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신상털기' 관련 언론 보도의 선정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사회적으로 비난받아 마땅하거나 법적으로 처벌받을 만한 일을 하였다고는 하지만 그러한 이유만으로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SNS를 통해 공유하고 더 나아가 가공․편집하여 사실을 왜곡하여 선의의 피해자를 만들고 정상적인 사회생활까지도 불가능하게 하는 등 그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언론 역시 이러한 사건들을 보도하면서 사실 확인도 없이 보도를 하고 있어 사회적 책임에 바탕을 둔 공정한 보도보다는 흥미와 자극성에 중점을 둔 선정적인 보도를 선호하는 것처럼 보인다.
특정 신상털기 사건이 발생하면 언론은 흥미 위주의 선정적 보도를 쏟아내곤 한다. 실제로 언론사 간 속보 경쟁, 혹은 자극적 기사 작성 경쟁이 보다 심화 되는 문제점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업적 이유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새롭고 자극적인 내용을 추가하게 되고 이러한 경쟁은 빠르게 퍼져나가게 된다. 이런 신상털기 보도로 인한 피해자와 그 가족 또는 주변 사람, 또는 전혀 새로운 제3자들에 대한 사생활 침해와 명예훼손 등 선의의 피해자들이 생길 수 있다. 외국에서도 유사 사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매우 한국적인 현상으로서 신상털기 사건을 언론이 어떻게 보도하는지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4개의 국내 대표 일간지가 2005년부터 2019년 6월 말까지 보도한 신상털기 사건 관련 보도의 특성이 언론사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언론사별 신상털기 관련 보도는 선정성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신상털기의 선정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각종 언론의 윤리 규범들을 참고하여 내용적 차원의 선정성을 4개의 하위 개념들을 통해 정리하였고, 각 하위 개념별로 3~4개의 세부적인 선정적 보도 항목을 두어 총 14개의 항목으로 선정적 신상털기의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신상털기 내용과 선정성 정도를 이러한 방식으로 기록하였다.
그 결과 언론 4사는 모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기사가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보도유형 역시 신상털기 보도주제와 마찬가지로 언론 4사 모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가장 두드러진 보도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어 신상털기의 가장 큰 문제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꼽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상털기' 보도는 선정적 측면에서 가장 선정성이 높게 나온 항목은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보다는 오히려 신상털기 사건에 대한 분노, 피해자의 오열 등을 그대로 보도하는 항목이 가장 높았다.
신상털기의 특성상 대부분 언론사의 기사들은 신상털기를 부정적인 측면에서 보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론사별 신상털기 사건에 대한 차이점과 다른 논조를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다만, 분석 대상이 되었던 언론사 모두 신상털기의 원인으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보도하고 있고, 신상털기로 인한 피해자 및 가족, 제3자들에 대한 사생활 침해와 명예훼손의 심각성을 부각시켜 보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그동안 단순한 사회현상으로 이해해 온 신상털기 사건 보도를 내용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는 점,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언론의 선정적 보도행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된 점, 선정적 신상털기 보도의 한 원인으로서 신상털기의 내용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Although it is said that doxing is a work that is suitable to receive the criticism socially and a work that is worthy of receiving a punishment legally, by sharing the fact that had not been confirmed with such a reason only through an SNS and, furthermore, by distorting the fact by processing and editing it, the situation is that in which the damages have been serious, including making the well-intentioned victims, making even the normal, social life, too, impossible, and the others of the like. Regarding the media, too, while reporting on such incidents, reporting without the confirmation of the facts looks like the media prefer the sensational reports that emphasize on the interest and the stimulation rather than the fair reporting that is based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When a specific doxing incident takes place, the media, sometimes, pour out the sensational reports that are centered on the interests. Actually, the problem of the deepening of the breaking news competition and the stimulating article writing competition between the press agencies has been raised continuously. And, during this process, because of the commercial reason, the new and stimulating contents for attracting the interest of the consumers get added, and such competitions get around to spreading out quickly. There can occur the victims due to such reports on the doxing and the well-intentioned victims, including the invasions of the private lives, the libels, etc. regarding their families or the surrounding people or the third parties who are absolutely new. Although it is not a fact that there are no similar case examples in the foreign countries, too, there is a need to try analyzing the cause regarding whether the media report the doxing incidents as the very Korean phenomena basically. For this, this research had taken a look at what difference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ports that were related to the doxing incidents that had been reported from 2005 until the end of June 2019 by 4 representative, general dailies in Korea had been shown by press agency. And it had taken a look at what differences the reports related to the doxing by press agency had in terms of the sensationalism aspe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tent of the sensationalism of the doxing, by referring to the codes of ethics of the various media, the sensationalism on the content dimension had been organized through 4 lower-ranking concepts. And, by having 3 to 4 detailed sensational reporting items by each lower-ranking concept, with a total of 14 items, the standard for the sensational doxing had been prepared. And the doxing details and the sensationalism extents had been recorded through such a method. As a result, regarding the 4 press agencies, all of the articles that adjusted the focus on the invasion of privacy captured a considerably high relative weight. And, regarding the type of the report, too, because, in the same way as the topic of report of doxing, in relation to all of the 4 press agencies, because the worry about the invasion of privacy had been appearing as the most prominent type of reporting, it was able to confirm that, as the biggest problem of doxing, the worry about the invasion of privacy had been pointed out. Regarding the doxing reporting, in relation to the item of which the sensationalism came out to be the highest with regard to the sensationalism aspect, rather than the worry regarding the privacy of the individual, instead, the item of the reporting of the anger, the sobbing of the victim, etc. regarding a doxing incident just the way they were had been the highest. It appeared that, a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doxing, mostly, the articles by the press agencies report regarding the negative aspect of doxing. And it had been difficult to discover a tone that was different from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doxing incidents by press agency. Except, it appeared that all of the press agencies that had been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had been reporting on the worry of the invasion of the privacy as the cause of the doxing. And it appeared that they had been reporting by carving in relief the seriousness of the invasion of privacy and the libel regarding the victims, the families, and the third parties due to the doxing.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it had taken a look at the reporting on the doxing incidents that had been understood as the simple, social phenomena until now on the content level, the point that it became possible to observe the sensationalistic reporting behavior of the media by carrying out a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this, and the point that it had taken a look at the details of the doxing as a cause of the sensationalistic reporting of the doxing.
Author(s)
강인권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279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언론홍보학과
Advisor
김경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목적 2

Ⅱ. 선행연구의 검토 5
1. 신상털기 5
1) 신상털기의 개념 5
2) 신상털기의 실태와 원인 6
2. 신상털기 뉴스 사례와 특징 15
3. 보도의 선정성 17
1) 선정주의의 정의 17
2) 언론보도의 선정성 20
4. 신상털기 관련 언론보도의 선정성 23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9
1. 연구문제 29
2. 연구방법 30
1) 분석대상 및 기간 30
2) 자료수집 및 분석 31
3) 신상털기 보도특성 32
4) 신상털기 행위요소 34
5) 신상털기 관련 언론의 선정적 요소 35
6) 분석유목 37
7) 코더간 신뢰도 38

Ⅳ. 연구결과 40
1. 신상털기 관련 언론사별 언론보도 특성 40
1) 기사 유형 40
2) 신상털기 보도주제 42
3) 신상털기 보도유형 43
4) 신상털기 보도태도 46
2. 신상털기 관련 언론보도의 선정성 정도 47
1) 신상털기 행위요소 47
2) 언론사별 신상털기 선정성 행태 49
3) 언론사별 선정성 정도 52
4) 언론의 전반적 선정성 행태 56

Ⅴ. 요약 및 결론 58
1. 연구결과 요약 58
2. 연구 의의 및 한계 60

참고문헌 63
부록 1 - 기사 코딩 72
부록 2 - 신상털기 선정성 항목별 기사 예시 74
부록 3 - 신상털기 보도 사건 77
부록 4 - 연예인 관련 신상털기 사건 78
Abstract 7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인권. (2020). '신상털기' 관련 언론 보도의 선정성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