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포가티(R. Forgaty)의 교육과정 통합모형을 적용한 국악수업지도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eaching Method of Koran Traditional Music applied by the Model of R. Fogarty's Integrated Curriculum: Us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l Music Textbook
Abstract
코다이(Zoltán Kodály,1882-1967)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기 나라의 언어를 갖고 있듯이 음악도 모국의 고유한 음악이 있으므로 자기 나라의 음악부터 잘 알아야 한 다고 했다. 그리하여 그는 음악 수업을 실시할 때에 민속음악을 학습 자료로 주로 활용하였다. 민족의 음악은 보이지 않지만, 그 나라의 문화와 정체성을 분명하게 나 타내는 무형의 문화유산으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악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공동체적 사고가 깃들어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므 로, 국악을 향유하고 계승하도록 교육하는 것은 음악을 통해 민족적 정서의 공유와 세대 간의 문화적 소통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두드러진다. 특히 국악은 단순히 음악적 요소뿐만 아니라 문학적, 미술적 요소 등 구체적인 요소들이 모두 담겨있다. 더 나아가 사상, 문화 등 정신적인 요소까지 담겨있기 때 문에 분절된 시각으로는 국악을 제대로 이해하고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어 렵다. 따라서 국악을 음악 교과에 국한시키지 않고 다양한 교과와의 통합적 교수· 학습방법을 통해 학습하는 것이 국악을 폭 넓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국악을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다. 통합교육은 20세기 초 미국에서 진보주의 운동이 활발히 전개됨에 따라 학생들의 흥미와 특성 등을 중시한 교육과정 통합이 중요한 논제로 다뤄지면서 지금까지 사 용되어 왔다. 한편 우리나라에서의 통합교육과정은 1981년, 제 4차 교육과정부터 초 등학교 수업시간을 묶어서 지도함으로써 시작되었는데, 그것이 후에 중등 교육과정 에 적용되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9종 교과서들을 살 펴보면 아직까지도 분절적인 시각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따라서 필자는 기존의 교과중심에서 탈피하고 학생들의 흥미, 특성, 문제 중심 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21세기 정보화 시대 속에서 전인적 인간상을 기르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다각적인 사고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포가티(R. Forgaty)의 교육과정 통합모형을 적용하여 고등학교 음악 교 과 중 국악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개발한다. 포가티는 교육과정 통합 유형을 '단 일 교과 내의 통합 유형'과 '여러 교과간의 통합 유형', '학습자 간의 통합유 형'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 놓았다. 그 중 '단일 교과 내의 통합' 본 논문 과 상당부분 거리가 있기 때문에 제외하고, 여러 교과간의 통합유형 중 '거미줄 형'과 학습자 간의 통합유형 중 '몰입형'을 선택하여 교과 이외에 , , , , 등 다양한 교과 영역 간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포가티의 통합모형 중 '거미줄형'과 '몰입형'의 통합 방 법을 제시하였다. 그 후에 각 통합모형으로 다루기에 적합한 국악영역의 주제를 정 하였고, 통합모형의 방법을 따라 타 교과와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각 수업은 2차시 로 구성하였고, 학습목표를 설정할 때에는 각 교과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에 준하여 어느 한 교과에 치우치지 않도록 설정하였다. 먼저,'거미줄 형'은 교과 속에 '별달거리'장단을 학습하기 위하여 '자연환경과 인간생 활'이라는 대주제를 가지고 , , 와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한편, '몰입형'통합수업은 음악에서'대취타'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 기 위하여 , , , 교과를 통합하였다. 이번 통합적 국악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음악교육의 일환으로서 국악교육이 더욱 체계화되고,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높여 한국인으로 서의 올바른 정체성과 자아개념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Kodai said that every person must know the unique music of their own country first as countries have their own music, just like language. He mainly used folk music as a learning material when giving music lessons. Although the ethnic music is invisible, it is because of its valuable worth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clearly shows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country. In this context, Gugak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that contains our ethnic identity and 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generations. In particular, Gugak includes not only musical elements but also concrete elements such as literature and artistic elements. In addition, since it also includes spiritual elements such as thoughts and cultu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correctly and maintain interests in Gugak in a segmented perspective. Therefore, not limiting Gugak to the music subject but learned by using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various subjects is affective in being widely understood and further developed. Integrative education has been us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the progressive movement was active in the United States, taking into account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that emphasizes student interests and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South Korea started in 1981 by adjusting elementary school classes to the 4th curriculum, which was later applied to the secondary curriculum and continues to this day. However, looking at the nine kinds of textbooks currently used, education is still being conducted from a segmental perspective. Therefore, the author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centered on the interests, attributes, and problems of students by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subjects. This work will cultivate students with creative and diversified thinking skills requir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applied R. Forgaty's curriculum integration model to develop a Gugak learning-teaching plan in a high school music class. The integrated model has determined the theme of the area of Gugak that is suitable for handling, and integrated it with other subjects according to the integrated model. As part of music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s integrated Gugak education program, I hope that Gugak education will be further systematized, increasing the students' interests in Gugak, and establish a correct identity and ego as a Korean.
Author(s)
김혜경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550
Alternative Author(s)
Kim, Hye Ky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정주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
3. 연구의 제한점 3
4. 선행 연구의 고찰 4
Ⅱ. 이론적 배경 6
1. 통합교육과정의 이해 6
1) 통합교육과정의 정의 6
2) 통합교육의 필요성 10
2. 통합교육의 유형과 특징 12
1) 인그램(1979)의 유형 12
2) 제이콥스(1989)의 유형 14
3) 드레이크(1993) 유형 16
4) 김재복(1998)의 유형 18
3. 포가티(R. Forgaty) 의 교육과정 통합모형 20
1) 단일 교과 내의 통합유형 20
2) 여러 교과 간의 통합유형 22
3) 학습자 간의 통합유형 26
4. 음악교육에서의 통합교육 28
1) 음악영역 내의 통합 28
2) 음악과 예술영역 간의 통합 29
3) 음악과 타 영역 간의 통합 30
5. 국악의 교육적 의의 31
Ⅲ.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고찰 33
1. 총론 33
2. 목표 및 내용체계 33
3. 교육과정 내 국악교육 37
Ⅳ. 포가티(R. forgaty)의 교육과정 통합모형을 적용한 국악수업 지도방안 39
1. 연구 범위 설정 39
2. 교과 간의 통합 40
3. 학습자 간의 통합 54
Ⅴ. 결론 70
참고문헌 72
부록 75
ABSTRACT 8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혜경. (2020). 포가티(R. Forgaty)의 교육과정 통합모형을 적용한 국악수업지도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