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크로스오버 국악 활용 음악수업에 대한 고찰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On Crossover Korean Traditional Music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다양한 문화와 역사의 배경을 반영하는 포괄적 음악성을 수용하여 그 시대의 음악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현시대의 포스트모더니즘 양상을 반영하는 크로스오버 국악 또한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다수 수록되어있다. 이에 음악교사는 이러한 크로스오버 국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음악수업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크로스오버 국악이 등장하게 된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함으로써 크로스오버 국악 속에서 한국 음악어법 및 요소를 탐구할 수 있는 음악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외래음악의 수용은 여러 방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음악의 수용 및 서양음악의 수용에 대한 기록이나 예시는 많지만, 「새로운 한국 음악사」에서 전인평이 말하는 것과 같이 우리민족은 우리의 것으로 살찌우며 재창조하는 태도를 잃지 않았다. 다른 나라로부터 유입된 장구, 양금, 태평소 등은 모두 현재에는 전통음악에서 우리민족의 특성을 살린 연주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북한의 경우에도 전면배합관현악 편성과 같이 민족악기와 서양악기를 배합하였다. 이는 민족발성과 양악발성을 배합하고, 서양의 조율법인 평균율을 민속악기에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해방이후 유입된 서양음악은 아직까지도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변화되지 못한 채 사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과정 속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과 맞물려 창작된 음악이 크로스오버 국악일 것이다. 앞으로도 서양음악은 우리의 것으로 재탄생되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또한 「한국민족음악 현단계」에서 노동은이 제시하는 것처럼, 우리나라의 음악적 미와 한국적 음악어법에 대해서도 자주적인 답. 즉, 명료화 될 수 있는 많은 연구들이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P. 메리엄의「민족음악학」에 의하면, 학문의 발전과 더불어 국가의 발전을 위해 수용과 변화를 거치는 것은 과거 어느 시대에서나 맞이해 온 양상이다. 또한 2000년대 문화예술 속에서 크로스오버 국악 공연은 세계에 우리음악을 알리는 데에 적극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는 '세계 속의 국악'이라는 명제도 제시되어 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대표하는 국악의 모습이 원일의 나 이준호의 와 같은 크로스오버 국악 창작곡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오늘날에는 우리 음악계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세계시민으로서 문화적 소양을 지닌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고 세계의 음악이라는 학문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크로스오버 국악은 창의·융합적 음악 제재곡으로 적합하며 학생들에게 국악에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악이 학생들의 생활 속에 자리잡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음악교사는 바람직한 크로스오버 국악 제재곡을 발굴하여 2015개정 교육과정에 알맞은 지도 방안을 탐구·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is influenced by the comprehensive musicianship which encourages to use the music that reflects the background in various cultures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historial periods. Therefore, many crossover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exts are contained in the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of 2015.
The music teachers must exploit the crossover Korean traditional music as contexts when they plan the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The music class must give the full opportunities to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post-modernism as the back ground and to explore the every musical materials of Korean musical language while music teachers use the crossover Korean music as contexts.
In Korean history, there are many examples of accepting other countries' music such as music from China and Western countries in many facets. As In-Pyung Jun says in his book 'New Korean Music History', Korean people never have never lost the attitudes to bring up those music to be nourished and re-created in Korean characterized ways. Jang-go, Tae-pyung-so, and yang-geaum are the instrument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and now they are vigorously played with Korean characterized way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North Korea,
they combine the ethnic instrument and the western instrument or the ethnic vocalization and the western vocalization. Also they use the western tuning system to their folk instruments.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the western music has been imported to Korea, but it has not been converted in Korean way yet. In this process the crossover Korean music is newly composed in meeting with the aspect of post-modernism. We need to set forth on the project to accept and transit the western music in Korean characterized ways and if it is used to improve Korean music academics it couldn't be better. As Dong-Eun No says in his book 'The Present Steps of Korean Ethnic Music', there has to be more studies to find the clear and independent answer to the beauty and the musical language of Korean music along with the process of transposing the western music in Korean characterized ways. According to 'The Anthropology of Music' written by A.P. Merriam,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transition has been the general aspect in any past period of time for the nation and academics improvement.
The crossover Korean traditional music shows the nature of the post-modernism, and it is used as the great tools to introduce Korean music by many Korean musicians who actively perform these music pieces all over the world. Moreover,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contains the word 'Korean music in the world' which shows tha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s at work to cultivate students become the global citizens who can also contribute their cultural competencies in every academic branches in the world.
I believe that the crossover Korean traditional music could be the very desirable creative–conversive contexts to be used in music classes because it can bring out students' interests and help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o be settled down in their everyday lives.
The music teachers must put efforts in exploring the musical contents, contexts,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at are suitable to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in order to develop the various teaching-learning plans.
Author(s)
김지은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554
Alternative Author(s)
Kim, Ji E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김효정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ⅳ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고찰 3
3. 연구의 내용 5
4. 연구의 한계점 5

Ⅱ. 크로스오버 국악이 나타나게 된 한국 음악역사의 흐름 7
1. 해방 이후 국악의 발자취 7
2. 다른 나라로부터의 음악 유입 사례 10

Ⅲ. 크로스오버 국악 활용 음악수업의 근거 14
1. 포괄적 음악성 14
2.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16

Ⅳ. 크로스오버 국악의 실제와 포스트모더니즘 22
1. 크로스오버 국악의 실제 22
2. 북한의 개량 악기 예시 24
3. 국악 창작곡 예시 27

V. 결론 33

참고문헌 35

ABSTRACT 3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지은. (2020). 크로스오버 국악 활용 음악수업에 대한 고찰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