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현대미술 감상 지도 모형 개발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Model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 Focused on 3rd~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감상교육은 인간의 감성을 풍부하게 하며 미술 문화를 향유하고 새 로운 표현으로 창조하도록 돕는다. 뿐만 아니라 범람하는 시각 미디어 속에서 다양 한 문화를 받아들이고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2015 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이러한 미래 사회 변화에 대비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감상 교육 또한 시대의 흐름에 대비하여 학생들의 삶과 연결된 의미 있는 감상교 육, 감상자가 능동적으로 작품을 탐구하는 감상교육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 구는 현대미술을 활용한 감상 교육을 통해 이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현대미술 감상교육 지도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감상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 펴보았다. 감상교육은 감상자가 예술작품을 체험하며 얻는 내면의 심리적 작용과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 판단하는 인지적 작용을 포함하는 활동이다.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의 감상 영역은 이해와 비판의 핵심 개념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감상의 구 성 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한 결과 작품에 대한 생각과 느낌, 미적 요소의 관 찰과 분석, 미술가·미술사·작품의 배경, 감상태도, 소통과 공유로 공통 요소를 추출 할 수 있었다. 현대미술은 modern의 의미와 contemporary의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그 범 위가 매우 넓다. 본 연구에서는 어떤 한 양식이나 사조로 정의되지 않는, 다양한 유 형의 양식이 그 다원성을 인정받는 동시대미술(contemporary)의 의미로 현대미술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현대미술은 공통된 양식이나 특징으로 묶어 설명하기 어려우나 기존의 전통적 미술과 비교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징을 분류해볼 수 있 었다. 첫째, 아이디어와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둘째, 일상 속에서 쉽게 체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형식과 방법적인 측면에서 다양성을 추구하며 문화적인 측 면에서도 다원성을 인정한다는 점이다. 넷째, 장르와 영역의 구분이 모호해지며 해 체와 확장을 거듭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대미술의 특징은 기존의 감상교육 지도 와 다른 방법으로 지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현대미술 감상지도로 탐색-반응-평가와 판단-통합이 소통을 바탕으로 이 루어지는 모형과 수업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일방향의 형식적 절차를 따르기보다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도모형이며 초등학생의 특성 상 개인의 반응과 경험을 중 시하고 작품의 맥락적 배경을 알도록 하며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고 내면화한다. 다만, 현대미술 감상지도 모형이 실제 현장에서 한 차시의 개별 수업으로 이루어지 기보다 교사 나름의 재구성을 통한 연결된 수업이 더욱 의미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감상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기 위해 소통이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 현대미술 감상지도 모형에 따른 수업과 맞는 평가까지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대한다.
In modern society, appreciation education enrich human sensibility and helps to enjoy art culture and create it with new expressions. It should also help to accept and critically embrace diverse cultures amid the flood of visual media.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esented an emphasis on students' capabilities in preparation for these future social changes. Appreciation education also needs to be changed to meaningful appreciation education connected to students' lives in preparation for the trend of the times, and to appreciation education in which the viewer actively explores the work. This study judged that it could be realized through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modern art and looked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ppreciation education first in order to present a model of modern art appreciation education. Appreciation education is an activity that includes the inner psychological actions that the viewer obtains from experiencing works of art, and the cognitive actions that understand, analyze and judge works. The areas of appreci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divided into core concepts of understanding and criticism. The research of prior research into the components of appreciation enabled us to extract common elements by thinking and feeling about the work, observation and analysis of aesthetic elements, background of artists, art history and works, sensitivity, communication and sharing. Modern art has both the meaning of 'modern' and the meaning of 'conemporary', so its range is very wide. In this study, the scope of modern art was limited to the meaning of 'contemporary art', in which various types of forms, not defined by any one form or a dictionary, are recognized for their plurality. Modern art is difficult to explain by grouping into common forms or characteristics, but compared to traditional art, it was possible to classify four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contemporary art value ideas and processes. Second, you can easily experience it in everyday life. Third, it seeks diversity in form and method, and recognizes plurality in culture as well. Fourth, the distinction between genre and area is blurred and the division is repeated in disintegration and expansion. Thes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suggest that it should be guided in a different way from the existing appreciation education map. Thus, the exploration-response-evaluation and judgment-integration with the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map were presented as examples of models and classes based on communication. Rather than following the one-sided formal procedures, the model focuses on individual responses and experienc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elps them to know the contextual background of the work, and expands and internalizes into various areas. However, rather than a model of a modern art appreciation map consisting of a single class in real life, a connected class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eachers' own will be more meaningful. And communication is necessary to respect various opinions about appreciation. In addition, we hope that the modern art appreciation map will lead to an assessment that will fit the class according to the model.
Author(s)
김보화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389
Alternative Author(s)
Kim, Bo Hw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
Advisor
양경식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i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2.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2
Ⅱ. 감상교육의 이론적 배경 3
1. 감상의 정의 3
2. 감상교육의 내용적 고찰 4
3. 감상 발달 단계 13
Ⅲ. 감상 지도 모형에 대한 고찰 18
1. 감상 지도 모형 탐색 18
2. 감상 지도 모형 비교 29
Ⅳ. 현대미술 감상 모형 개발 32
1. 현대미술의 정의 32
2. 현대미술의 특징 34
3. 현대미술 감상지도 모형 44
Ⅴ. 결론 및 제언 53
참고 문헌 57
ABSTRACT 5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보화. (2020). 현대미술 감상 지도 모형 개발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Art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