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학습민첩성의 선행변인, 결과변인 및 조절변인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Learning Agility: Antecedents, Moderators and Results
Abstract
제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기술 발전은 경제와 사회 구조를 급격하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경영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 아울러, 국내에서 2018 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1주간에 12시간을 한도로 하는 연장 근로의 제한'이 라는 근로제도의 변화는 조직 내 근로자들의 일과 삶에 대한 기존의 틀과 가치 관의 변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기업은 생존을 위하여 환경 변화에 적응해야 하고 불확실한 경영환경을 헤쳐 나아갈 혁신적인 전략을 필요로 한다. 기업의 혁신 전 략은 기업 경영자의 몫이라 할 수 있지만, 고객 접점에서 기업의 전략에 맞춘 전 술의 실행은 조직 구성원들의 몫이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조직 내 구성 원들에게 요구되어지는 역량 중 하나는 경험 속에서 학습되는 지식, 기술, 새로 운 정보 등을 변화 환경에 맞춰 빠르고 적절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학습민첩성 이다. 학습민첩성은 '경험으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마음가짐과 능력이며, 새롭거 나 힘든 상황 또는 처음 접하는 상황에서 주어진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학습한 것을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De Meuse, Dai, Eichinger, Page, Clark, and Zewdie, 2011).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구성원들의 학습민첩성이 조직의 긍정적 성과에 영향 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민첩성의 개발에 대한 관점의 확장 을 위하여 학습민첩성의 선행요인을 추가로 탐색하고 실증하였다. 또한, 학습민 첩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인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우선, 조직 내 구성원들의 학습민첩성이 조직의 긍정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확인을 위하여
- viii
학습민첩성이 주관적경력성공, 잡크래프팅, 사회적네트워크자본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하였다. 이들 변수들은 조직의 긍정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다. 주관적경력성공은 개인이 자신의 경력 에 대한 주관적 성취기준을 갖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경력 달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경력성공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며(Breland et al., 2017), 잡크래프팅 은 과업의 조건이나 과업의 관계, 일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것으로(Wrzesniewski and Dutton, 2001), 구성원들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일에 대한 개선에 개입하는 적극적인 행동을 의미한다(Grant and Ashford, 2008; Slemp and Vella-Brodrick, 2013). 그리고 개인들이 필요로 하는 경력 혹은 직무상 효율적 이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사회적네트워크라 하며(Ibarra, 1992; 정순여·임효 창, 2019), 개인들이 맺고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나타나는 자본을 사회적네트워 크자본이라 한다(정명호·오홍석, 2007). 둘째, 학습민첩성의 선행변수로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일반적자기효능감으로 설정하였다. 프로티언경력지향성은 조직 내 구성원들이 경력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이다. 프로티언경 력지향성은 개인의 가치에 근거하여 자기 주도적이며 자율적인 선택을 반영하는 경력에 대한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으로(Briscoe and Hall, 2006), 현대 조직에 서 구성원들이 갖는 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하는 변수이다. 그리고 일반 적자기효능감은 대표적인 동기적 특성변수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학습민첩성 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하였다. 셋째, 이들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간 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민첩성과 성 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특성과 리더특성의 조절역할에 대하여 가설하였고, 이를 실증하였다. 상황적 요인변수로는 조직구성원들이 그들 동료의 실적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조직으로부터의 보상을 인식하는 정도인 심리적경쟁분위기와 상 사가 구성원들에게 직무에 필요한 학습 강화를 목적으로 구성원들을 지원해 주 는 상황인 학습몰입리더십에 대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A형과 B형으로 구성하 였다. A형에는 선행요인인 프로티언경력지향성과 일반적자기효능감, 매개변인인 학습민첩성 그리고 결과변인인 주관적경력성공, 잡크래프팅 그리고 사회적네트워 크자본을 측정하였다. B형에는 조절변인인 심리적경쟁분위기와 학습몰입리더십
- ix
을 조사하였다. 설문대상으로는 제주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조직 구성원으로 설정 하였으며, 총 484명 242쌍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 석 등을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민첩성은 결과변수들인 주 관적경력성공, 잡크래프팅, 사회적네트워크자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선행요인으로 설정한 프로티언경력지향성과 일반적자기 효능감은 학습민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실증되었다. 셋째, 프 로티언경력지향성과 결과변수 세 개 모두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은 매개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자기효능감과 잡크래프팅, 일반적자기효능감 과 사회적네트워크자본 간의 관계에서도 학습민첩성은 매개효과를 갖고 있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일반적자기효능감과 주관적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학 습민첩성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민첩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경쟁분위기는 학습민첩성과 주관적경력성공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나, 학습민첩성과 잡크래프팅, 학습민첩성과 사회적네트워크자본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학습몰입리더십은 학습 민첩성과 주관적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기각되었으나, 학습민첩성과 잡크래프팅, 학습민첩성과 사회적네트워크자본 간의 관계에서는 조절 효과가 있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제안되지 않았던 학습민첩성의 선행요인과 성과요 인을 추가로 확장하였다. 그리고 학습민첩성의 발현 과정에 대한 상황적 요인들 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학습민첩성과 관 련한 변수들을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지 않았던 변수들로 확장하고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일괄하여 종합적 모형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가 갖는 한 계에 대하여 정리하였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Author(s)
김군홍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408
Alternative Author(s)
Kim, Kun H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김정훈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7
3. 논문의 구성 8
Ⅱ. 학습민첩성의 이론적 고찰 11
1. 학습민첩성의 개념 11
1) 학습민첩성의 정의 11
2) 학습민첩성 개념의 쟁점 18
3) 학습민첩성의 유사 개념들 23
2. 선행연구 28
1) 측정도구에 관한 연구들 28
2) 학습민첩성 모델에 관한 연구 40
3) 학습민첩성의 실증연구들 45
3. 학습민첩성의 선행변수, 결과변수, 조절변수 탐구 54
1) 프로티언경력지향성 54
2) 일반적자기효능감 58
3) 주관적경력성공 61
4) 잡크래프팅 63
5) 사회적네 트워크자본 65
6) 심리적경쟁분위기 67
7) 학습몰입리더십 69
Ⅲ. 연구모형 및 가설 71
1. 연구모형 71
2. 연구 가설 72
1) 학습민첩성과 성과변수 간의 관계 72
2) 선행변수와 학습민첩성 간의 관계 74
3)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76
4) 학습민첩성과 성과변수 간의 조절효과 81
Ⅳ. 연구 방법 84
1. 조사대상 및 범위 84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85
1) 학습민첩성 86
2) 프로티언경력지향성 86
3) 일반적자기효능감 86
4) 주관적경력성공 87
5) 잡크래프팅 87
6) 사회적네트워크자본 88
7) 심리적경쟁분위기 88
8) 학습몰입리더십 88
Ⅴ. 실증 분석 90
1. 인구 통계적 분석 90
2. 타당성과 신뢰성 및 상관관계 분석 91
1) 타당성 분석 92
2) 신뢰성 및 상관관계 분석 97
3. 연구 가설의 검증 99
1) 학습민첩성과 성과 간의 관계 검증 99
2) 선행변수와 학습민첩성 간의 관계 검증 103
3)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검증 106
4) 학습민첩성과 성과 간의 조절효과 검증 115
Ⅵ. 결 론 128
1. 연구결과 및 논의 128
2. 이론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132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35
참고문헌 137
153
158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군홍. (2020). 학습민첩성의 선행변인, 결과변인 및 조절변인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usiness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