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인간 림프아세포에서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Dibutyl phthalate (DBP)의 돌연변이성 및 세포사멸 기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olecular Mechanisms of Mutagenesis and Apoptosis induced by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and Dibutyl phthalate (DBP) in Human Lymphoblastoid Cells.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 림프아성 TK6 세포에서 DEHP, DBP 및 이에 대한 대사산물 MEHP, 2-EHA 그리고 DBP의 돌연변이성 및 세포사멸 기전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TK6 세포에 DEHP, DBP는 집접법과 rat S9을 첨가한 대사활성법 으로 노출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사활성법은 hoese serum을 제외한 배지를 사용 하여 6시간 동안 노출시켰고, MEHP, 2-EHA 및 MBP 또한 hoese serum을 제 외한 배지에서 1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세포 생존율이 30 % 이상인 농도로 HP RT와 TK1 유전자에서 6-thioguanine와 trifluorothymidine 내성 돌연변이체 를 평가하였다. DEHP, DBP 및 이에 대한 대사산물은 세포 사망률, 돌연변이 빈 도 그리고 NO• 생성량이 농도 의존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상당한 효능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MEHP, 2-EHA 및 MBP의 세포 독성 및 돌연변이 빈도는 parents compound인 DEHP와 DBP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HP RT 및 TK1 유전자에서 DEHP, DBP 및 이에 대한 대사산물의 변이원성을 나타내고, 생체 내에서 영향을 끼치는 메카니즘 설명에 기여할 수 있다. MEHP는 DEHP의 대사물질로 독성에 대한 메카니즘이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TK6 세포에서 MEHP에 의해 apoptosis가 유도되는 동안에 NO•, ROS 및 IAP family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MEHP에 노출된 TK6 세포에서 강한 apoptosis가 유도되었다. MEHP는 NOS의 발현을 상향 조절하고, NO• 및 ROS 생성을 증가시키고, apoptosis 억제 신호 IAP를 약화시켜 apoptosis 과정을 촉진시킨다. 전체적으로, 이에 대한 결과는 MEHP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가 내 인성 NO•, ROS의 조절 및 IAP family 유전자 발현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This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mutagenesis and apoptosis of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dibutyl phthalate (DBP) and its metabolites mono (2-ethylhexyl) phthalate (MEHP), 2-ethylhexanoic acid (2-EHA) and monobutyl phthalate (MBP) in human lymphoblastoid TK6 cells. TK6 cells were exposed to either rat S9 activated DEHP, DBP for 6 h or MEHP, 2-EHA and MBP for 1 h in serum-free medium. Cell survival determined by trypan blue exclusion, and 6-thioguanine and trifluorothymidine-resistant mutants at the 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 HPRT ) and thymidine kinase ( TK1 ) genes were assessed with doses of which relative survival is 30 % or more. DEHP, DBP and its metabolites tested showed dose-dependent increases in cell killing and mutant fraction with increasi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but exhibited considerable variation in potency. MEHP, 2-EHA and MBP were considerably more cytotoxic and mutagenic than the corresponding parent compound DEHP and DBP. These findings indicate the mutagenicity of DEHP, DBP and its metabolite at the HPRT and TK1 loci and contribute to the elucidation of mechanisms through which DEHP, DBP and its metabolite may exert its effects in vivo. MEHP, one of the metabolites of DEHP. However, the detailed mechanisms of toxicity remain unclea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NO•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inhibitors of apoptosis (IAPs) during apoptosis induced by MEHP in TK6 cells. Here we show MEHP induced strong apoptotic response in TK6 cells. MEHP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NOS), elevated NO• and ROS production and weakening the anti-apoptotic signals IAPs thus facilitating the process of apoptosis. Coll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MEHP-induced apoptosis was related with modulation of endogenous NO• and ROS, and IAP family gene expression.
Author(s)
박은미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346
Alternative Author(s)
Park, Eun 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바이오소재공학과
Advisor
김민영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10
1. 세포배양 10
2. 실험재료 10
3. 시험물질 처리 조건 11
4. Ttypan blue exclusion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11
5. 돌연변이 빈도 측정 12
6. Griess assay에 의한 산화실소 (NO) 생성량 측정 12
7. 세포내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측정 13
8. Apoptosis 분석 13
9.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에 의한 mRNA 발현 분석 14
10. 통계분석 14
Ⅲ. 결 과
1. PART1. Phthalate를 TK6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돌연변이성 및 독성 기전 분석 15
1) DEHP, DBP와 대사물질 처리가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15
2) HP RT와 TK1 유전자 돌연변이 빈도 분석 17
3) DEHP, DBP와 대사물질에 의한 NO 생성량 측정 19
4) DEHP, DBP와 대사물질에 의한 ROS의 생성량 측정 21
2. PART2. MEHP에 노출된 TK6 세포에서 일어나는 세포사멸 기전 분석 23
1) MEHP 노출이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23
2) MEHP에 의한 NO 생성량 측정 25
3) MEHP를 처리한 TK6 세포에서의 NOS mRNA 발현 27
4) MEHP를 처리한 TK6 세포 내에서의 ROS의 생성량 측정 29
5) Annexin V-FITC와 PI 염색에 의한 TK6 세포에서의 apoptosis 분석 31
6) MEHP가 IAP family 발현에 미치는 영향 33
Ⅳ. 고 찰 35
Ⅴ. 참 고 문 헌 42
Ⅵ. 요 약 52
감 사 의 글 5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은미. (2020). 인간 림프아세포에서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Dibutyl phthalate (DBP)의 돌연변이성 및 세포사멸 기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io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