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교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s of:Focusing on High Schools on Jeju Island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시행하는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의 실태를 알아보고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파악한 후 효과 적인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교에서 시행하는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교 학생들은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학교의 학생들과 그렇 지 않은 학생들 간에는 어떤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교에서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개선점 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제주도 내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316명과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과 독립 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는 내용 분석법을 따라 질적으로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제주도 내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시행 비율은 93%로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영어 교과 평가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내외로 읽기, 듣기와 같은 다른 언어 기능보다 비율상 더 낮다는 것을 볼 수 있 었다.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에 대해 학생들은 수행평가 시행과 피드백에 높은 관심 을 보였으며 영어 수업에 꼭 필요하다고 답변하여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도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관심분야를 파악할 수 있고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어서 영 어 말하기 수행평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어 말하 기 수행평가 유형과 소재, 평가 기준에 있어서는 학생들이 특별히 선호하는 결과 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2019년에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시행 여부 에 따라 실시 집단과 미실시 집단으로 학생들을 나누었을 때, 결과는 다르게 나 타났다. 실시 집단이 미실시 집단보다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관심도와 중요성 인 식 면에서는 높게 나타난 반면 역할극이나 토의․토론과 같은 특정한 수행평가 유형에서는 미실시 집단이 실시 집단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밝혀 졌다. 또한 학생들과 교사들 모두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가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그들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된 수행평가 시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는 대입으로 인한 현실적인 어려움이 주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가적인 교육제도 개편,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앱 및 AI 챗봇 활용, 교사들의 행정 지원을 위한 더 많은 행정 실무사 채용, 교사 연수 시스템 활성화와 같은 개선 방안들을 마련함으로써 학생들과 교사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가 시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s in high schools on Jeju island, as well as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ose who did not.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rovements for effective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in High school? Second, what are students' thoughts and perceptions about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Third, what are the improvements for effective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data from 316 High school students and 4 teachers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Based on the data,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and processed statistically with a SPSS 20.0 program.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eir opinions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93% of High schools on Jeju Island conducted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in 2019. However, actual evaluation percentage for each grade was either just 10 percent or below, which proves that speaking assessment percentage is very low compared to other functions of language(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Students showed high interest in conducting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its feedback, generally turned out that they perceived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very positive. Students were favored of certain types, topics and evaluation standards. However, when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ose who did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ere found. It was found that those who did assessment had higher positive perception for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than those who did not do assessment. In contrast, students who did not do assessment had higher favor of role play and discussion types than those who did. The result also showed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understood importance and usefulness of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but their opinions were not considered in actual implementation of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This was believed to be an outcome of current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University entrance test. The findings suggest that ideal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can be conducted when the government implements nation-wide education system adjustment, provides more adminstration support for teachers, adopts newevaluation tools like mobile phone app or AI chatbots and finally organizes more regular teacher trainings.
Author(s)
안의룡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522
Alternative Author(s)
安義龍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종훈
Table Of Contents
국 문 초 록 i
목 차 iii
표 목 차v
그 림 목 차 vii
I.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2 연구 문제 4
1.3 구성 4
II. 이론적 배경 5
2.1 수행평가의 특징 5
2.2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의 유형 8
2.3 교육현장에서 수행평가 과정 11
2.4 선행 연구 15
III. 연구 방법 20
3.1 참여자 20
3.2 연구 도구 21
3.3 자료 수집 절차 22
3.4 자료 분석 방법 2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3
4.1 고등학교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실태 23
4.1.1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일반 현황 25
4.1.2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학년별 유형 27
4.1.3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비율 29
4.2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33
4.2.1 수행평가에 대한 고등학생의 전반적 인식 33
4.2.2 수행평가에 대한 집단 간 인식 비교 53
4.3 고등학교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의 개선 방안 64
4.3.1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의 견해 분석 64
4.3.2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의 견해 분석 69
4.3.3 효과적인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시행 방안 75
V. 결론 87
5.1 요약 87
5.2 교육적 시사점 90
5.3 연구의 제한점 91
5.4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92
참고문헌 93
ABSTRACT 98
부록 10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안의룡. (2020). 고등학교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