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몽골의 지방자치단체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Local Governments in Mongolia
Abstract
세계 여러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국가에서는 지방분권을 통하여 지방정부의 대민서비스 강화, 지역사회 문제를 지역주민 스스로 해결, 주민의 참정권 및 자치권 강화 등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성과 민주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곧 지방정부의 성공이 국가의 성공으로 연계하고 있음을 뜻하기도 한다.
몽골은 1992년 新민주헌법을 발효하여 의회와 내각의 권력을 대폭 강화하는 의원내각제성격을 강화하는 민주공화제를 주창하고, 기관통합형의 기관이다. 이를 통하여 지방행정의 권한을 확대하여 지방자치 조직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나라에서 운영하고 있는 지방자치제도와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어 상호 보완된 제도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의 지방자치는 오랜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풀뿌리 지방자치 시대를 부활시킨 1992년 지방의회구성,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제주특별자치도는 중앙정부에서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여 특별법에 의해 운영되는 지방정부이다.
몽골의 의원내각제의 기관통합형의 기관 구성과 한국의 대통령중심제의 기관분립형(강시장-의회형) 기관구성의 통치의 차이점은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의 최고의 목표인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달성하기 위한 제도적 마련을 위한 정책들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구역 구성, 행정관리운영제도, 선거제도, 집행기관과 의결기관의 견제와 균형, 하부행정기관의 정당참여 등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를 더욱 보완발전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참정권, 청원권, 주민투표권, 주민소환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주민권리 보장과 중앙정부의 권한 지방이양을 통한 지방정부 권한과 기능강화, 읍면동(바구, 호로)의 자치민주주의 실현, 주민참여예산제도, 의결과 집행기관의 견제와 균형 유지를 통하여 지방정부의 분권화의 지방정부 운영과 또한 지방정부의 광역화 시범운영으로 행정계층의 단일화, 광역행정, 자치경찰제운영, 지역의 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투자이민제도, 투자진흥지구제도 등을 정책적으로 도입하여 몽골 지방정부 발전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democratic countries around the world, decentralization strengthens civil service. It solves community problems on their own, emphasis is placed on the efficiency and democracy of local governments, including the suffrage and suffrage of residents. This also means that the success of local government is linked to the success of the state. Mongolia is an institution of an integrated organization, enacting the New Democratic Constitution in 1992 and advocating a democratic reinforcement for the parliamentary system that greatly strengthens the powers of parliament and cabinet. Through this, the authority of local administration is expanded to strengthen local governments.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differences from local autonomous systems operated in othe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each other. Korea's local autonomy was formed in 1992 by reviving the era of grassroots autonomy through a long democratization process. It has a history of electing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since 1995. Especiall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a local government operated under special law by granting high autonom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Mongolian parliamentary system an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Korean Presidential-centered system (gang mayor-parliamentary), the life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highest goal of the local government, policies for institutional arrangements to achieve quality improvement are simila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of loc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management operation system, election system, checks and balances between executive and voting bodies, and political party participation of sub-administrative organs.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is, the right of citizens, the right to petition, the right to vote, and the summoning system are implemented to guarantee the rights of the residents and the author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through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regional governments through the operation of decentralized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checks and balances of enforce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to unify administrative classes, wide area administration,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local tourism industry. In order to develop Mongolia, local governments should be introduced with an investment immigration system and investment promotion district system.
Author(s)
게렐체체그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317
Alternative Author(s)
Zorigtbaatar Gereltsetse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양덕순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범위 2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흐름 3
1. 연구의 방법 3
2. 연구의 흐름 3

제2장 지방자치단체에 권한 이론적 고찰 5
제1절 지방자치제도 5
1. 지방자치 5
2. 단체자치와 주민자치 8
  3.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와 종류 9
4.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11
제2절 지방자치단체 기관구성 14
1. 기관구성의 의의와 형태 14
2. 기관통합형의 기관 구성 16
3. 기관분립형의 기관 구성 18
제3절 지방의회 21
1. 지방의회 본질 21
2. 지방의회의 조직과 기능 25
3. 지방의회의 운영 28

제3장 몽골의 지방자치단체 현황 및 문제점 분석 34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법적 지위 34
  1. 1992년 헌법의 주요 내용 35
2. 2006년 개정된 헌법 4장의 주요 내용 36
3. 지방자치단체(의회)의 법적 권리 37
제2절 지방자치단체 현황 분석 39
1. 지방자치단체장 선임 및 의원선출 41
2. 지방자치단체 조직과 사무 47
3. 지방자치단체 예산 57
4. 지방자치단체 및 도지사 관계 61
제3절 몽골 지방자치단체의 문제점 64
  1. 선거 65
2. 조직 및 사무 65
3. 예산 67
  4. 도지사 및 의회 관계 68
제4절 소결 69

제4장 몽골의 지방자치단체 발전방안 75
제1절 바람직한 지방자치단체 발전의 모형 75
제2절 지방자치단체 발전방안 77

제5장 결 론 81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81
1. 연구의 요약 81
2. 정책적 시사점 83
제2절 한계 및 과제 84

[ 참고문헌 ] 86
[ ABSTRACT ] 89

[ 감사의 글 ] 9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게렐체체그. (2020). 몽골의 지방자치단체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