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수원국 내 공간 분포 특성 한국의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at Regional Level amongst the Recipient Korean ODA Partner Countries
Abstract
세계는 나날이 발전해가고 있지만, 여전히 부의 양극화 문제는 전 세계적 관심사 이며 이의 해결을 위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모두가 잘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원 조자금을 투입하고 있으나 그 결과는 미지수이다. 국제개발협력 사업들은 공여국의 외교적∙정치적∙경제적 등의 목적에 의해 사용되어지며 수원국 내 어느 지역에서 하 는지는 관심을 받아오지 못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제개발협력 사업들의 공간 분 포를 분석함으로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가 공간적으로 어떠한 패턴을 보이는지 연 구하는 것은 개발지리학에서의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공간 분포 분석을 위해 한국의 중점협력국 24개국을 대상을 선정했으며, 자료는 국 제원조투명성기구에서 제공하는 국제개발협력 사업들의 위치정보를 활용했다. 위치 자료를 기반으로 행정 구역 별 프로젝트 실시 수준과 인구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전체 사업, 분야별, 경제 수준별, 양자∙다자협력으로 나누어 인구와의 관계를 단순회귀분석한 결과 주요한 3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국제개발협 력 사업은 분야별로 공간 분포에 작은 차이를 보였는데, 보건 분야의 사업들이 공 간적으로 가장 균등하게 분포했으며, 농업과 교육 순으로 지역 배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다른 분야들에 비해 보건분야가 우선적으로 배분이 잘 이루 어진 결과로 추정된다. 두 번째로 경제 수준별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중저협력국 에서 국제개발협력 사업이 공간분배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농업분야의 경우는 최빈국에서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며, 이는 국가의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농업 종사자 비율이 높음의 결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양자, 다자협력 간의 차이를 본 결과 양자협력의 회귀계수가 다자협력의 값보다 높게 나왔으나, R2값이 낮게 나와 회귀식을 수용하기 어려웠다. 다자협력은 인구와의 단순회귀분석에서 회귀계수 값 과 R2값이 적정하게 나타나 양자협력에 비해 다자협력이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자협력은 수도나 특정도시에 집중하는 반면 다자협 력은 전 지역에 골고루 분포함의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서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공간분포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개발도상국의 빈곤,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공간 적 인식의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다.
The world is developing continuously in remarkable ways, i.e., economic, political, and environmental relations, and these change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global wealth polarization. The current issues in global wealth polarization have been addressed in numerous ways with the aids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Even though the well-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contributed to uplift the developing countries with well-off community, the outcome of those implications are still uncertain. The international develop- ment cooperation projects such as development assistance, technical assistance, international aid, overseas ai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r foreign aid are financial aids given by governments and other agencies of donor countries to support the economic, environmental, social, and political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or recipient countries. Although those projects are anticipated the diplomatic, political, and economic achievements in both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the anticipated progresses in recipient countries have been not received comprehensive courtesy. In this context, the 'Development Geography' has been taken a pivotal role in the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o find out their spatial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in varying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categorized under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mainly focusing 24 recipient Korean ODA partner at regional leve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Aid Transparency Initiative'. Based on the location data, the level of project execution achieved by the administrative region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s was analyzed. In here, we presented three major results based on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nd population under the several categories, i.e., overall projects, sectors, economic levels,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At first,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showed a small difference in spatial distribution by sector and confirmed the most even distribution of the projects in the health sector, while there was a local distribution in the sectors of agriculture and education. Furthemore, this knowledge revealed that the priority distribution of ODA is given to the health sector compared to the other sectors in the selected recipient countries. At second, by concerning the economic level, we observed a well distribution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mong the lower middle income countries. A spatial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sector was recognized in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with the consequences of a lower economic level in the country and higher proportion of agricultural workers. At last, a higher regression coefficient was resulted for the bilateral cooperation compared to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however, owing to the lower R 2 value the regression formula was not acceptable. According to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population with appropriate regression coefficient and R 2 values, an even distribution was observed in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over the bilateral cooperation. Further, it revealed a uniform distribution of multilateral cooperation across the entire region, while the bilateral cooperation mostly involved in the capital or the certain cities. Consequently, an insightful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such as official develop- ment assistance (ODA) will greatly expand the spatial awareness to reduce the poverty and spatial ine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Author(s)
이정호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280
Alternative Author(s)
Lee, Jung H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Advisor
권상철
Table Of Contents
1.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4
2. 국제개발협력의 개념과 접근 방법 5
1)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5
(1) 국제개발협력의 흐름 5
(2) 공여국 그리고 수원국 8
2) 국제개발협력의 실제와 공간적 접근 15
(1) 국제개발협력의 실제 15
(2) 국제개발협력의 공간적 접근 17
3) 연구 자료 및 방법 26
(1) 활용 자료 26
(2) 연구 방법 28
3.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공간적 검토 30
1) 연구 대상 국가 개관 30
2)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군집성 분석 32
3)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수도 집중도 비교 37
(1) 전체 사업 대상 수도 집중도 비교 37
(2) 분야별(농업, 교육, 보건) 수도 집중도 비교 40
(3) 양자, 다자협력 간 수도 집중도 비교 43
4)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지역별 분포 및 인구 대비 적합성 분석 46
(1) 전체 사업 대상 적합성 분석 46
(2) 사업 분야별 적합성 비교 50
(3) 경제 수준별 적합성 비교 54
(4) 양자, 다자협력 간 비교 61
5) 분석결과 요약 68
4. 요약 및 결론 71
참고문헌 73
부록 1. 통계자료 활용년도 78
부록 2. 지역별 국제개발협력 사업 관측자료 79
Abstract 10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정호. (2020).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수원국 내 공간 분포 특성 한국의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