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Cultural Stress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on the Family Health : Focusing on the Self-Esteem
Abstract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결혼이주여성이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 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시와 서귀포시 소재 다문 화가족지원센터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 한국어로 된 설문지를 180부 배포하여 16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 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가족건강성에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 남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족건강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에서 정적 상관관계로 자아존중 감이 높으면 가족 건강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
- ii
감은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문화적응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문화적대감, 문화차별감은 자아존중감과 가족건 강성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을 매개 로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응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문화고립감은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가족건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문화적응스트레스 하위요인중 문화이질감, 조국향수은 자아존중감에는 부적으 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건강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알아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자아존중감은 완전 매개로 나타남으로서, 사회 환경 요건에만 편승하지 않고, 개인적인 측면의 자아존중감을 높임으로써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가족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것을 본 연구에서 규명하였다. 사회적 부정적인 요인인 편견과 차별을 문화 동화로의 정책 즉, 한국 문화 습 득과 한국식 자녀 양육, 한국역사의식 함양, 한국어 유창성 강요 등의 방법이 아 닌 각 문화권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환경과 인식이 결혼이주여성 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향이라 여겨진다. 또한, 결혼이민자·귀화자가 지난 1년간 한국생활에서 직면한 어려움으로 경제 적 어려움 다음으로 지적된 외로움은 문화적응스트레스 하위요인인 고립감과 가 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완전 매개로 나타남으로 그 영향을 유의미하 게 여겨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을 더욱 활성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들 고유 의 장점을 활용한 사회공헌적인 봉사활동 등으로 자아존중감 함양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2012년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이후 외국출신 부모의 모어에 대한 다문화가족 자 녀의 긍정적 태도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녀 양육에서 모국어 사용에 대한 격려는 자녀 언어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부모와 자녀 간의 의 사소통과 정서적 유대감 강화로 인해 가족건강성에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iii
다문화가족 자녀가 가정 내에서 영유아기부터 자연스럽게 이중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으로 자녀의 정체성 확립 및 글로벌 인재로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 고, 모국어로의 소통은 결혼이주여성이 양육자로서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중 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각 문화권에 따라 상이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수준에 대해 분석이나, 다양한 문화 교류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함양 방안 등을 연구함으로 급변하는 사 회에서 다문화가정의 건강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상담과 프로그램 방 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on family health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family health outcomes. To this end, 180 copies of questionnaires in Chinese, Vietnamese, English, and Korean were distributed to marriage-immigrant women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Jeju and Seogwipo-si, and 166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was shown to be negatively related to family health, so the higher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e lower the family health. Second, self-esteem of marriage migrant wome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health, and high self-esteem increased family health. Third, self-esteem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family health of marriage migrant women. Among the sub-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hostility and discrimination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family health. The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n self-esteem mediating family health was partially mediated. In addition, isolation among cultural adaptation stress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family health, and the results of self-esteem mediated family health showed complete medi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cultural heterogeneity and motherland fragrance showed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but i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caus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health. Self-esteem is a complete mediator of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family health of married migrant women.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ultural negative stress can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n family health by increasing self-esteem of individual aspects, not just riding on social environment requirements. The stress of socially negative factors such a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cannot be reduced through policies such as acquiring Korean culture, raising Korean children, nurturing Korean history, and cultural assimilation such as strengthening Korean fluency. The environment and perception of the freely expressing and conveying culture is regarded as a way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reduce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 addition, the difficulties faced by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over the past year have been pointed out as the loneliness after economic difficulties. In this study, self-esteem was found to be a complet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olation and family health, a subcomponent of cultural stress. Therefore, self-help gatherings for marriage migrant women should be further promoted, and self-esteem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social contribution volunteering activities utilizing their unique strengths. Since the 2012 Multicultural Family Survey, the positive attitud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foreign mothers have decreased. Encouragement of the use of the mother tongue in child rear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and is an important factor in family health due to increased communication and emotional ti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can establish their children's identity and grow into global talents in an environment where children can communicate bilingually naturally from early childhood. Communicating in your native language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married immigrant women as a parent. This research suggests effective counseling and program direction to improve the health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by analyzing the self-esteem level of different marriage immigrant women according to different cultures or studying ways to foster self-esteem through various cultural exchanges
Author(s)
염희정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289
Alternative Author(s)
Yeom, Hee J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ⅰ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3
3. 연구 모형 4
4.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7
1. 결혼이주여성의 개념과 현황 7
2.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개념 10
3. 자아존중감의 개념과 특성 14
4.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16
5. 문화적응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과의 관계 17
Ⅲ. 연구방법 21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1
2. 측정도구 21
3. 자료처리 24
Ⅳ. 연구 분석 결과 26
1. 연구대상자의 특성 26
2. 주요 변인간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 27
3.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29
1) 문화적대감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31
2) 문화차별감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33
3) 문화고립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35
4) 문화이질감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37
5) 조국향수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38
Ⅴ. 논의 및 제언 39
1. 연구결과 요약 39
2. 논의 및 제언 40
3. 연구의 한계 43
참고문헌 44
Abstract 49
부록 설문지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염희정. (2020).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