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doption System in Korea
Abstract
우리나라는 한국전쟁에서 발생된 전쟁고아를 해외로 입양하는 중에 1961년 '고 아입양특례법'을 제정하여 해외입양을 촉진시키면서 국제사회에서 고아수출국이 라는 지탄을 받기도 하였고, 민간단체가 해외입양을 전담하게 되면서 국가의 통 제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입양절차나 입양 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국내입양의 경우에도 친부모나 입양기관과 양부모 되려는 자 사이에 입양 의사의 합치만으로 입양신고가 가능했기 때문에 법원의 심사 등 국가의 개입여 지가 거의 없었고 결과적으로 양자의 복리를 보호하는데 매우 불충분하였다. 그 러다가 2005년 개정민법상의 친양자제도 도입과 2011년 입양특례법의 개정으로 미성년 아동의 입양에 가정법원의 허가를 요건으로 하는 등 국가적 개입을 제도 적으로 마련하였고 양자제도의 궁극적인 목적을 양자의 복리에 두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입양제도는 그 절차 등에 있어서 여전히 많은 문 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세계 각국은 1989년의 'UN아동권리협약'과 1993년의 '헤이그국제아동입 양협약'(이하 '헤이그입양협약'이라고 한다) 등의 영향으로 '입양아동의 복지실현' 을 중심으로 하는 입양제도의 변화를 모색해 왔다. 헤이그입양협약은, "①국제입 양에 있어서 아동 최우선의 원칙과 아동 기본권의 관점에서 보호장치 마련, ②이 러한 보호 장치의 준수와 아동의 유괴, 매매 등의 예방을 위한 체약국 간 협력제 도 마련, ③협약에 따른 입양에 대한 체약국의 승인 보장" 등을 주요 목표로 하 고, 이를 위하여 각 국가는 아동이 출신국의 보호를 받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 되, 원칙적으로 원가정에서 보호하고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 자국 내에서 보호할 수 있는 가정을 찾고, 이것도 불가능할 경우에만 국제입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 5월에 헤이그입양협약에 서명하면서 가입의지를 밝혔지만 입양특례법 등 입양 관련 법제를 협약과 조화되는 수준으로 정비하지 못해서 아 직까지 동 협약을 비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헤이그입양협약을 비준함으로써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추기 위해서도 입양관련법의 개정 또는 제정 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 ii
이 논문은 우리의 현행 입양제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특히 '헤이그입양협 약'의 비준과 관련하여 우리 입양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바, 이 논문은 제1장 연구의 목적, 그리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개관, 제3장 입양제도에 관한 독일, 프랑스, 미국, 중국 등 주요국가의 입법례, 헤이그입양협약의 주요내용, 제4 장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문제점, 제5장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개선방안, 제6장 결 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하여 국내입양제도와 국외입양 제도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는 바, 우선 국내입양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하여 다음 과 같이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입양기관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①양부모 될 자에 대한 조사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아동권리보장원과 함 께, 또는 아동권리보장원이 전담하도록 해야 하며, ②가사소송규칙 및 입양특례 법, 동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예비 양부모 교육의 주체를 가정법원과 입양기 관에서 '전문입양기관'으로 변경하여 통일하고 교육시간을 늘리며 교육내용과 방 법을 통일하여야 하고, ③입양업무실무자의 자격기준을 상향조정하고 이들에 대 한 교육훈련을 강화하며, 아동권리보장원이 이들 교육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둘 째, 입양전제 가정위탁과 관련하여, 가정위탁에 대한 결정은 입양기관에 맡기지 말고 보건복지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법원에 의한 심사를 통하여 결정하 여야 한다. 셋째, 법원심사제도와 관련하여, ①입양허가를 위한 법원심사 시, '양 부모의 범죄경력 회신서' 제출을 의무화해야 하고, ②입양될 아동의 의견표명권 에 관하여 가사소송법 제45조의9 및 입양특례법의 시행에 관한 대법원규칙 제3 조는 양자될 자가 13세 이상의 경우에만 의견청취를 규정하고 있는 바, 13세 미 만의 아동에게도 의견을 청취할 수 있도록 개정해야 한다. 넷째, 입양조사관제도 의 개선과 관련하여, 가정법원의 전문조사관을 증원하고 입양업무 경험이 많은 자를 입양조사관으로 임명하여 전문화된 조사를 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입양 후 서비스의 개선과 관련하여, ①미혼모 등 친부모에 대한 양육비 지원 확대, 육 아용품 및 보육 서비스 지원 확대 등을 통하여 친부모가 양육할 수 있는 환경을 최대한 조성해야 하며, ②입양된 장애아동을 위한 양육보조금의 지원을 확대해야 하고, ③입양특례법상 사후관리의 전담기관을 아동권리보장원으로 지정하여 입양
후 충실한 가정조사를 통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양부모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야 하며, ④가족 찾기 서비스는 가족력을 통한 유전병의 치료 등 의 료적 측면은 물론 개인의 정체성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입양기관의 입양기록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함으로써 입양가족의 신뢰도를 제고하고 입양가족의 권익을 보호해야 한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국외입양제도의 개선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방 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입양법제의 개선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국제입양 관 련 법규 중에서 국제사회의 규범과 조화되지 않는 부분을 개정해야 하며, 또한, '유엔권리아동협약' 제21조의 국제입양과 관련한 당사국의 의무조항을 이행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입양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 둘째, '헤이그입양협약'과 다르 게 일반아동과 요보호아동에 따라 입양절차나 입양요건의 차이를 구분하고 있는 현행 입양관련법을 개정하여 입양요건을 일원화해야 한다. 셋째, 입양기준으로서 의 국적과 상거소를 통일해야 한다. 넷째, 중앙당국을 지정하여 정부주도의 입양 을 제도화해야 한다. 입양제도의 개선과 관련하여 헤이그입양협약의 대원칙과 같이 아동의 복리실 현은'원가정 보호'에서 비롯된다는 인식의 전환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국내입양이나 국제입양을 원하는 아동의 친부모는 대부분 경제적으로 아이를 키 울 수 없는 미혼모라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국가나 사회는 미혼모에 대한 경제 적․사회적 지원을 최대한 확대하여 가능한 한 친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
Korea has the history of supporting the overseas adoption of orphans from the Korean War and especially, it enacted the Special Orphan Adoption Act in 1961 to promote the overseas adoption and became criticized as an orphan export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so, since private institutes were solely in charge of the overseas adoption and the nation had almost no control, the adoption process and post-adoption care were not properly managed. Also, even in the case of local adoption, it was possible to report the adoption even with the consent between birth parents and an adoption institute or wish-to-adopt parents, there was little form the nation's intervention, such as court examination and consequently, there were no sufficient protection measures for adopted children. The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ro-parent system under the revised Civil Law in 2005 and the amendment of the Special Adoption Act in 2011, it has become possible to allow the nation to intervene with adoption and now the approval of the Family Court is required for the adoption of minor - 186 - children. Nevertheless, the adoption system of Korea still has various issues, regarding its procedure and others. Meanwhile,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sought changes in the adoption system focusing on the realization of welfare for adopted childr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n 1989 and the Hague International Child Adoption Convention in 199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Hague Adoption Convention). The Hague Adoption Convention states, "The provision of safeguards from the viewpoint of children's first principles and basic rights of children in international adoption, ②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s between Contracting States to comply with these safeguards and to prevent kidnapping and sale of children, and ③ Guaranteeing approval by the Contracting States for adoption under this policy, "and for this purpose, each State shall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ensure that the child is protected by the country of origin. In principle, the child shall be protected at its home and, if this is not possible, it shall find a local family to seek protection. Then, adoption is only possible if this is not possible. Korea signed the Hague Adoption Convention in May 2013 and expressed its willingness to join, but has not yet ratified the agreement because it has not re-organized its adoption-related laws to the equivalent level of the Hague Adoption Convention. Therefore,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Korea is required to amend or enact is adoption-related laws by ratifying the Hague Adoption Convention.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current issues of the adoption system of Korea under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adoption system of Korea and suggesting ways to enhance these issues,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the ratification of the Hague Adoption Convention. Chapter 1 addresse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is for the overview of the adoption system of Korea. Chapter 3 is to discuss the legislation of major nations such as Germany, France, USA, and China for the adoption system and major contents of the Hague Adoption Convention. Chapter 4 is to reveal the issues of the adoption system of Korea. Chapter 5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the adoption system of Korea and Chapter 6 is conclusion. In this paper,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adoption system of Korea is suggested to each of two different systems: domestic adoption system and overseas adoption system, and the following are the five suggestions to enhance the domestic adoption system of Korea. First,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adoption agencies, ① the investigation on future-adoptive parents shall be made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with the child rights security officer, or solely by the child rights security officer, ② the main parties to be in charge of the future-adoptive parent education, stated in the Family Litigation Rules and the Special Adoption Act and its enforcement rules, shall be changed from the family court and adoption institutions to 'specialized adoption institutions' and the education time shall be extended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education shall be unified, and ③ the qualification for adoption officers shall be strengthened as well as the training for adoption officers, and the child rights security agency shall be in charge of such training. Second, in relation to the family consignment for adoption, the decision on the family consignment shall be made with examination by the head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local government, or the court, not by the adoption agency. Third, in relation to the court screening system, ① it shall be mandatory to submit the 'adoptive parents' criminal history' for the court screening for adoption consent, and ② regarding the right to voice the opinion of children to be adopted, Article 45-9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and Article 3 of the Supreme Court Rules on the Enforcement of the Special Adoption Act state that hearing is only required only if the person to be adopted is 13 years or older, so they shall be revised so the person under 13 years old can voice its opinion regarding adoption. Fourth, with regard to the improvement of the adoption investigator system, it shall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no. of professional investigations of the Family Court and people with extensive adoption experiences shall be appointed as adoption investigator to have a specialized investigation. Fifth,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of post-adoption services, ①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birthparents with the proper environment for them to raise their own children through the expansion of supports fort the birthparents, including single mothers, including financial aids, childcare goods, and childcare services, ②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childcare supports for adopt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③ a dedicated agency for the post-care management shall be designated as the Children's Rights Commissioner under the Special Adoption Act to provide continuous monitoring, adoptive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and ④ family search service can affect not only the medical aspect of adopted children, but also their identities, so that adoption records of adoption agencies shall be kept in the fair and transparent manner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adoptive families and protect their rights. Next, this study makes four suggestions to enhance the overseas adoption system of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arts of adoption laws of Korea, which has failed to comply with the norm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Also, to fulfill the obligations and duties of state parties stated in Article 21 of the UN Child Rights Convention, Korea has to revise its adoption laws. Second, to comply with the Hague Adoption Convention, Korea has to revise its adoption laws, which distinguishes the adoption procedure and requirements between general children and children in protection, to unify such procedure and requirements. Third, the nationality and the habitual residence as adoption criterion should be unified. Fourth, the central authority should be designated to institutionalize the adoption by the government.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adoption system of Korea, it is critical to change the public awareness that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welfare is upon the protection of home', as is the principle of the Hague Adoption Conven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most of birthparents willing to give up their children for domestic or international adoption are single mothers who cannot raise their children due to financial issues, the nation or society should maximize the economic and social supports for single mothers so they would be given with the environment in which birthparents can raise their own children.
Author(s)
최용길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409
Alternative Author(s)
Choi, Yong Gi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법학과
Advisor
김상찬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제2장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개관 6
제1절 입양관련법의 변천 6
1. 민법제정 이전의 입양법 6
2. 제정민법과 1961년 고아입양특례법 7
3. 1976년 입양특례법 9
4. 1995년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 9
5. 2005년 민법상 친양자제도 10
6. 2011년 입양특례법 12
제2절 현행 입양제도의 주요내용 12
1. 입양절차 13
2. 양부모 관련규정 15
3. 양자 관련규정 18
4. 감독기관 27
5. 입양기관 38
제3장 주요국가의 입법례 및 국제규약 48
제1절 독일 48
1. 배경 및 현황 48
2. 국내입양 51
3. 국외입양 57
4. 아동청 58
제2절 프랑스 60
1. 배경 및 현황 60
2. 국내입양 61
3. 국외입양 64
제3절 미국 70
1. 배경 및 현황 70
2. 통일입양법 72
3. 캘리포니아주78 제4절 중국 80
1. 배경 및 현황 80
2. 국내입양 82
3. 국외입양 84 제5절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 86
1. 서설 86
2. 적용범위 88
3. 입양요건 88
4. 중앙당국과 인가단체 90
5. 절차적 요건 92
6. 입양의 승인과 효과 95
7. 금지규정 및 절차적 규정 98
제6절 분석 및 시사점 101
1. 분석 101
2. 시사점 104
제4장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문제점 106
제1절 국내입양제도의 문제점 107
1. 국내입양기관 관련 107
2. 입양전제 가정위탁 관련 113
3. 법원심사 관련 119
4. 입양조사관제도 123
5. 입양 후 서비스 125
제2절 국외입양의 문제점 132
1. 입양법제 132
2. 일반아동과 요보호아동의 이원화 133
3. 입양기준으로서의 국적과 상거소의 문제 134
제5장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개선방안 136
제1절 국내입양제도의 개선방안 136
1. 국내입양기관 관련 136
2. 입양전제 가정위탁 관련 147
3. 법원심사제도의 개선 153
4. 입양조사관제도의 개선 156
5. 입양 후 서비스의 개선 157
제2절 국외입양제도의 개선방안 166
1. 입양법제의 개선 166
2. 일반아동과 요보호아동의 입양요건 일원화 168
3. 입양기준으로서의 국적과 상거소의 통일 170
4. 중앙당국의 지정 171
제6장 결 론 175
참 고 문 헌 178
ABSTRACT 18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최용길. (2020).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Law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