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ADHD 아동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및 교육적 중재 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nd Educational Mediation for ADHD Childre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 초등교사가 ADHD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지식을 가 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ADHD 아동에 관한 초등교사의 교육적 중재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DHD 아동이 누려야 할 권리 및 교육서비스와 관련된 교육정책의 함의를 제공하는데 목 적이 있다. 그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 변인별 ADHD에 대한 교 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 배경 변인별 ADHD 아동에 대한 교육적 중 재 활동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는 교육적 중재 활동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넷째, 초등교사의 ADHD 아동의 교육지도에 있어서 교육적 애로사항과 지원 요구는 무엇인가? 이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지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총 200부를 배포하고 186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으로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Ttest와 일원 변량 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 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알 수 있었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 경 변인에 따른 ADHD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성별, 연령, 경력, 지도 경험 별에 따른 ADHD에 대한 교사의 지식 및 이해 정도를 살펴보면 유의 수준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담임 학년별과 연수 참가 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 변인별 ADHD 아동 지도에 대한 교육적 중재 활동에서는 교사의 성별, 연령, 경력, 담임 학년별, 지도 경험 별, 연수 참가 여부에 따른 교육적 중재 활동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ADHD 인식에 따른 이해도와 교육적 중재 활동 관 계에서는 초등교사의 ADHD 인식과 교육적 중재 활동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 과 지식과 교육적 중재의 경우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초등교사의 ADHD 아동의 교육지도에 있어서 교육적 애로사항과 지원 요구 는 '수업 진행 방해'가 가장 높은 4.23점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급 친구들과의 잦은 다툼과 사고' 3.90점, '아동에 대한 부모의 이해 부족' 2.34점, '개별지도 곤란' 2.33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지원되어야 할 요구로는 '정확한 진단 및 상담교사 배치'의 경우가 가장 높은 4.26점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부모의 협조적 태도' 3.49점, ' 학급 인원 감축' 2.83점 순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교사의 ADHD 인식과 교육적 중재 활동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식과 교육적 중재 의 경우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있기에 현장의 교사들에게 ADHD 아동을 판별 하고 이해할 수 있는 특성 및 원인, 약물치료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게 하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ADHD 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ADHD 증상을 보이는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교육적 중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ADHD에 대한 충분한 관련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적 교수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하고 실질적인 ADHD 아동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교육적 중재 방안이 구 체적으로 구안되어 현장에 적용 되어져야 한다. ADHD 아동 지도 시 어려움과 지 원 요구는 ADHD 아동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상담과 정보를 공유하여 효율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will explor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and know about ADHD at the school site, and In addition, we will look at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gage in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ADH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of educational policies related to educational services and the rights that children with ADHD should enjo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ADHD by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what is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activity for ADHD childre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rd, how is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ADHD related to educational intervention? Fourth, what are the educational difficulties and support requirements for teaching ADH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b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2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2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Jeju, and 186 were collected and used as the data for this study.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WIN 24.0 program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 way Anova Scheffe verification was performed by post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 of ADH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significance level p <.05 by examining the teacher'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DHD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age, career, and teaching experience. Did not look.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rade level of the homeroom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activities for the guidance of ADHD children by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er's gender, age, career, grade level, instructional experience, and training participation. Could know.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73 - ADHD percept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activ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Fourth, the educational difficulties and support deman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ADHD children were 4.23 points with the highest 'interruption of class progress', followed by' frequent disputes and accidents with classmates' 3.90 points, ' Insufficient parental understanding of children 'was 2.34 points, and' difficulty of individual guidance 'was 2.33 points. In order to resolve the difficulties, the most accurate case for diagnosis and counselor placement was 4.26, followed by 'parent's cooperative attitude' 3.49 and 'class reduction' 2.83 It was recognized that in ord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DHD percept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activity,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so teachers in the field can identify and understand ADHD children.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and continuous ADHD training that will provide professional knowledge.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children with symptoms of ADHD early and to effectively conduct appropriate educational interventions, teachers should have sufficient knowledge of ADHD and research on various systematic educational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should be activated. In addition,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specifically designed and applied to the field so that various and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with ADHD can be effectively applied.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in teaching ADHD children should be arranged by a professional counselor to ensure effective education by sharing accurate diagnosis, counseling and information on ADHD children.
Author(s)
이명숙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384
Alternative Author(s)
Lee, Myung S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사회복지전공
Advisor
임애덕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5
제2장 ADHD에 관한 이론적 고찰 6
제1절 ADHD의 이해 6
1. ADHD 개념 6
2. ADHD의 원인 6
3. ADHD의 특성 8
4. ADHD의 진단 11
5. ADHD 아동에게 야기될 수 있는 문제들 14
제2절 ADHD 아동에 대한 인식 및 일반적인 중재 방법 15
1. ADHD 아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15
2. 행동 관리적 중재 방안 16
3. 수업 중 지도를 통한 중재 방안 17
제3절 선행연구 19
제3장 연구 설계 22
제1절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22
제2절 연구 도구 24
1. ADHD에 대한 인식수준 측정 도구 25
2. ADHD에 대한 교육적 중재 활동 측정 도구 26
3. ADHD에 대한 인식 및 교육적 중재 활동 측정 도구 신뢰도 분석 결과 26
제3절 자료 처리 28
제4장 연구 결과 29
제1절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ADHD 인식 차이 29
1. ADHD에 대한 지식과 이해 29
2. ADHD에 대한 지식과 이해 정답률 31
3.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ADHD 인식도 차이 32
제2절 교사 배경 변인별 교육적 중재 활동 41
제3절 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중재 활동 상관관계 47
제4절 교사의 애로사항 및 지원요구 53
제5장 결 론 56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56
1. 연구의 요약 56
2. 연구의 시사점 59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과제 60
[ 참고문헌 ] 61
[ 부 록 ] 설문지 66
[ Abstract ]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이명숙. (2020). ADHD 아동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및 교육적 중재 방안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