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년의 조부모를 통한 돌봄 경험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Grandparents' Caregiving Experiences among young adults on Attitudes toward the older adults : Focus on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grandparent
Abstract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른 세대 간 갈 등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한편 여성의 사회 진출과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로 자녀 돌봄 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자녀 돌봄 공백의 대안으로 조부모를 통한 손자녀 돌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조부모를 통한 손 자녀 돌봄은 손자녀가 노인과 직접 교류하고 접촉하는 기회를 갖게 하고, 이는 향 후 노인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 는 조부모를 통한 돌봄의 경험이 청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돌봄 경험 당시 조부모와 손자녀와의 관계에 따라 돌 봄 경험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제주와 부산 등 대도시에 거주 하는 20-39세의 청년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 지를 배부했으며, 결측 사례를 제외하여 총 363부를 분석하였다. 먼저 조부모를 통 한 돌봄 경험(돌봄 유무, 돌봄이 이루어진 최초 시기, 돌봄을 받은 기간,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의 질)과 청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의 전반적 경향을 탐색하고, 조부 모를 통한 돌봄 경험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부모를 통 한 돌봄 경험은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의 질(정서적 결속 및 갈등)에 따라 청년이 된 손자녀의 현재 노인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 경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는 조부모를 통한 돌봄 경험의 유무에 따라 노인에 대한 정책 지원 부분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였다. 조부모와를 통한 돌봄 경험이 있는 집단이 돌봄 경험이 없었던 집단보다 노인에 대한 국가의 정책지원을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조부모를 통한 돌봄을 경험한 손자녀의 경우에 노인세대를 지원하기 위한 국가 정책에 대한 필요를 더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돌봄이 이루어진 최 초 시기가 이를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의 수용성이 긍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돌봄을 받은 기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 타나지 않았다. 셋째, 돌봄 경험에 있어서 시기와 기간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 는 영향에서 관계의 질(정서적 결속 및 갈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는 데,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늦은 시기에 조부모를 통하여 돌봄을 받으면서 조부모와 갈등이 낮은 경우에는 조부모와 갈등이 높은 집단에 비하여 노 인에 대한 수용성이 높았다. 또한 돌봄을 받은 기간이 긴 집단에서 조부모와 손자 녀 간의 정서적 결속이 높은 경우가 정서적 결속이 낮은 집단보다 노인에 대한 태 도 중 수용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의 결과를 통한 논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손자녀가 조부모를 통 하여 돌봄을 받았는지의 유무, 돌봄이 이루어진 최초 시기와 돌봄을 받은 기간, 조 부모와 손자녀의 관계의 질 등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이미지, 수용성, 위협인식, 정책지원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관계의 질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상호작용 관계에는 돌봄 경험의 시기와 기간뿐만 아니라 조부모와 손자녀의 정서적 결속 및 갈등이 함께 작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조부모를 통한 손자녀 돌봄을 손자녀의 위치에서 살펴보았으며, 조부 모를 통하여 이루어진 돌봄 경험이 손자녀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 치는지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조부모를 통한 돌봄을 조부모와 손 자녀의 단순한 접촉을 넘어서 생애발달 관점에서의 돌봄이 이루어진 최초 시기와 돌봄을 받은 기간,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의 질(정서적 결속 및 갈등) 등 다양한 측면으로 돌봄 경험의 상호작용 관계를 분석함으로 조부모를 통한 손자녀 돌봄에 다양한 측면으로 접근하고, 청년 세대와 노인 세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
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손자녀뿐만 아니라 조부모와 부모 등을 통하여 세대 간의 관계 의 질을 심도 있게 다루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조부모를 통한 손자녀 돌봄이 어 떠한 맥락에서 이뤄진 것인지를 보다 구체적인 요인을 가지고 분석하는 연구가 의 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andparent caring experiences among young adults on attitudes toward the older adul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grand child on the association between grandparents' caregiving and attitude toward older adults. The study used a sample of 363 participants (136 males, 227 females) aged 20 to 3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group who experienced care from grandparents reported positive attitude toward older adults for the policy support. Second, those who experienced care from their grandparents earlier in their lif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lder adults for acceptabilit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relationship quality (emotional cohesion and confli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timing and duration of care and attitudes toward the older ad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and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older adults were influenced by whether they had experiences of care from grandparents, when they received care, and how long they received care, from their grandparents Emotional solidarity and conflict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were found to interact with timing of caregiv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aring experiences from various aspects and examines how to approach the care of grandchildren through grandparent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Future research will shed light on to examine the quality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grandparents and parents as well as grandchildren. It is necessary to be more specific about the context in which care takes place.
Author(s)
김현정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344
Alternative Author(s)
Kim, Hyeon J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활환경복지학과
Advisor
민주홍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6
3.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7
1. 이론적 배경 7
1) 접촉 이론 7
2) 조부모의 돌봄과 생애과정 관점 8
2. 선행연구 고찰 12
1) 조부모를 통한 손자녀 돌봄 12
2) 노인에 대한 태도 14
3) 조부모를 통한 손자녀 돌봄과 노인에 대한 태도 15
4) 통제 변인 18
Ⅲ. 연구방법 20
1. 자료 수집 절차 및 연구대상 20
2. 변수의 구성 22
1) 인구사회학적 변인 22
2) 돌봄 경험(돌봄 유무, 돌봄 시기, 돌봄 기간, 관계의 질) 22
3) 노인에 대한 태도 (이미지, 수용성, 위협인식, 정책지원) 23
3. 분석방법 25
Ⅳ. 연구결과 26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26
2. 조부모를 통한 돌봄 경험 27
3. 노인에 대한 태도 28
4. 돌봄 경험 유무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29
5. 돌봄 경험 시기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31
6. 돌봄 경험 기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35
Ⅴ. 논의 및 결론 40
참고문헌 44
부록 49
Abstract 5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현정. (2020). 청년의 조부모를 통한 돌봄 경험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