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aching Styl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행동적·인지적 참여와 학교생활적응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결과변인인 학교생활적응 요인과의 관계에서 체육교사의 코칭유형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9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남녀 325명이었으며, 대상자 표집방법은 비확률적 표집방식인 유목적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행동적 참여는 인지적 참여, 자율성지지 코칭유형, 학교생활적응 요인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규칙과 통제적 코칭유형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참여는 행동적 참여와 자율성지지 코칭유형,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통제적 코칭유형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은 통제적 코칭유형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나머지 변인들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제적 코칭유형은 학교생활적응 요인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수업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 요인들은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통제적 코칭유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통제적 코칭유형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을 경유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여덟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통제적 코칭유형을 경유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cognitive participation on school sports club and school life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aching sty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325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2019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sample was extracted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which is a non-probabilistic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4 items of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6 items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20 items of school life adjustment, 8 items of autonomy support coaching style, and 8 items of controlled coaching sty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using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utonomy support coaching style. Third,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controlled coaching style. Fourth, autonomy support coaching styl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life adjustment. Fifth, the controlled coaching style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Sixth,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showe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through autonomy support coaching style. Seventh, mediating effects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through controlled coaching style were not significant.
Author(s)
박지혜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162
Alternative Author(s)
Park, Ji Hy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양명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가설 5
4. 용어의 정의 6
1)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6
2) 학교생활적응 6
3) 코칭유형 7

Ⅱ. 이론적 배경 8
1. 학교스포츠클럽 8
1) 학교스포츠클럽의 추진배경 9
2) 학교스포츠클럽의 개념과 목적 10
3)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기능 12
2. 학교생활적응 14
1) 학교생활의 개념 14
2) 적응의 개념 14
3) 학교생활적응의 개념 15
4) 학교생활적응의 하위 요인 15
3. 코칭 17
1) 코칭의 개념 17
2) 코칭과 티칭의 차이점 19
3) 자율성지지 코칭 유형 20
4) 통제적 코칭 유형 21
4. 선행연구의 고찰 21
1)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학교생활적응 21
2) 지각된 체육교사의 코칭유형과 학교생활적응 23
Ⅲ. 연구 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측정도구 26
1)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27
2) 학교생활적응 27
3) 자율성지지 코칭 29
4) 통제적 코칭 30
3. 연구절차 31
4. 자료 분석 및 처리 31

Ⅳ. 연구 결과 32
1.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32
2. 측정모형 분석 33
3. 가설 검증 34
1) 구조모형 검증 34
2) 간접효과 검증(Sobel Test) 37


Ⅴ. 논 의 38

Ⅵ. 결 론 42

참고 문헌 43

53

5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지혜. (2019).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ines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