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특수학급 설치 학교의 건축 및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제주시 내 중학교를 중심으로 -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최근 교육부가 집계한 특수교육 연차 보고서에 따르면 특수교육대상자는 2018년 90,780명에서 2019년 92,958명으로 증가하였다. 특수교육대상자는 특수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혹은 일반학교에 배치된다. 일반학교에 배치되는 학생은 2012년 이후 매년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배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특수학급은 2018년 10,676학급에서 2019년 11,105학급으로 증가하였다(교육부, 2019). 제주시교육지원청에서는 1985년 제주동중학교, 세화중학교에 특수학급 설치를 시작으로, 2018년 노형중학교와 제주대학교사범대학교 사범대학부설중학교에 특수학급을 1학급씩 증설하였고, 2019년 오름중학교에 특수학급을 신설하여 현재 16개의 중학교에 20학급을 운영 중이다. 이처럼 제주시의 특수교육에 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특수교육 시행을 위한 학교건축 및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주시교육지원청에서 운영하는 중학교 중 특수학급이 설치된 학교 16곳 중 조사를 허락한 13개의 학교의 교육시설환경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건축 및 공간적 특성, 장애학생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분석한 후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학급의 교육의 질을 높이고,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간구성 계획을 위한 개선 방향 및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개의 학교의 공간구성을 분석한 결과 교사 진입방식에 의한 공간적 특성에서 교사 측면 진입방식은 4개교, 운동장 진입방식은 5개교, 교사 직접 진입방식은 4개교로 운동장 진입방식이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까지의 등하교 거리는 정문 외의 출입구로 진입 시 달라질 수 있으나, 운동장 진입방식이 가장 긴 거리였다. 따라서 진입 거리를 줄이는 측면에서 가급적 교사직접진입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동장 진입방식은 보차분리를 명확히하여 등하교 동선의 안전성 확보가 요구된다.
둘째, 블록구성 유형에 따른 학교 배치형태는 ㅡ자형 5개교, ㄱ자형 3개교, ㄷ자형 2개교, 병렬형 1개교, finger형 3개교로 ㅡ자형 블록구성 유형의 학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ㅡ자형 블록구성 유형은 모두 1970년대 이전에 지어진 오래된 건물로서 추후 별관을 신축하여 병렬형 혹은 ㄱ자형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이때 본관과 별관의 단차가 없게 설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렇지 못하면 반드시 경사로를 설치하여 장애학생의 별관 이동동선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특수학급이 1층에 설치된 학교는 11개교이고, 3층에 설치된 학교는 2개교로 조사되었다. 특수학급이 1층이 아닌 층에 배치되었을 때 가장 많이 이용하게 되는 편의시설은 엘리베이터이다. 따라서 특수학급을 엘리베이터와 인접한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최선의 방안은 특수학급을 1층에 배치하여 엘리베이터 이용률을 줄이는 것이 더 나은 공간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넷째, 급식실이 교사 내부에 설치된 학교는 3개교이며, 별관으로 분리된 학교는 10개교이다. 교사 내부에 설치된 급식실이 설치된 학교의 경우 2개교는 1층에 설치된 반면, 1개교는 지하에 설치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이용이 필수이다. 점심시간은 가장 많은 학생과 교사들이 급식실로 이동하는 시간이므로 엘리베이터 사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고장 혹은 수리 시 이동에 큰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급식실은 1층에 설치하면 더 나은 식사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별관에 급식실이 설치된 10개교 중 경사로 혹은 캐노피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학교는 5개교로, 더 나은 이동동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편한 이동동선을 택해야 하며, 외부 이동 시 날씨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출입구로부터 급식실 이동동선에 캐노피를 설치하여 날씨의 영향을 줄이거나, 주출입구를 제외한 측면 출입구에도 경사로를 보강하여 장애학생의 이동동선을 확보해주어야 한다.
다섯째, 운동장 진입방식은 등하교거리 직선거리가 최대 215m로 나타났고 특수학급 위치에 따라 특수학급에서 엘리베이터까지의 거리는 최대 57m로 나타났다. 이어서 특수학급에서 엘리베이터까지의 거리는 장애인용 화장실까지의 거리에 영향을 주어 그 거리가 최대 105m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학급 배치 시 여러 편의시설에 관한 접근성 고려가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교사진입방식은 운동장 진입 방식이 가장 많았고, 블록구성 유형에 따른 학교 배치형태는 ㅡ자형이 많이 나타났다. 운동장 진입방식은 학교로의 진입 과정이 아동들의 적극적인 행동을 유발하여 공간의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특성이 있는 형태이나 등하교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편의성과 접근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운동장 진입 이외의 진입로를 계획하여 접근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배치형태의 ㅡ자형은 현재 커다란 문제가 없지만 추후 신축, 개축될 가능성이 크므로, 이때 학교 내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특수학급 위치는 1층에 배치된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실은 한번 배치되면 옮기기 힘들므로 첫 위치 선정 시 엘리베이터와 장애인용 화장실 등 여러 편의시설의 위치를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제주시내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학교의 공간구성 계획의 방향 제시를 위해 추진된 이 연구는 조사를 수락한 13개교의 물리적 공간 환경을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하였으나 지역별 특성에 따른 공간구성 가이드를 제시를 위해서는 많은 자료의 축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특수교육대상자의 대다수 이상이 정신장애 학생으로 이루어져 있어 학생과의 면담이나 설문지 조사 등에 한계가 있어 이것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uthor(s)
양정근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291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가정교육
Advisor
김봉애
Table Of Contents
표 목 차 ⅲ
그림목차 Ⅴ
국문초록 Ⅵ

Ⅰ. 서론 1
1.1. 연구배경 1
1.2. 연구목적 2
1.3. 연구방법 2
1.4. 연구흐름도 5
1.5. 연구모형 6

Ⅱ. 이론적 배경 7
2.1. 장애의 이해 7
2.1.1. 장애인의 개념 7
2.1.2. 장애인의 분류 7
2.2. 특수교육의 이해 10
2.2.1. 특수교육의 개념 10
2.2.2. 특수학급의 개념 11
2.2.3. 특수학급에 관한 법적 근거 12
2.3. 특수학교에 관한 선행연구 13
2.4. 학교건축의 특징 및 변화 15
2.5. 학교 공간구성의 특징 17
2.6. 학교건축의 공간구성 18
2.7. 학교건축과 특수학급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20
Ⅲ. 특수학급 설치학교의 건축 및 공간적 특성 분석 23
3.1. 제주시 내 특수학급의 일반적 사항 23
3.1.1. 학교 및 학생현황 23
3.1.2. 연구대상 학교의 편의시설 현황 26
3.2. 연구대상 학교의 건축적 특성 28
3.2.1. A중학교 28
3.2.2. B중학교 30
3.2.3. C중학교 32
3.2.4. D중학교 34
3.2.5. E중학교 36
3.2.6. F중학교 38
3.2.8. H중학교 42
3.2.10. J중학교 45
3.2.11. K중학교 47
3.2.12. L중학교 48
3.2.13. M중학교 50
3.3. 연구대상 학교의 공간적 특성 51
3.3.1. 교사 진입방식에 의한 공간적 특성 51
3.3.2. 블록구성 유형에 따른 학교 배치형태 52
3.4. 학교별 공간구성에 따른 이동동선 거리 54

Ⅳ. 조사 결과 및 제언 55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정근. (2020). 특수학급 설치 학교의 건축 및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제주시 내 중학교를 중심으로 -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Home Economic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