that they unfortunately transform into a sort of headache causing only visual pollution or become a factor debilitating discrimination of regional identity with their lost individuality and standardized type and appearance.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correc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public artworks by inquiring into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artworks and seek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s focused on public artworks of Jeju Island.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most of public artworks examined by this study were installed in the public spaces after painting work had been completed. For this reas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a great deal of damages were observed in the works installed in public spaces. The damage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natural damages impacted by the na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artificial deterioration affected by humans. It is considered that maintenance and manag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activ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color and design of the works. Moreover,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s by paying attention to aspects of preventing damages through preliminary knowledge acquirement to allow longer preservation based on solid materials resisting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effectiveness. Based on this, the best way for follow-up management regarding management of public artwork and damaged works can consist in reinforcement of competency of hands-on workers. Nonetheless, the reality of public art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lack professionalism, and the connectivity of management is not working properly due to frequent personnel transfers even with formed professionalism of people in charge. Moreover, ambiguity in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y is part of limitation in this aspect. Therefore, for continuous maintenance and management regarding public artworks for the future, it will be required to search for plans allowing professional and systematic management, maintenance and repair of public artworks by constituting a team assuming full charge of such artworks in each local government
Author(s)
김순훈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072
Alternative Author(s)
Kim, Soon H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강민석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i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내용과 방법 2
Ⅱ.이론적 배경 3
1. 공공미술의 개념 3
2. 우리나라 공공미술의 제도와 역사 9
3. 공공미술 작품의 손상원인과 유형 12
Ⅲ. 제주의 공공미술 26
1. 제주 공공미술 작품의 실례와 현황 26
2. 제주 공공미술 작품의 유지관리현황 28
3. 제주 공공미술 작품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2
Ⅳ. 결론 46
참고 문헌 49
5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순훈. (2019). 공공미술의 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